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학교별 연간 임상수행능력시험의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G373696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세계 각국은 자국의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교육의 질관리에 노력하고 있다. 질관리는 매년 일상적으로 이뤄지는 평가를 통해 성과를 판단할 수도 있지만, 성장참조평가 (Growth referenced ev...

      세계 각국은 자국의 국가경쟁력을 높이기 위해 교육의 질관리에 노력하고 있다. 질관리는 매년 일상적으로 이뤄지는 평가를 통해 성과를 판단할 수도 있지만, 성장참조평가 (Growth referenced evaluation)로 학생들의 실제적인 능력의 향상으로 점검할 수 있다. 의과대학에서는 의과대학생들의 진료능력을 평가하기 위해 훈련된 환자와의 면담으로 통해 직접 진료능력을 수행평가하고 있다. 이러한 수행평가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과제개발, 환자연기훈련, 시험시행에 많은 인력과 비용이 소요된다. 이에 여러 의과대학들이 컨소시엄을 구성하여 함께 계획하고 시행 및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7년 동안 18개 컨소시엄소속 의과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한 진료시험의 결과분석을 통해 학생들의 능력에 변화가 있는지, 대학에 따른 학생성적의 차이는 어느 정도 되는지, 학교간 차이의 원인은 무엇인지에 대해 분석하였다.
      분석방법은 유사종단설계이다. 성적 변화를 파악하기 위해서는 동일인에 대해 주기적으로 평가하는 것이 가장 좋은 설계이지만, 졸업예정자를 대상으로 시행하는 경우에는 매년 학생들이 바뀌어서 변화를 보기 어렵다. 이에 분석 대상자는 바뀌어도 동일 대학의 동일 학년생이므로 이들에 대한 주기적인 평가결과를 바탕으로 변화를 측정하는 것이 유사종단설계이다. 학생 성적을 다층분석을 하였는데, 이는 학생과 학교의 다시점을 분리하여 추정하는 장점이 있다. 점수는 표준점수로 변환해서 사용했는데, 이는 매년 다른 과제로 평가받기 때문에 연도별 비교를 위해 서열을 반영한 표준점수를 사용했다.
      분석결과 의과대학생들의 임상수행능력의 차이는 학생 간 차이가 75%, 학교 간 차이가 25%, 연도별 차이가 거의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학생은 수행한 과제 수가 많을수록 성적이 약간 하락하지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 대학 간 차이에 대해 학교별 국가시험 합격률이나 대학의 학생 수, 연도별 차이에 대해서도 당해연도 국가시험 합격률이나 실기시험의 시행 여부에 따라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대학의 평균능력 이상자 비율과 연도별 상관을 분석한 결과 전체적으로는 상관이 낮았지만, 특정 대학들이 뚜렷한 상승세와 하강세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대학 간 학생들의 수행능력에는 차이가 25% 차지한다는 것을 확인했지만 이는 단순히 국가시험합격률이나 학생 수 만으로 설명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특정 대학들이 임상수행능력 성적이 뚜렷한 상승과 하강추세를 보인 것을 볼 때 이러한 현상의 원인을 보다 심층적으로 살펴볼 필요가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ackground The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outcomes were mainly relation with individual difference and school difference. This study examined : (1)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udent, school and year, (2) to examine how individual, school and ...

      Background
      The student’s clinical performance outcomes were mainly relation with individual difference and school difference. This study examined : (1)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student, school and year, (2) to examine how individual, school and year predictors(characteristics) influence the student performance.
      Method
      The quasi-longitudinal design and multi-level analysis were tested with predicting student’s scores (total scores of content domain) at level 1 by school at level 2 by year at level 3. The sample included 8,633 examinees from 18 schools in Seoul-Gyunggi CPX Consortium from 2007 to 2012.
      Results
      The performance outcomes related with mainly individual differences (75%), school differences (25%) and year differences (0%). The predict variables were the number of task (level 1), the average passing rates of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the number of students in each school (level 2), and the average passing rates of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whether the skill test was included as a license examination or not (level 3). All predict variables had no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correlation between the ratio of above average scores student and year change was high and low in some schools.
      Conclusion
      The school difference was main sources of student’s performa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