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대학교육에서 스마트 클리커 앱을 활용한 실시간 피드백 학습활동이 학습몰입 및 학업성취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30642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급변하는 유비쿼터스 환경 시대에 맞게 스마트폰의 발달과 시장의 확대로 수많은 교육용 앱이 개발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클리커 앱을 활용한 학습활동 및 실시간 피드백을 위한 과제활동을 설계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원활한 소통 및 학습몰입, 학업성취의 효과를 얻고자 하였으며,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학습효과를 측정해보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총 7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고 동일한 교과목 커리큘럼으로 구성된 두개의 분반으로 나누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였다. 학습몰입도와 학업성취도의 결과를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 클리커를 활용한 실시간 피드백 학습활동을 실시한 학습자의 학습몰입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반면에,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스마트 클리커 앱을 활용한 상호작용 활동에 보다 초점을 맞춘 학습모형 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수업설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번역하기

      급변하는 유비쿼터스 환경 시대에 맞게 스마트폰의 발달과 시장의 확대로 수많은 교육용 앱이 개발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클리커 앱을 활용한 학습활동 및 실시간 피드백을 위...

      급변하는 유비쿼터스 환경 시대에 맞게 스마트폰의 발달과 시장의 확대로 수많은 교육용 앱이 개발되어져 왔다. 본 연구에서는 스마트 클리커 앱을 활용한 학습활동 및 실시간 피드백을 위한 과제활동을 설계함으로써 교수자와 학습자 간의 원활한 소통 및 학습몰입, 학업성취의 효과를 얻고자 하였으며, 이를 실제 교육현장에 적용하여 학습효과를 측정해보고 자 하였다. 이를 위해 대학생 총 70명을 대상으로 실험을 실시하였고 동일한 교과목 커리큘럼으로 구성된 두개의 분반으로 나누어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분류하였다. 학습몰입도와 학업성취도의 결과를 위해 t-검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스마트 클리커를 활용한 실시간 피드백 학습활동을 실시한 학습자의 학습몰입도가 유의미하게 높았다. 반면에, 학업성취도에 있어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향후 연구에서는, 스마트 클리커 앱을 활용한 상호작용 활동에 보다 초점을 맞춘 학습모형 을 개발하고 이에 따른 수업설계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advancement of smart-phones and their market expansion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numerous educational applications (apps). In this study, learning activities were designed for real-time feedback utilizing a smart clicker app for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tructors and students, and to provide educational results, such as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strategies were applied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s, and 70 college students were taking classes with the same curriculum. Experiments involving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t-test were follows. In terms of learning flow,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but not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번역하기

      The advancement of smart-phones and their market expansion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numerous educational applications (apps). In this study, learning activities were designed for real-time feedback utilizing a smart clicker app for effective comm...

      The advancement of smart-phones and their market expansion has led to the development of numerous educational applications (apps). In this study, learning activities were designed for real-time feedback utilizing a smart clicker app for effective communication between the instructors and students, and to provide educational results, such as learning flow and academic achievement. These strategies were applied in the actual educational fields, and 70 college students were taking classes with the same curriculum. Experiments involving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were conducted. The results of the t-test were follows. In terms of learning flow, a significant difference was observed between the two groups, but not in terms of academic achievemen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지선, "학습자 요구 분석에 따른 스마트폰 어휘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43-53, 2012

      2 차정호, "예비 화학교사 교육에서 클리커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대한화학회 57 (57): 499-506, 2013

      3 김은수, "앱 저작도구를 이용한 교육용 앱개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1-6, 2012

      4 이명숙, "스마트러닝 개선을 위한 평가시스템 개발 및 타당도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 (16): 31-39, 2013

      5 이명숙,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안드로이드기반 협동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71-79, 2011

      6 시지현, "사이버대학 강의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토론학습 인터페이스 설계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81-96, 2011

      7 차현진, "보편적 학습 설계(UDL) 기반 차별화 교수 지원 도구인 PAL 툴의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 설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91-108, 2011

      8 김일민, "대규모 강의를 위한 안드로이드 폰 앱 개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9 (9): 343-354, 2011

      9 조재춘, "교수-학습 활동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교육 개념모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41-49, 2012

      10 Apple Inc., "iOS Human Interface Guidelines" Apple Inc 2011

      1 이지선, "학습자 요구 분석에 따른 스마트폰 어휘 학습용 어플리케이션의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43-53, 2012

      2 차정호, "예비 화학교사 교육에서 클리커 활용에 대한 탐색적 연구" 대한화학회 57 (57): 499-506, 2013

      3 김은수, "앱 저작도구를 이용한 교육용 앱개발 연구" 한국디지털정책학회 10 (10): 1-6, 2012

      4 이명숙, "스마트러닝 개선을 위한 평가시스템 개발 및 타당도 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6 (16): 31-39, 2013

      5 이명숙,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활용한 안드로이드기반 협동학습시스템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71-79, 2011

      6 시지현, "사이버대학 강의에서 스마트폰을 활용한 토론학습 인터페이스 설계연구"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81-96, 2011

      7 차현진, "보편적 학습 설계(UDL) 기반 차별화 교수 지원 도구인 PAL 툴의 스마트폰 응용프로그램 설계"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7 (17): 91-108, 2011

      8 김일민, "대규모 강의를 위한 안드로이드 폰 앱 개발" 한국디지털정책학회 9 (9): 343-354, 2011

      9 조재춘, "교수-학습 활동과 학습자의 특성을 고려한 스마트교육 개념모델"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5 (15): 41-49, 2012

      10 Apple Inc., "iOS Human Interface Guidelines" Apple Inc 2011

      11 Mayer, R. E., "Thinking, problem solving and cognition" W. H. Freeman and Company 30-100, 1983

      12 "Socrative App"

      13 이혜주, "SCAMPER 기법을 제공하는 스마트폰 앱의 설계 및 구현"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4 (14): 29-37, 2011

      14 Sang-Min Whang, "Media Characteristics of Multimedia and Learning Effect" 14 (14): 209-225, 1998

      15 Young-Sun Hong, "Investigating the Relationships among Flow Experience, Interaction between Learners, Satisfaction, and Achievement in Web-Based Collaborative Learning using Blog" Ewha Womans University 2011

      16 김성기, "IT교육에서 학습몰입도 향상을 위한 경쟁기반 협동학습법 : BoX(Battle of X)" 한국정보기술학회 8 (8): 179-187, 2010

      17 R. W. Kulhavy, "Feedback in Written Instruction" American Educational Research Association (AERA) 47 (47): 211-232, 1977

      18 Hak-Soo Kim, "Educational Measurement and Evaluation" Hakmunsa 15-60, 1983

      19 Eun-Gyung Kim,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the Smart Clicker for Active Learning" Korean Institute for Practical Engineering Education 5 (5): 101-107, 2013

      20 J.L.Plass, "Cognitive load theory"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17-07-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8-2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한국산학기술학회논문지
      외국어명 : Journal of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7-06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Korean Academic Inderstrial Society -> The Korea Academia-Industrial cooperation Society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8 0.68 0.6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6 0.61 0.842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