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폐경 여성의 난소종양 염전에 대한 임상적 고찰 = The Clinical Study of the Torsion of the Ovarian Tumor in Postmenopausal Wome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36166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 여성에서 발생한 난소 종양 염전의 임상병리학적 분석을 하기 위하여 시도 되었다. 연구방법 : 1989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한양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

      목적 : 본 연구의 목적은 폐경 여성에서 발생한 난소 종양 염전의 임상병리학적 분석을 하기 위하여 시도 되었다. 연구방법 : 1989년 1월부터 1998년 12월까지 한양대학병원 산부인과에서 자궁부속기 염전으로 수술을 시행 받았던 환자중 폐경기 이후의 환자 20명을 대상으로 임상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결과 : 연구 기간 중 본원에서 수술 받은 전체 자궁부속기 염전 94예 중 폐경 후 발생한 난소 종양 염전의 비율은 20예로 21.3%로 나타났다. 환자들의 연령은 52~90세까지의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연령은 63.5±9.0세 이었고 폐경 후 수술까지의 기간은 평균 16.5±10.3 년으로 나타났다. 출산경력은 3회에서 10회까지 분포를 보였으며 평균 출산경력은 5.4±2.0이었다. 하복부 동통이 가장 흔한 주소였으며 복부 종괴 촉지 혹은 종괴로 진단 받은 경우가 다음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약 20%는 하복부 동통을 호소하지 않았다. 난소 종양 염전의 위치는 우측이 11예 좌측이 9예로 비슷하였고 염전의 횟수는 2회(760˚)가 가장 많았다. 종양의 크기는 직경이 5cm에서부터 30cm까지 였으며 가장 많은 크기는 8예에서 6~10cm 사이의 크기였다. 대다수의 환자에서 전자궁적출술 및 양측 부속기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염전 되었던 난소 종양은 조직학적으로 다양하였으며 가장 많은 종류는 5예에서 낭성 기형종을 나타냈다. 결론 : 본 연구 결과 폐경 여성에서 난소 종양의 염전은 전체 염전 환자의 약 20%정도를 차지하였으며 폐경 여성에서 하복부 통증이 있을 경우 자궁부속기 염전을 고려해야 한다. 본 연구 결과 염전되었던 난소 종양은 조직학적으로 대부분 양성이었다. 폐경 이후 발생한 염전의 수술방법은 일반적으로 전자궁적출술 및 양측 부속기 절제술을 실시하지만 악성이 의심되는 경우는 보다 광범위한 수술을 필요로 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torsion of the ovarian tumor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0 postmenopausal patients with a postoperative diagno...

      Objectiv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valuate the clinicopathologic characteristics of the torsion of the ovarian tumor in postmenopausal women. Methods : We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20 postmenopausal patients with a postoperative diagnosis of torsion of the ovarian tumor in Department of Obstetrics and Gynecology, Hanyang University Hospital from January 1989 to December 1998. Results : The postmenopausal patients with torsion of the ovarian tumor constitute 20/94 (21.3%) of all adnexal torsion patients encountered during this period. The mean (±SD) age of the 20 patients was 63.5±9.0 years, with a range of 52-90 years. The mean time since menopause was 16.5±10.3 years, with a range of 1-39 years. The mean parity was 5.4±2.0 (range of 3-10). Lower abdominal pain (65%) was the most frequently presenting symptom, palpable mass(20%) or diagnosed mass(15%) being the second. But, in 20% of cases there was no lower abdominal pain. The torsion occurred at the right side in 11cases (55%) and at the left side in 9 cases. The most frequent degree of torsion was those cases that was rotated twice (720˚). The neoplasms undergoing torsion ranged in diameter between 5cm and 30cm and the most prevalent size was 6 to 10 cm (8 cases). Most of the patients (17cases) were treated by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The tumors that produce torsion varied histologically and the most common type was cystic teratoma (in 5 cases), simple cyst(in 3 cases), serous cystadenoma(in 2 cases), mucinous cystadenoma(in 2 cases).
      Conclusion : In our study, ovarian tumor torsion occurring in postmenopausal patients constituted approximately 20% of all torsion patients, therefore adnexal tors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a postmenopausal woman presents with lower abdominal pain. When torsion is diagnosed, total abdominal hysterectomy and bilateral salpingo-oophorectomy is the usual treatment for postmenopausal patients. Histologically, in more than 90% of cases, the tumors that produce torsion were benign. If cancer is evident, more extensive surgery is requir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