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 들어가면서
- 2. 분석 방법론적 틀: 바르트의 현대적 신화
- 3. 정상가족에 대한 신화
- 3.1 정상가족 이데올로기
- 3.2 ‘좋은 아버지’의 획일화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0500085
오장근 (목포대학교)
2014
Korean
가족 이데올로기 ; TV 예능프로그램 ; 현대의 신화 ; 기호학 ; 바르트 ; <아빠 어디가> ; <수퍼맨이 돌아왔다> ; Family ideology ; TV entertainment programs ; modern mythology ; semiotics ; Barth ; <Daddy ; Where are you going?> ; <Superman is back> ; Familienideologie ; TV Unterhaltungsprogramme ; Mythos des Gegenwarts ; Semiotik ; Barthes ; <Vater ; wohin gehen Wir> ; <Superman kommt zurück>
660
KCI등재
학술저널
97-116(20쪽)
1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세서리아, "한국 가족에서 모성과 여성의 일에 대한 철학적 고찰 -자녀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12 : 31-58, 2009
2 백선기, "텔레비전 문화의 기호학"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3 오장근, "텍스트와 문화콘텐츠" 한국문화사 2006
4 Greimas, A. J., "의미에 관하여" 인간사랑 1997
5 최일성, "유교 '정상가족 이데올로기'(normal-family-ideology) 비판 : 구조주의적 이데올로기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6 Gramsci, A., "옥중수고" 거름 1999
7 오장근, "아담의 손가락 -미켈란젤로 ‘천지창조’ 중 <아담의 창조>에 대한 기호학적 주석" 한국독어학회 (23) : 137-155, 2011
8 Gøsta, E.-A., "복지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 일신사 2006
9 오장근, "문화콘텐츠 분석을 위한 인문학적 분석 도구- 텍스트-기호학에 기반한 문화연구를 위하여-" 언어과학회 (38) : 187-208, 2006
10 백승국, "문화기호학과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2004
1 김세서리아, "한국 가족에서 모성과 여성의 일에 대한 철학적 고찰 -자녀 교육을 중심으로-" 한국여성철학회 12 : 31-58, 2009
2 백선기, "텔레비전 문화의 기호학" 커뮤니케이션 북스 2001
3 오장근, "텍스트와 문화콘텐츠" 한국문화사 2006
4 Greimas, A. J., "의미에 관하여" 인간사랑 1997
5 최일성, "유교 '정상가족 이데올로기'(normal-family-ideology) 비판 : 구조주의적 이데올로기론을 중심으로" 서강대학교 대학원 2001
6 Gramsci, A., "옥중수고" 거름 1999
7 오장근, "아담의 손가락 -미켈란젤로 ‘천지창조’ 중 <아담의 창조>에 대한 기호학적 주석" 한국독어학회 (23) : 137-155, 2011
8 Gøsta, E.-A., "복지자본주의의 세 가지 세계" 일신사 2006
9 오장근, "문화콘텐츠 분석을 위한 인문학적 분석 도구- 텍스트-기호학에 기반한 문화연구를 위하여-" 언어과학회 (38) : 187-208, 2006
10 백승국, "문화기호학과 문화콘텐츠" 다할미디어 2004
11 김성도, "구조에서 감성으로" 고려대학교 출판부 2002
12 오장근, "광장의 언어 지테(Sitte)의 시선에서 바라본 광장의 구조와 의미 이해하기" 한국기호학회 40 : 186-206, 2014
13 Barthes, R., "Der französische Struk turalismus" Hamburg 158-166, 1969
《 DU SILENCE, ET DES MALENTENDUS QUI L'ENTOURENT... 》
Les pratiques numériques contemporaines Ritualisation et sacralisation du profane technologique
La fusion du matériel et du spirituel en miniature iranienne, une étude sémiotique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2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1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 ![]() |
201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4-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2013-12-01 | 평가 | 탈락(현장점검) (기타) | |
2012-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1-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19 | 0.19 | 0.1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18 | 0.26 | 0.462 | 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