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논문은 한국 교회에서 해석의 어려움 때문에 기피하고 있는 요한계시록을 설교자들이 설교할 수 있도록 하나의 방법을 제안할 목적을 갖고 있다. 요한계시록에 대한 다양한 해석적인 입...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한국 교회에서 해석의 어려움 때문에 기피하고 있는 요한계시록을 설교자들이 설교할 수 있도록 하나의 방법을 제안할 목적을 갖고 있다. 요한계시록에 대한 다양한 해석적인 입...
본 논문은 한국 교회에서 해석의 어려움 때문에 기피하고 있는 요한계시록을 설교자들이 설교할 수 있도록 하나의 방법을 제안할 목적을 갖고 있다. 요한계시록에 대한 다양한 해석적인 입장에도 불구하고 시대사적인 해석 방법을 주로 사용하며 상징적인 해석 방법을 보조적으로 사용하여 요한계시록 안에 나오는 환상들을 이해한다면 요한계시록의 저작의도대로 해석하고 설교할 수 있다고 평가된다. 요한계시록에 나오는 환상들이 현실에 대한 해석의 기능과 하나님이 열어주실 부정적인 현실에 대한 대항현실이기 때문에 시대사적인 해석은 요한계시록을 해석하는 데 중요하다. 그리고 요한계시록의 구조, 특히 세 가지 재앙시리즈의 구조가 시대적인 배열이 아니라 치밀한 문학적 기교라는 사실을 통해서 요한계시록이 재앙과 심판을 통해서 성도들로 하여금 하나님 편에 서도록 결단하게 하는 실존적인 기능을 갖고 있다는 사실을 설교자들은 잊어선 안 된다. 이런 해석적인 입장을 기초로 하여 요한계시록을 설교하기 위해서 역사적 질문, 신학적 질문과 오늘의 삶 속에 적용하기 위한 목회적 질문이 요구된다. 하나님의 뜻에 반하는 기존의 지배체제에 대한 저항을 통해서 교회의 세속화를 막아주는 신앙적인 교훈을 핵심 주제로 하고 있는 요한계시록은 우리 시대에 보다 자주 설교되어야 할 책이라고 생각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eil fast allen koreanischen Pastoren aufgrund der exegetischen Schwierichkeit die Johannesapokalypse zur Predigt nicht bentuzen wollen, will ich durch diese Arbeit eine Art und Weise vorschlagen, wie sie das letzte Bibelbuch predigen können. Trotz d...
Weil fast allen koreanischen Pastoren aufgrund der exegetischen Schwierichkeit die Johannesapokalypse zur Predigt nicht bentuzen wollen, will ich durch diese Arbeit eine Art und Weise vorschlagen, wie sie das letzte Bibelbuch predigen können. Trotz der verschiedenen Deutungsmöglichkeit in der Auslegungsgeschichte ist eine sachgemäßige Interpretation des letzten Bibelbuches die zeitgeschichtliche Exegese, weil die meisten Visionen in der Apokalypse des Johannes eine Wahrnehmung der Wirklichkeit bzw. der Gegenwart der Gemeinden in Kleinasia bezeichnet. Dazu ist es nötig, sie symbolisch auszulegen. Besonders ist die zeitgeschichtliche Deutung sehr wichtig, weil diese Visionen uns die von Gott geschaffenen Gegenwirklichkeit zur kritischen Situation von Pax-Romana zeigen. Aufgrund dieser Interpretationsstellung muss man die folgenden drei Fragen stellen, um den Text der Johannesoffenbarung zu predigen: die historische Frage, die theologische Frage und die existentiale Frage.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이병학, "죽음의 현실과 새 예루살렘의 대항현실" 한국신약학회 17 (17): 1045-1082, 2010
2 박윤성, "요한계시록, 어떻게 가르칠까" 기독신문사 2002
3 R. Bauckham, "요한계시록 신학" 한들출판사 2004
4 홍순원, "심판 설교의 윤리적 기능 -틸리케의 심판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28) : 233-255, 2011
