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디지털화 진전에 따른 한국 TMT(Technology, Media and Telecommunication)섹터의 역할 변화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38551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디지털전환 동향 추세를 고려하면서 TMT(Technology, Media, Telecommunication)섹터라는 디지털화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서비스 영역이므로 , 그 역할에 대해 면밀하게 계량적으로 분석한다....

      본 연구는 디지털전환 동향 추세를 고려하면서 TMT(Technology, Media, Telecommunication)섹터라는 디지털화를 주도하는 대표적인 서비스 영역이므로 , 그 역할에 대해 면밀하게 계량적으로 분석한다.데이터분석과정으로 1990년부터 1995년, 2000년, 2005년, 2010년, 2015년과 2019년까지의 투입산출표 통합대-중-소분류한 데이터를 사용해서 TMT섹터의 역할변화를 세분화하기 위해 재구성하고 산업연관분석을 통해 전후방연쇄효과와 부가가치유발, 국내총생산액을 분석한다.
      결과적으로 TMT섹터 부문이 타 산업의 생산물을 중간재로 활용하는 데, TMT섹터 부문의 생산증가가 TMT섹터의 중간재를 생산하는 타 산업에게 끼치는 생산유발정도를 측정하는 후방연쇄효과가 점점 감소해지는 반면 TMT섹터 부문의 최종 생산물의 수요가 한 단위 발생하는 데 중간재로 수요하는 연관된 상품들이 늘리는 생산의 크기를 TMT섹터 평균과 비교되는 전방연쇄효과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TMT의 부가가치와 국내총생산액도 올라가고 있어서 TMT섹터의 서비스 영역이 향후 많이 활용되는 것으로 밝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a representative service area that leads the digitalization of the TMT (Technology, Media, Telecommunication) sector while considering the trend of digital transformation trends, so its role is closely quantitatively analyzed. The data ...

      This study is a representative service area that leads the digitalization of the
      TMT (Technology, Media, Telecommunication) sector while considering the
      trend of digital transformation trends, so its role is closely quantitatively
      analyzed.
      The data analysis process is reorganized to subdivide the role change of TMT
      sectors using data classified from 1990 year to 2019 year analyzes the
      forward-back linkage effect, value-added induction, and gross domestic
      product through the industry-related analysis.
      As a result, forward linkage effect of TMT sector is increased, but backward
      linkage effector of TMT sector is declined. Then Value added inducement and
      GDP of TMT sector is increasing. It was revealed that TMT sector's service
      area will be used a lot in the futur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vi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Abstract> vi
      • 제 1 장 서론 1
      • 제 1 절 연구 배경 및 필요성 1
      • 제 2 장 문헌 연구 및 연구 방법 4
      • 제 1 절 문헌 연구 4
      • 1. 디지털전환과 TMT섹터 4
      • 2. 산업연과분석 11
      • 제 2 절 연구 방법 14
      • 1. 산업연관표구조 14
      • 2. 산업연관표분석의 기본가정 22
      • 3. 투입계수 및 생산유발계수 22
      • 3.1 투입계수 22
      • 3.2 생산유발계수 25
      • 4. 영향력게수 및 감응도계수 27
      • 4.1 영향력계수 27
      • 4.2 감응도계수 28
      • 5. 부가가치유발계수 28
      • 제 3 장 데이터 및 분석 30
      • 제 1 절 데이터 30
      • 제 2 절 데이터 분석 34
      • 1. 한국 TMT섹터의 국내총생산액 34
      • 2. 한국 TMT섹터의 부가가치유발계수 37
      • 3. 한국 TMT섹터의 전후방연쇄효과 39
      • 제 4 장 요약 및 결론 43
      • 참고문헌 44
      • 부록 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