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유형별 사례연구를 통한 성공 및 실패요인 도출 = Extraction of success&failure factors by case study on type of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344404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past, the roll of company was perceived as a economical roll. However it is perceived as a part of society to be responsible for general conditions such as the satisfaction, environment and welfare of in/external interested parties. Just as t...

      In the past, the roll of company was perceived as a economical roll. However it is perceived as a part of society to be responsible for general conditions such as the satisfaction, environment and welfare of in/external interested parties.
      Just as the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ies and consumer’s selection of products influence on fostering images of corporates, CSR(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becoming essential. According to survey conducted by FKI (Federation of Korean Industries), the amount disbursed on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increasing annually. Besides, the installation ratio of department only responsible for CSR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 is 70% in 2009. Even though the corporates are trying to deal with CSR activities successfully, it can be know that the factors of hindrance exist internally in corporates.
      These factors are shown as the lack of expertise (21.45), lack of manpower in charge (17.5%), lack of information for work relevant to social responsibilities (12.9%).
      Actually, the manpower in charge of CSR is not sufficient but it reflects that the considerations for developing and operating programs are increasing.
      There have been many preceeding studies on CSR activities. However, there are not many studies on factors for affecting in accordance with types. Therefore, this thesis suggests guidelines for CSR activities by analyzing actual CSR case studies.
      In this study, the types of CSR based on preceeding studies are categorized into type of self-sufficiency, type of providing opportunities and type of strategical CSR.
      Also, this thesis is processed under the analysis of multiple cases of actual CSR in accordance with the three types based on the factors of concentration, diversity, participation in internal infrastructure, corporate image, reality, durability, consumer relevance, purity and propriety, which are suggested based on preceeding study on factors affecting the CSR.
      This study is the study to know the factors in accordance with types of CSR by analyzing the cases of CSR activities. And the following details are able to be had.
      Firstly, it can be utilized as an index of evaluation for CSR activities of the corporate. Based on the index of evaluation for categorizing CSR type suggested in this study, the corporate can categorize the CSR activities and it can be the index of evaluation for the operational CSR activities. Secondly, for the corporate who want to share the their benefit to the neglected class of people shall consider the type of self-sufficiency and type of providing opportunities. And corporate shall categorize the method of support into financial support or medical support to apply the factors of success or failure and operate for efficient CSR activities. Thirdly, corporate who pursue benefits connected with competiveness of CSR shall consider the factors of success and failure by applying strategical CSR type and enforce CSR activities by applying field of core competencies of corporate. Forth, durability and reality which are drawn out as a common factor of CSR type are showing that it is effective that corporate continuously enforce CSR activities not enforcing CSR activity as a short-term event
      Lastly, this study suggests guidelines in developing and operating CSR activity program through the factors of success and failure in CSR activities which were verified throught the study model.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기업의 역할이 과거에는 제품 생산, 이윤 창출 및 이익 극대화라는 경제적 역할로써만 인식되었지만 현재는 경제적 책임뿐만 아니라 기업의 내・외부 이해관계자에 대한 만족과 환경, 복지 ...

      기업의 역할이 과거에는 제품 생산, 이윤 창출 및 이익 극대화라는 경제적 역할로써만 인식되었지만 현재는 경제적 책임뿐만 아니라 기업의 내・외부 이해관계자에 대한 만족과 환경, 복지 등 사회전반에 대한 책임이 있으며 사회구성원의 일부로 여겨지고 있다.
      많은 연구를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 활동이 소비자들의 제품 선택이나 기업 이미지에 형성에 많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듯이 기업의 사회적 책임은 더 이상 기업의 선택이 아닌 필수로 자리 잡고 있다.