5 J. Dwight Pentecost, "세대주의 종말론" 대한기독교서회 1998
6 위형윤, "설교의 형성과 작성에 관한 신학적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10) : 11-50, 2006
7 백삼열, "설교와 설교자의 소명" 2 : 77-103, 1998
8 유영권, "사이비ㆍ이단 교주와 신도들의 심리이해 - 목회상담적 제언 -" 한국실천신학회 (13) : 79-106, 2007
9 왕대일, "묵시문학 운동의 역사 이해" (386) : 37-50, 1991
10 양유성, "목회상담에서 우상숭배의 의미와 대처방안" 한국실천신학회 (31) : 259-282, 2012
1 이병학, "죽음의 현실과 새 예루살렘의 대항현실" 한국신약학회 17 (17): 1045-1082, 2010
2 박윤성, "요한계시록, 어떻게 가르칠까" 기독신문사 2002
3 R. Bauckham, "요한계시록 신학" 한들출판사 2004
4 홍순원, "심판 설교의 윤리적 기능 -틸리케의 심판이해를 중심으로-" 한국실천신학회 (28) : 233-255, 2011
5 J. Dwight Pentecost, "세대주의 종말론" 대한기독교서회 1998
6 위형윤, "설교의 형성과 작성에 관한 신학적 연구" 한국실천신학회 (10) : 11-50, 2006
7 백삼열, "설교와 설교자의 소명" 2 : 77-103, 1998
8 유영권, "사이비ㆍ이단 교주와 신도들의 심리이해 - 목회상담적 제언 -" 한국실천신학회 (13) : 79-106, 2007
9 왕대일, "묵시문학 운동의 역사 이해" (386) : 37-50, 1991
10 양유성, "목회상담에서 우상숭배의 의미와 대처방안" 한국실천신학회 (31) : 259-282, 2012
11 이필찬, "내가 속히 오리라" 이레서원 2011
12 신동욱, "교회의 2천 년 해석사와 구약을 기초로 해설한 요한계시록 주석" 도서출판 kmc 2010
13 송영목, "계 17-18장의 음녀 바벨론에 대한 다차원적-통합적 해석" 한국신약학회 12 (12): 99-131, 2005
14 Bailey, John William, "The Temporary Messianic Reign in the Literature of Early Judaism" 53 (53): 170-187, 1934
15 Collins, adela Yarbro, "The Combat Myth in the Book of Revelation" Scholars Press 1976
16 Giesen, Heinz, "Symbole und mythische Aussagen in der Johannesapokalypse und ihre theologische Bedeutung in Metaphorik und Mythos im NT" 126 : 255-277, 1986
17 신동욱, "Pax-Romana에 대한 요한계시록의 입장" 한국신약학회 17 (17): 78-93, 2010
18 Bornkamm, Heinrich, "Luthers Vorrede zur Bibel" Insel 1983
19 Beale, K. George, "John’s Use of the Old Testament in Revelation" Sheffield Academic Press Ltd 1998
20 Berger, Klaus, "Hermeneutik des Neuen Testaments, In UTB 2035" A. Francke Verlag 1999
21 Thraede, Klaus, "Grundzüge griechisch-römischer Brieftopik" Beck Verlag 1970
22 Kretschmar, Georg, "Die Offenbarung des Johannes. Die Geschichte ihrer Auslegung im 1" Calwer Verlag 1985
23 Maier, Gerd, "Die Johannesoffenbarung und die Kirche" Paul Siebeck 1981
24 Lohse, Eduard, "Die Entstehung des Neuen Testaments" Kohlhammer 1972
25 Ebach, Jürgen, "Apokalypse. Zum Ursprung einer Stimmung, In Einwürfe 2" Kaiser Verlag 5-61, 1985
유물론적 신학과 성만찬 - 슬라보이 지젝과 BME문서를 중심으로 -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3-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1.81 | 1.81 | 1.61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1.53 | 1.4 | 0.653 | 0.6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