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지적능력의 매개효과 =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Young Child s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554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지적능력이 나타내는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 규명하여 유아들의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이들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G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2곳의 만 4,5세 유아 101명이었다. 유아 자기조절력은 유치원
      교사가 유아의 평소 유치원 생활을 관찰한 것을 토대로 평정되었으며, 유아 또래상호작용은 본 연구자와 보조연구자에 의해 현장기관에서 관찰되었으며, 유아 지적능력은 본 연구자에 의해 K-WPPSI 검사로 개인적으로 평가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이 실행되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지적능력에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자기조절력과 긍정적 상호작용과 의존적 상호작용은 각각 정적상관이, 자기조절력과 부정적 상호작용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지적능력과 긍정적 상호작용과 의존적 상호작용은 각각 정적상관이, 지적능력과 부정적 상호작용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긍정적 상호작용의 관계에서는 지적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의존적 상호작용 및 부정적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는 각각 지적능력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에서는 유아 자신의 자기조절력 발달이 더욱 중요하나, 의존적이거나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에서는 유아 자신의 지적능력이 더욱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또래상호작용 유형별로 이들 영향요인들을 좀 더 발달시킬 다각도의 교육적 지원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이 시사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지적능력이 나타내는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 규명하여 유아들의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이...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서 지적능력이 나타내는 매개효과가 어떠한지를 규명하여 유아들의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무엇인지를 이해하고, 이들 영향요인들 간의 관계를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연구대상은 경상북도 G시에 소재한 초등학교 병설 유치원 2곳의 만 4,5세 유아 101명이었다. 유아 자기조절력은 유치원
      교사가 유아의 평소 유치원 생활을 관찰한 것을 토대로 평정되었으며, 유아 또래상호작용은 본 연구자와 보조연구자에 의해 현장기관에서 관찰되었으며, 유아 지적능력은 본 연구자에 의해 K-WPPSI 검사로 개인적으로 평가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7.0 통계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회귀분석이 실행되어졌다. 주요 연구결과로는 첫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지적능력에서 정적상관이 나타났고, 자기조절력과 긍정적 상호작용과 의존적 상호작용은 각각 정적상관이, 자기조절력과 부정적 상호작용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지적능력과 긍정적 상호작용과 의존적 상호작용은 각각 정적상관이, 지적능력과 부정적 상호작용은 부적상관이 나타났다. 둘째,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긍정적 상호작용의 관계에서는 지적능력의 부분매개효과가 나타났고,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의존적 상호작용 및 부정적 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는 각각 지적능력의 완전매개효과가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는 유아의 긍정적 또래상호작용에서는 유아 자신의 자기조절력 발달이 더욱 중요하나, 의존적이거나 부정적 또래 상호작용에서는 유아 자신의 지적능력이 더욱 중요함을 나타내고 있다. 이에 또래상호작용 유형별로 이들 영향요인들을 좀 더 발달시킬 다각도의 교육적 지원이 좀 더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필요성이 시사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s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1 young children at the 2 kindergartens in Gyeongsang province. The teach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on their children s abilities of self regulation based on teachers observation about their children s behaviors at the kindergarten. The young children s peer interactions were assessed in the classrooms by the research team members who were trained for this study and their intelligences were assessed using K-WPPSI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individually in private places in the kindergarten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Windows 17.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young children s peer interaction, self regulations and intelligences.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s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directly or indirectly. In conclusion, as far as this study understands, when it comes to the young
      child’s positive peer interaction, development of the young child’s own self regulation is indeed emphasized but in regard to dependent or negative peer interaction, significance of the young child’s intelligence is considered even more importantly.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al support from various angles to make improvements in those influential factors of each type of the peer interaction should be more efficiently offered.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s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1 young children at the 2 kindergartens in G...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s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The subjects for this study were 101 young children at the 2 kindergartens in Gyeongsang province. The teachers filled out the questionnaires on their children s abilities of self regulation based on teachers observation about their children s behaviors at the kindergarten. The young children s peer interactions were assessed in the classrooms by the research team members who were trained for this study and their intelligences were assessed using K-WPPSI by the researcher of this study individually in private places in the kindergarten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through SPSS Windows 17.0. The results were as follows.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among the young children s peer interaction, self regulations and intelligences. Moreover, there were significant mediating effects of the young children s intelligenc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ir self regulation and peer interaction directly or indirectly. In conclusion, as far as this study understands, when it comes to the young
      child’s positive peer interaction, development of the young child’s own self regulation is indeed emphasized but in regard to dependent or negative peer interaction, significance of the young child’s intelligence is considered even more importantly. In the light of that, the study suggests that educational support from various angles to make improvements in those influential factors of each type of the peer interaction should be more efficiently offered.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결과 및 해석
      •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은정, "저학년 초등학생의 학습양식과 교사가 지각한 학교적응의 관계" 한독교육학회 15 (15): 53-73, 2010

      2 김지연,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2 (32): 13-28, 2011

      3 황미경, "자기조절력 증진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269-289, 2014

      4 이명진, "자기조절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교육문제연구소 (39) : 161-193, 2011

      5 김은정, "인지적 학습양식의 개념적 모형 정립" 10 (10): 1-20, 2005

      6 김형재, "유아의 지능과 실행기능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99-116, 2011

      7 김혜순, "유아의 지능, 가정양육환경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7-26, 2005

      8 조윤정, "유아의 자아개념과 유아간 상호작용과의 관계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7

      9 이소영,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따른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정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 김혜순,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인지력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1) : 203-221, 2012

