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광개토왕비의 서사구조 일고 = A Study about Narrative Structure of King Gwanggaeto the Great`s Epitaph(廣開土王碑)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고는 광개토왕비를 한 편의 碑誌類 작품으로 간주하여 서사구조를 밝히고, 아울러 광개토왕비의 성격을 구명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광개토왕비는 序言과 本詞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사...

      본고는 광개토왕비를 한 편의 碑誌類 작품으로 간주하여 서사구조를 밝히고, 아울러 광개토왕비의 성격을 구명하기 위해 기획되었다.
      광개토왕비는 序言과 本詞로 구성되어 있는데, 본사는 다시 本詞Ⅰ(武勳)과 本詞Ⅱ(守墓制)로 구분된다. 그런데 본사의 무훈과 수묘제는 매우 이질적인 내용이기 때문에 광개토왕비의 성격에 다양한 의견에 제출되었다. 이 중에서 본고는 수묘비라는 주장에 동의하되 그 근거를 산문작품의 영역에서 보완하고 논지를 강화하였다. 그 구체적인 근거로 본사Ⅱ(수묘제)가 이 비문의 중심단락이며, 본사Ⅰ(무훈)은 본사Ⅱ를 수식하는 단락으로 간주하였다.
      이를 위해 기존 성과에서 밝힌 바, 평양 천도와 관련하여 선왕들의 능을 보호하고 관리할 필요성의 대두, 독자들의 가독성을 고려한 書體 크기를 의도적으로 크게 했다는설을 수용하였다. 또한 필자는 본사Ⅰ이 _삼국사기_에 수록된 것보다 소략하여 광개토왕의 무훈을 선양하기 위한 勳績碑로만 보기에는 미심쩍은 부분이 많다는 점에 착안하여, 비문에 수록한 광개토왕의 무훈은 守墓人 명단을 배정하기 위한 부분만을 간략하게 발췌 하였다고 보았다. 곧 광개토왕의 여러 무훈 중에서 선왕들의 능을 보호하고 관리할 舊民과 新來韓穢들을 차출할 근거가 될 만한 무훈만을 발췌하여 기록하였음을 주장하였다. 아울러 이는 서사구조로 볼 때 본사Ⅰ은 본사Ⅱ의 수식 단락이며, 이와 같이 이해해야 내용적으로 판이하게 이절적인 본사Ⅰ과 본사Ⅱ가 유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음을 밝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reveals narrative structure through considering King Gwanggaeto`s epitaph as a prose of epitaph(碑誌類), it is also plann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of King Gwanggaeto the great`s epitaph. This work consists of preface and body text,...

      This paper reveals narrative structure through considering King Gwanggaeto`s epitaph as a prose of epitaph(碑誌類), it is also planned to investigate the character of King Gwanggaeto the great`s epitaph. This work consists of preface and body text, a whole body text are again divided into body text Ⅰ (military exploits) and body text Ⅱ (system to manage tombs).
      However, since body text Ⅰ (military exploits) and body text Ⅱ (system to manage tombs) are very heterogeneous content, a various opinions of King Gwanggaeto the great`s epitaph were submitted.
      This paper agrees with a argument that it was epitaph of manage tombs, supplements its basis and its thesis in the province of classical chinese prose. So this paper give a concrete basis, it is as follows. A body text Ⅱ is the central paragraph of this work, and a body text Ⅰ is the paragraph of modifying body text Ⅱ. In addition, since this paper makes a decision that there are many doubts in its argument, that considered a body text Ⅱ`s contents as epitaph of military exploits entirely, a military exploits contents in this work are regarded as an excerpt of contents to assigned roster of manage tombs.
      In other words, this paper suggests that a body text Ⅰ is an excerpt from military exploits, which is the basis for selecting people to protect and manage tombs. It also reveals that a body text Ⅰ is a paragraph of modifying body text Ⅱ, in this way, body text Ⅰ and body text which are ver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content are organically connected.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陳必祥, "한문문체론" 이회 2001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4 임기중, "한국고전문학과 세계인식" 역락 2003

