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적으로 환자보고성과(Patient-Reported Outcomes, 이하 PRO) 도구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임상 연구뿐 아니라 임상 현장에 도입하기 위한 움직임이 국가 차원의 관리 형태로 변화하...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5366130
서울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2019
학위논문(석사) -- 성균관대학교 일반대학원 , 제약산업학과 , 2019. 8
2019
한국어
서울
Current usage of patient-reported outcomes measurement at clinical setting
43 p. : 삽화, 표 ; 30 cm
지도교수: 조주희
참고문헌 : p. 38-41
I804:11040-000000155775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전 세계적으로 환자보고성과(Patient-Reported Outcomes, 이하 PRO) 도구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임상 연구뿐 아니라 임상 현장에 도입하기 위한 움직임이 국가 차원의 관리 형태로 변화하...
전 세계적으로 환자보고성과(Patient-Reported Outcomes, 이하 PRO) 도구 활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짐으로써 임상 연구뿐 아니라 임상 현장에 도입하기 위한 움직임이 국가 차원의 관리 형태로 변화하고 있다. 환자보고성과(PRO)는 임상의나 제 3 자의 개입과 해석 없이 환자 스스로 직접 보고한 환자의 건강 상태를 말한다. 본 연구 목적은 임상 현장에서 PRO 도구 사용 현황을 조사하고자 하였다.
서울 소재 3 차 종합병원 전자의무기록에 2009 년 7 월 1 일부터 2018 년 12 월 31 일까지 등록되어 있는 측정 도구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임상 현장에서 PRO 도구 측정 현황과 측정 시 표준도구의 사용 여부에 대해 수집하였다.
PRO 도구는 전체 166 개 측정 도구 중에 107 개(64%)를 보유하고 있으며, 최근 3 년간 외래 건수 대비 PRO 사용률은 0.7% ~ 1.4%로 매우 저조하였다. 진료과 별로 PRO 도구 사용률을 분석하였을 때 비뇨기과(12.9%), 정형외과(8.1), 이비인후과(5%)를 제외하고는 0%에 가까운 분포를 보였다. 또한 PRO 도구를 사용했던 환자들을 상병 별로 분류했을 때 암 환자 7.8%, 만성질환자 9.2%, 그 외 질환자에서 83% 사용되었다. 표준도구 사용 여부에서는 107 개 PRO 도구 중에서 74 개(69%)가 표준도구를 사용하고 있었으며, 33 개(31%) 도구들이 임의로 변형하여 사용하거나 한국어 표준 번역본이 없음에도 사용되었다.
결론적으로 국내 임상 현장에서는 임상결과평가에 환자의 주관적인 보고가 중요한 소수의 진료과에서 제한적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국내 환자를 위한 도구 개발 연구가 미비하고 해외에서 개발된 도구에 의존하고 있는바 국내 실정에 맞는 도구 개발 연구가 시급하며 국제 표준 도구 사용에 대한 가이드라인 개발 및 교육이 필요하다. 또한 해외에서는 특정 질병 군을 위한 도구뿐 아니라 모든 질병에 통용되는 일반적인 도구가 임상적 타당성을 입증되어 사용되고 있는바 국내 환자들을 위한 일반적인 도구 개발이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
목차 (Table of Cont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