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A) study on expressive characteristic and spatial sense of contemporary architecture integrated structure and ski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6007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type building factors and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resulting architectural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interior space sense in specific cases of monolithic structure-sk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is work was s...

      This study was to identify and type building factors and analyze relationship between resulting architectural expressive characteristics and interior space sense in specific cases of monolithic structure-skin contemporary architecture. This work was significant in terms of projecting monolithic structure-skin phenomenon at constructional viewpoint as a basis of building establishment and aiming at exploring structure-skin relationship potential as a building planning and expression factor.
      In absence of stylistic frame for contemporary architecture, contemporary architecture expression has varied alongside with desire for new expression as well as advanced computer technology and architectural materials, which has been supported by extended range of structural and skin component as the building factors and complex organization of structural system and method.
      According to such complex organization of building factors, the shape of architecture has been extended to curved surface or diagonal line beyond vertical/horizontal frame, with exterior shape being reflected to interior space as it is, leading to interior space getting out of vertical/horizontal shape. Surficially enhancing material property and exposing pattern of structure were used as the expression factor, which was applied to open face influencing interior space.
      In addition, cases were typed by structural system and skin shape and there is a gap between morphological and surficial expression in architecture by type. Combination of linear structure+2-dimensional skin is presented as combination of multi-directional lines based on glass materials alongside with diagonal architectural shape, while combination of linear structure+3-dimensional skin is presented as combination of patterned lines on 3-dimensional material alongside with curved surface architectural shape. Combination of surficial structure+2-dimensional skin is presented as combination of opaque surface with specific image alongside with vertical/horizontal architectural shape, while combination of facial structure+3-dimensional skin is presented as material property-highlighted surface and intermittent and free open face.
      Furthermore, interior space of monolithic structure+skin contemporary architecture internally and externally presenting various expressions creates beautiful, futuristic and unique mood and distinctive space sense by type at the same time. Interior space of type A is beautiful and futuristic. Interior space of type B is dynamic, open, bright, beautiful, unique and futuristic. Interior space of type C is beautiful, unique and futuristic. Interior space of type D is dynamic, unique, warm, variable and futuristic.
      Expression and difference between types of space sense are related to various morphological and surficial expression.
      Space where open space of architecture is diagonal or patterned is felt more beautiful, space where shape of architecture is vertical or curved face and open face is made of semi-transparent materials creates unique mood and space where shape of architecture is curved face and 3-dimensional skin component is used is felt dynamic.
      In this study, phenomenon of new expression, shape and space was identifies by very basic element, relationship between structure-skin, that has been advanced as a new way in modern times.
      Phenomenon of monolithic structure-skin would be advanced in more various ways, in which change of space is mandatory. By identifying effect of monolithic structure-skin on interior space, potential to consider structure-skin relationship as one of space planning was suggested.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현대건축에서 나타난 구조와 표피를 일체화 시킨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구축인자를 파악하고 이를 유형화 하며, 그에 따른 건축적 표현특성 및 내부공간감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본 연구는 현대건축에서 나타난 구조와 표피를 일체화 시킨 구체적인 사례를 통해, 구축인자를 파악하고 이를 유형화 하며, 그에 따른 건축적 표현특성 및 내부공간감 관계를 분석한 것이다. 이는 구조와 표피의 일체화 현상을 건축 성립의 기본이 되는 구축적 관점에서 조망하는 의미가 있고, 구조⋅표피 관계의 건축계획 및 표현요소로서의 가능성을 모색하는데 목적이 있다.

      현대건축의 양식적 프레임이 부재한 상황에 새로운 표현에 대한 욕구와 컴퓨터 기술 및 건축재료의 발달로 현대의 건축의 표현은 매우 다양하게 나타나고 있으며, 이는 건물의 구축 인자인 구조재료와 표피재료의 범위 확장, 구조시스템과 조직방식의 복합적 구성에 의해 뒷받침되고 있다.

      이러한 구축인자의 복합적 구성에 따라 건축의 형태는 수직⋅수평형태의 틀에서 벗어나 곡면이나 사선의 형태가 늘어나고 있으며, 외부형태가 내부공간에 그대로 반영되어 내부공간 역시 수직⋅수평의 공간을 탈피했다. 표면적으로 재료의 물성을 강조하고, 구조물의 패턴을 노출하여 표현의 요소로 사용하였으며, 이러한 패턴은 개방면에 적용되어 내부공간에도 영향을 주었다.
      또한 구조시스템과 표피의 형태에 의해 사례의 유형화가 가능하며, 유형별로 건축의 형태적⋅표면적 표현특성에 차이가 존재한다. 선형구조와 2차원 표피의 조합은 사선적 건축형태에 유리소재를 바탕으로 다양한 방향의 선들이 조합된 표면이며, 선형구조와 3차원 표피의 조합은 곡면형 건축형태에 입체적 재료 위에 패턴화된 선들이 조합된 표면으로 표현되었다. 면형구조와 2차원 표피의 조합은 수직⋅수평의 건축형태에 구체적 이미지가 표현된 불투명한 표면의 조합이며, 면형구조와 3차원 표피의 조합은 곡면형 건축형태에 물성이 강조된 표면과 간헐적이고 자유로운 개방면으로 구성되었다.

      나아가 내⋅외 내부적으로 위와 같이 다양한 표현을 나타내는 구조와 표피가 일체화된 현대건축의 내부공간은 아름답고, 미래적이며, 독특한 공간감을 형성하고 있음과 동시에 유형별로 고유한 공간감을 표현하고 있다. 유형A의 내부공간은 아름답고, 미래적이다. 유형B의 내부공간은 역동적이, 열려있고, 밝고, 아름답고, 독특하며, 미래적이다. 유형C의 내부공간은 아름답고 독특하며, 미래적이다. 유형D의 내부공간은 역동적이며, 독특하고, 따뜻하며, 가변적이고, 미래적이다.

      이러한 공간감의 표현과 유형별 차이는 다양한 형태적⋅표면적 표현과 연관이 있다.
      건축의 개방면이 사선형으로 이루어져 있거나 개방면이 패턴이루어진 공간에서 공간이 더 아름답게 느껴졌으며, 건축의 형태가 수직이거나 곡면형태이고, 개방면이 반투명한 재료로 구성된 공간이 독특한 느낌을 형성하였으며, 건축의 형태가 곡면이고 입체적인 표면재료를 사용한 공간은 역동적으로 느껴졌다.

      본 연구는 현대건축 전반에서 모색하고 있는 새로운 표현성, 형태, 공간에 대한 현상을 건축의 매우 근본적인 요소인 구조와 표피의 관계에 의해 파악하였으며, 이를 통해 건축의 역사에서 지속적으로 다루어 온 구조와 표피의 관계가 현대에서 새로운 방식으로 발전되고 있음을 확인하였다.
      구조와 표피의 일체화 현상은 더욱 다양한 방법으로 발전될 것이며, 그에 따른 공간의 변화는 필수적이라고 생각한다. 이에 구조와 표피의 일체화가 내부 공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파악함으로써, 공간계획의 한 요소로 구조와 표피의 관계를 고려할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였다.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