      전국 경제인연합회 조사에 따르면 매년 기업의 사회공헌활동 지출액은 매년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사회적 책임 전담부서 설치율은 2009년 70%로 기업은 CSR활동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성공적인 CSR활동을 펼치고자 하지만 기업 내부적으로 CSR활동을 저해하는 요인이 존재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러한 요인은 전문성 부족(21.4%), 담당인력의 부족(17.5%), 사회공헌 업무에 대한 정보 부족(17.0%), 사회공헌에 대한 이해 부족(12.9%)으로 나타난다. 실제 CSR전담인력도 부족하지만 CSR에 대한 타 기업과 차별화되는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대한 고민이 커지고 있음을 반영한다.
      CSR활동에 대한 선행연구는 많이 이루어졌으나 각 유형별 효과를 주는 요인에 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에서 실제 기업의 CSR사례분석을 통해 기업 CSR활동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시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선행연구를 토대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유형을 자립지원유형, 기회제공유형, 전략적 CSR유형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에 영향을 주는 요인에 대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제시된 적합성, 순수성, 소비자 관련성, 지속성, 구체성, 현실성, 기업이미지, 내부 인프라참여 유무, 다양성, 집중성이라는 요인을 기준으로 세 가지 유형에 따른 실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활동 다중사례분석 과정을 거쳤다.

      본 연구는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유형에 따라 영향을 주는 요인을 기업의 CSR활동의 사례분석을 통해 알아보는 연구로서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가질 수 있다. 첫 번째 본 연구는 기업의 CSR활동에 대한 평가지표로 활용 가능하다. 연구에서 제시된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유형화 분류기준을 토대로 기업은 CSR활동을 유형화 할 수 있으며 현재 운영 중인 CSR활동을 평가할 수 있는 지표가 될 수 있다. 두 번째 기업의 이윤을 소외계층에게 기업 업종과 관련 없이 사회공헌 활동을 펼치려는 기업은 자립지원유형이나 기회제공유형을 고려하고 물질적 지원인지 또는 의료적 지원인지에 따라 유형화하며 그에 따른 성공과 실패요인을 적용하여 계획하고 운영해야 효과적인 CSR활동이 될 것이다. 세 번째 기업이 이윤을 추구하는 동시에 경쟁력과 연계된 CSR활동을 추구하는 기업은 전략적 CSR유형을 적용해서 성공과 실패요인을 고려하되 지속가능한 기업의 핵심역량 분야를 적용한 CSR활동을 펼쳐야 한다. 네 번째 각 유형별 공통요인으로 도출된 지속성과 현실성은 기업이 이벤트성 단기적 CSR활동이 아닌 지속적으로 현실 가능한 CSR활동을 펼치는 것이 효과적임을 제시해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연구모델을 통해 검증한 CSR활동 유형별 성공과 실패요인을 통해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활동 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에 가이드라인을 제시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 Ⅱ. CSR에 관한 문헌 연구 3
      • 2.1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정의 3
      • Ⅰ. 서론 1
      • 1.1. 연구의 필요성 및 의의 1
      • Ⅱ. CSR에 관한 문헌 연구 3
      • 2.1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정의 3
      • 2.1.1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의의 3
      • 2.1.2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등장배경 5
      • 2.1.3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중요성 6
      • 2.1.4 기업의 사회적 책임(CSR) 선행 연구 8
      • 2.2 CSR유형화 분류 12
      • 2.2.1 유형화의 의의 및 중요성 12
      • 2.2.2 CSR유형화에 대한 선행연구 고찰 13
      • 2.3 CSR활동 효과에 대한 요인 연구 18
      • Ⅲ. 유형화에 따른 CSR 사례분석 연구모델 20
      • 3.1. 유형별 정의 20
      • Ⅳ. 다중 사례 분석 22
      • 4.1 다중 사례 분석 22
      • 4.2 자립지원유형의 사례분석 및 성공과 실패요인 추출 23
      • 4.3 기회제공유형의 사례분석 및 성공과 실패요인 추출 27
      • 4.4 전략적 CSR유형의 사례분석 및 성공과 실패요인 추출 32
      • 4.5 의의 36
      • Ⅴ. 결론 39
      • 5.1 연구의 요약 및 시사점 39
      • 5.2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방향 45
      • 참고문헌 47
      • 부록 54
      • ABSTRACT 56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