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20세기 치마·저고리의 소재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2552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the fabrics of Chima, Jeogori of the 20th century. It was based on Kyungwoon Museum relics, newspaper articles and photograph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transition process that has been organiz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

      This study analyzed the fabrics of Chima, Jeogori of the 20th century. It was based on Kyungwoon Museum relics, newspaper articles and photographs. This research focused on the transition process that has been organized into three stages. The first stage is from the opening of a port to the colonial period in Korea. By this time, the casual wear Hanbok was made with the traditional cotton and woolen textiles in addition to quite a lot of upscale clothing textiles. Stage two is from 1970s to the period after the liberation and Western Costumes represent the time of when the suit was mixed. At the time of the war, due to social and economic difficulties, convenience and practicality were emphasized rather than focusing on aesthetic characteristics. Third period is from the 1980s to the 1990s when the Hanbok was no longer considered a casual wear. Instead, its high quality and elegance redefined it to be a formal wear.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은진, "해방 이후의 한복용 소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2 코오롱 20年史編纂委員會, "코오롱 20年史" 株式會社코오롱 104-, 1997

      3 高元逸, "치마저고리의 流行十五年" (10) : 234-, 1960

      4 김상대, "진주지역 중소기업의 성장전략에 관한정책토의" 진주시 1994

      5 국립문화재연구소, "우리나라 전통무늬1 직물" 눌와 183-, 2006

      6 "올 여름 洋裝表情지나친 노출족의 非禮"

      7 경운박물관, "영부인 예복으로 본 한복의 흐름" 경운박물관 15-, 2004

      8 "서울六百年史"

      9 동양나일론주식회사, "동양나일론 10년사" 동양나일론주식회사 1976

      10 안현주, "근대 여자한복 유물의 문양연구" 한국복식학회 60 (60): 100-117, 2010

      1 이은진, "해방 이후의 한복용 소재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0

      2 코오롱 20年史編纂委員會, "코오롱 20年史" 株式會社코오롱 104-, 1997

      3 高元逸, "치마저고리의 流行十五年" (10) : 234-, 1960

      4 김상대, "진주지역 중소기업의 성장전략에 관한정책토의" 진주시 1994

      5 국립문화재연구소, "우리나라 전통무늬1 직물" 눌와 183-, 2006

      6 "올 여름 洋裝表情지나친 노출족의 非禮"

      7 경운박물관, "영부인 예복으로 본 한복의 흐름" 경운박물관 15-, 2004

      8 "서울六百年史"

      9 동양나일론주식회사, "동양나일론 10년사" 동양나일론주식회사 1976

      10 안현주, "근대 여자한복 유물의 문양연구" 한국복식학회 60 (60): 100-117, 2010

      11 이현진, "근대 여자 저고리 변천 연구 : 경기여고 경운박물관 소장 유물 중심" 단국대학교 대학원 2008

      12 "경운박물관 소장 숙고사 원삼 일부 필자 직접 촬영"

      13 신혜성, "개화기 이후 한국 단직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99

      14 權泰檍, "韓末·日帝初期서울地方의 織物業" 1 : 164-, 1980

      15 한국화섬협회, "韓國의 化纖産業" 한국화섬협회 185-186, 1993

      16 權泰檍, "韓國近代綿業史硏究" 一潮閣 64-, 1996

      17 金熹靖, "開化期 織物에 關한 考察" 이화여자대학교 1986

      18 李玉妊, "洋裝을 中心으로한 韓國女性의 服裝形態分析" 숙명여자대학교 1963

      19 "新春을 迎하는 都會人의 新準備"

      20 "京城女子社會의 流行과 奢侈의 種種"

      21 이은진, "19~20세기 초 견직물에 관한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04

      22 배성준, "1930년대 日帝纖維資本의 침투와 朝鮮織物業의 재편" 29 : 205-, 1993

      23 "14品目百78萬弗"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2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Costume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3 0.63 0.6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55 0.798 0.17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