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생명정치를 넘어 : 『나를 보내지 마』에 나타난 포스트휴먼 조에윤리학 = Beyond Bio-politics: Posthuman Zoe-ethics in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60477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복제인간의 삶을 그리고 있는 카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를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를 탐색해 볼 수 있는 텍스트로 바라보면서, 이 둘 사이의 관계와 포스트휴먼 생명윤...

      본 연구는 복제인간의 삶을 그리고 있는 카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를 인간과 비인간의 관계를 탐색해 볼 수 있는 텍스트로 바라보면서, 이 둘 사이의 관계와 포스트휴먼 생명윤리를 읽어보려고 한다. 포스트휴먼 생명윤리는 생명/죽음을 권력과 정치의 맥락에서 읽기 시작한 미셸 푸코의 논의에서부터 찾아보려 한다. 푸코의 생명 정치를 비판, 확장한 조르지오 아감벤을 거쳐 포스트휴먼시대의 생명정치가 갖는 윤리적 시사점을 찾아보려는 것이 본 논문의 목적이다. 복제인간이라는 비인간의 삶을 다루고 있는 본 텍스트에서 인간 종 너머와의 대화를 관찰하고, 포스트휴먼 시대의 생명과 죽음을 생명 정치의 개념에서 시작하여 로지 브라이도티의 조에윤리학으로 확장시켜 사유해본다. 복제인간의 삶이 인간중심의 근대적 생명 정치를 은유적으로 그리고 있음을 비판적으로 읽고, 나아가 생명과 죽음을 재위치시키는 포스트휴먼 조에윤리학의 적용가능성을 탐색해본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specifically clones, in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as well as the posthuman ethical stance in the text. To understand how life has been considered through human histo...

      This study seeks to explore the relationships between humans and non-humans, specifically clones, in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as well as the posthuman ethical stance in the text. To understand how life has been considered through human history and how life is depicted in the story, this study first discusses Michel Foucault and Giorgio Agamben’s theoretical interpretations on bio-power or bio-politics. Foucault analyzed how bio-power has been employed to distinguish, discriminate, exploit and even kill the under-privileged such as slaves, immigrants and the poor in modern society. Agamben pushed Foucault’s interpretation further and he described bio-politics’ violence and inhumane treatment of human beings. The novel reveals the ways in which the mechanism of modern bio-politics works in order to rationalize the discrimination against clones. In this sense, the clones in the story can be regarded as a metaphor for the bare life from Agamben’s analysis. This study also examines how Rosi Braidotti’s posthuman ethics is developed in the text. The novel suggests an ethical realm in which to deal with the lives of non-human beings and a possible approach on how death could be perceived in the posthuman er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인용문헌
      • I. 서론 II. 본론 III. 결론 인용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Agamben, Giorgio, "호모 사케르: 주권 권력과 벌 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2 박선주, "인조인간, “헐벗은 생명,” 포스트/휴머니즘: 메리 쉘 리의 『프랑켄슈타인』과 카즈오 이시구로의 『날 보내 지 말아줘』에 나타난 고아와 인간" 문화사학회 (24) : 129-152, 2012

      3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권 : 지식의 의지" 나남 2004

      4 진태원, "생명정치의 탄생-미셸 푸코와 생명권력의 문제" 19 (19): 216-237, 2006

      5 이정현, "생명정치와 디스토피아 문학 ― 해외 텍스트와 국내 텍스트에 나타난 생명권력의 작동 양상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73 : 233-268, 2018

      6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콜레주드프랑스강의 1975~76년" 난장 2015

      7 Ishiguro, Kazuo, "나를 보내지 마" 민음사 2009

      8 이경란, "기술과학적 포스트휴먼 조건과 추론소설(sf): 카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와 윌리엄 깁슨의 『패턴 인식』" 영미문학연구회 (28) : 71-100, 2015

      9 현재연, "『나를 보내지 마』, 디스토피아에서 발견한 생명과 예술의 힘" 영어권문화연구소 11 (11): 259-280, 2018

      10 Braidotti, Rosi, "Transpositions : On Nomadic Ethics" Polity 2006

      1 Agamben, Giorgio, "호모 사케르: 주권 권력과 벌 거벗은 생명" 새물결 2008

      2 박선주, "인조인간, “헐벗은 생명,” 포스트/휴머니즘: 메리 쉘 리의 『프랑켄슈타인』과 카즈오 이시구로의 『날 보내 지 말아줘』에 나타난 고아와 인간" 문화사학회 (24) : 129-152, 2012

      3 미셸 푸코, "성의 역사 1권 : 지식의 의지" 나남 2004

      4 진태원, "생명정치의 탄생-미셸 푸코와 생명권력의 문제" 19 (19): 216-237, 2006

      5 이정현, "생명정치와 디스토피아 문학 ― 해외 텍스트와 국내 텍스트에 나타난 생명권력의 작동 양상을 중심으로" 중앙어문학회 73 : 233-268, 2018

      6 미셸 푸코, "사회를 보호해야 한다 – 콜레주드프랑스강의 1975~76년" 난장 2015

      7 Ishiguro, Kazuo, "나를 보내지 마" 민음사 2009

      8 이경란, "기술과학적 포스트휴먼 조건과 추론소설(sf): 카즈오 이시구로의 『나를 보내지 마』와 윌리엄 깁슨의 『패턴 인식』" 영미문학연구회 (28) : 71-100, 2015

      9 현재연, "『나를 보내지 마』, 디스토피아에서 발견한 생명과 예술의 힘" 영어권문화연구소 11 (11): 259-280, 2018

      10 Braidotti, Rosi, "Transpositions : On Nomadic Ethics" Polity 2006

      11 Sandel, Michael, "The Public Philosopher, Would Life Be Better If Robots Did All the Work?" BBC

      12 이경란, "The Posthuman" 아카넷 2015

      13 Agamben, Giorgio, "Remnants of Auschwitz: The Witness and the Archive" Zone Books 2002

      14 이기한,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within Science Fiction Discourse" 한국영미문화학회 15 (15): 185-208, 2015

      15 Shameem Black, "Ishiguro's Inhuman Aesthetics" Project Muse 55 (55): 785-807, 2009

      16 Carroll, Rachel, "Imitations of life: cloning, heterosexuality and the human in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19 (19): 59-71, 2010

      17 김대중, "Dialectics of Utopia and Dystopia and Bio-politics in Never Let Me Go" 인문과학연구소 (36) : 199-222, 2013

      18 McDonald, Keith, "Days of Past Futures: Kazuo Ishiguro’s Never Let Me Go as ‘Speculative Memoir’" 30 (30): 74-83,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4-01-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Journal of British & American Studies -> 영미연구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British & American Studies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7 0.17 0.1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6 0.15 0.462 0.1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