      5 심경호, "한국 한문기초학사 1" 태학사 2012

      6 정구복, "역주 삼국사기 1(감교원문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1

      7 이성시, "만들어진 고대 : 근대국민 국가의 동아시아 이야기" 삼인 35-79, 2002

      8 정호섭, "광개토왕비의 형태와 위치, 비문 구성과 성격에 관한 연구 성과와 과제" 동북아역사재단 (49) : 11-46, 2015

      9 이우태,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153-170, 2013

      10 김현숙,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451-474, 2013

      1 陳必祥, "한문문체론" 이회 2001

      2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

      3 "한국금석문 종합영상정보시스템"

      4 임기중, "한국고전문학과 세계인식" 역락 2003

      5 심경호, "한국 한문기초학사 1" 태학사 2012

      6 정구복, "역주 삼국사기 1(감교원문편)" 한국학중앙연구원출판부 2011

      7 이성시, "만들어진 고대 : 근대국민 국가의 동아시아 이야기" 삼인 35-79, 2002

      8 정호섭, "광개토왕비의 형태와 위치, 비문 구성과 성격에 관한 연구 성과와 과제" 동북아역사재단 (49) : 11-46, 2015

      9 이우태,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153-170, 2013

      10 김현숙, "광개토왕비의 재조명" 동북아역사재단 451-474, 2013

      11 이성시, "광개토대왕비의 건립목적에 관한 시론" 한국고대사학회 (50) : 173-192, 2008

      12 김병곤, "고구려의 평양 천도 기획 시점과 남진" 고구려발해학회 39 : 73-95, 2011

      13 여호규, "韓・中・日 3國 學界의 <集安高句麗碑> 硏究動向과 課題" 국학연구원 (177) : 125-172, 2016

      14 韓國古代社會硏究所, "譯註 韓國古代金石文Ⅰ(고구려·백제·낙랑 편)" 駕洛國事蹟開發硏究院 3-35, 1992

      15 "漢碑原文"

      16 황위주, "漢文의 初期 定着過程 硏究(2)" 대동한문학회 13 : 90-130, 2000

      17 黃渭周, "漢文의 初期 定着 過程 硏究 (3)" 동방한문학회 24 : 5-42, 2003

      18 황위주, "漢文字의 受容時期와 初期 定着過程(1)" 한국한문교육학회 10 : 115-149, 1996

      19 김태준, "校註 朝鮮漢文學史" 태학사 1996

      20 李家源, "朝鮮文學史 上" 태학사 1995

      21 여호규, "廣開土王陵碑의 문장구성과 서사구조" 영남문화연구원 (25) : 7-41, 2014

      22 심호택, "廣開土王陵碑文의 構造" 대동한문학회 (구.교남한문학회) (26) : 97-134, 2007

      23 정호섭, "廣開土王碑의 성격과 5세기 高句麗의 守墓制 改編" 한국고대학회 (37) : 131-158, 2012

      24 이성제, "廣開土王碑의 性格과 立碑의 意義" 한국고대학회 (39) : 97-120, 2013

      25 金賢淑, "廣開土王碑를 통해 본 高句麗守墓人의 社會的 性格" 한국사연구회 65 : 1-36, 1989

      26 시라사키 쇼우이찌로우, "廣開土王碑文의 硏究" 제이앤씨 2004

      27 權仁瀚, "廣開土王碑文 新硏究" 박문사 184-187, 2015

      28 전진국, "「廣開土王陵碑」의 新來韓穢 -출신지와 고구려의 인식을 중심으로-" 고구려발해학회 48 : 9-40, 2014

      29 김병준, "‘시각 문서’에서 ‘시각 석비’로-집안고구려비와 광개토왕비의 형태적 연원-" 한국목간학회 (18) : 105-136, 2017

      30 서철원, "<廣開土王陵碑文>의 수사방식과 세계관" 한국고전문학회 (33) : 229-256, 2008

      31 장종진, "5世紀 前後 國際情勢와 高句麗 平壤遷都의 배경" 한국고대사학회 (61) : 221-260, 2011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7-10-30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Society for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7-10-12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Hanmun -> Journal of Korean Literature in Classical Chinese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7 0.77 0.79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9 0.86 1.77 0.2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