      1 김은정, "저학년 초등학생의 학습양식과 교사가 지각한 학교적응의 관계" 한독교육학회 15 (15): 53-73, 2010

      2 김지연, "자녀의 부정적 정서에 대한 부모의 반응과 아동의 스트레스 대처행동 간의 관계에서 자기조절능력의 매개효과" 한국아동학회 32 (32): 13-28, 2011

      3 황미경, "자기조절력 증진 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미래유아교육학회 21 (21): 269-289, 2014

      4 이명진, "자기조절 연구의 현황과 과제" 교육문제연구소 (39) : 161-193, 2011

      5 김은정, "인지적 학습양식의 개념적 모형 정립" 10 (10): 1-20, 2005

      6 김형재, "유아의 지능과 실행기능간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8 (18): 99-116, 2011

      7 김혜순, "유아의 지능, 가정양육환경 및 자기조절능력과의 관계" 한국가정관리학회 23 (23): 17-26, 2005

      8 조윤정, "유아의 자아개념과 유아간 상호작용과의 관계 연구" 韓國敎員大學校 大學院 1997

      9 이소영,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따른 놀이 계획, 수행, 평가의 일치정도"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10 김혜순, "유아의 자기조절력과 친사회적 행동의 관계에서 인지력의 매개효과" 한국영유아보육학회 (71) : 203-221, 2012

      11 하금난, "유아의 자기조절능력과 또래 놀이행동과의 관계"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12 이정란, "유아의 자기조절 구성 요인 및 관련 변인에 대한 구조 분석" 덕성여자대학교 대학원 2003

      13 김희태, "유아의 부정적인 또래 상호작용 행동과 관련변인들 간의 관계 구조 분석"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29-48, 2014

      14 이현정,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 주의력 결핍 과잉행동 성향과 또래놀이 상호작용 관계에서 언어능력의 중재영향" 대한가정학회 51 (51): 395-401, 2013

      15 장윤희, "유아의 리더십과 자기조절능력이 또래 놀이행동에 미치는 영향"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16 한누리, "유아의 또래관계 및 관련변인에 관한 연구"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16 (16): 347-379, 2012

      17 양미경, "유아의 대인간 신뢰도, 또래 유능성 및 자기조절능력 간 관계"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179-202, 2011

      18 황윤세, "유아의 기질, 자기조절력과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의 관계"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2 (12): 145-166, 2007

      19 조운주, "유아의 기질 및 부모 양육방식이 유아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육아정책연구소 8 (8): 155-174, 2014

      20 이지희, "유아기 긍정적·부정적 또래상호작용에 관련된 변인 연구" 한국보육지원학회 8 (8): 301-322, 2012

      21 최민수, "유아교육기관 유아의 기본생활습관과 자기조절력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9 (19): 359-382, 2012

      22 김현지, "유아-교사관계 및 유아의 자기조절력이 또래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7 (7): 17-34, 2010

      23 양옥승, "유아 자기조절의 의미: 두뇌발달의 관점" 한국유아교육학회 31 (31): 479-493, 2011

      24 이선미, "유아 자기조절력과 또래상호작용 간의 관계에서 유아 리더십의 매개 효과 분석" 한국아동교육학회 24 (24): 225-238, 2015

      25 백상수, "유아 영재성 관련 변인의 구조분석 - 또래유능성, 자기조절력, 놀이특성 -" 한국영유아보육학회 (63) : 203-225, 2010

      26 Roedell, W. C., "유아 영재교육의 이해" 학문사 2002

      27 남궁령, "유아 또래상호작용에 영향을 미치는 어머니 정서표현성, 어머니 양육효능감, 유아 자기조절력 간의 관계 검증"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9 (19): 131-157, 2014

      28 양옥승, "영유아 자기조절력 측정도구의 타당화" 한국유아교육학회 35 (35): 263-278, 2015

      29 남윤희, "어머니의 놀이신념이 유아의 또래 유능성과 창의적 행동특성에 미치는 영향" 한국보육학회 13 (13): 61-80, 2013

      30 황성온, "어머니 결혼 특성, 심리적 특성, 양육스타일이 유아기 자녀의 또래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한국유아교육학회 34 (34): 355-378, 2014

      31 문혁준, "아동의 또래유능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 연구: 어머니의 취업유무를 중심으로" 한국아동학회 30 (30): 57-69, 2009

      32 정선교, "보육시설에 다니는 저소득층 유아의 또래 놀이행동과 학습행동과의 관계" 미래유아교육학회 13 (13): 217-236, 2006

      33 량화, "반일제와 종일제 유아의 상호작용적 또래놀이와 자기조절력의 관계"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9 (9): 51-69, 2010

      34 원계선, "만4세, 6세 아동의 어휘이해력 수준에 따른 개인화된 정서이해 및 정서원인 추론 능력" 한독교육학회 13 (13): 177-194, 2008

      35 최연철, "만 3세 인기아가 또래관계에서 사용하는언어적 요구전략" 한국어린이미디어학회 12 (12): 73-96, 2013

      36 채수경, "또래관계 어려움이 있는 아동의 특성:대구대학교 장애 진단평가센터에 의뢰된 아동을 중심으로" 한국아동심리재활학회 8 (8): 1-13, 2004

      37 송영혜, "또래관계 : 진단과 치료" 집문당 2007

      38 권연희, "남녀 유아의 부정적 정서성과 놀이 시 또래상호작용의 관계에 대한 교사-유아간 갈등적 관계의 조절효과" 한국유아교육학회 32 (32): 29-48, 2012

      39 박미정, "그림책을 활용한 명상활동이 유아의 자기조절력에 미치는 효과"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14 (14): 73-88, 2009

      40 Eisenberg, N., "The roots of prosocial behavior in children"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2

      41 Holloway, S. D., "The relationship of day care quality to children's free-play behavior and social problem-solving skills" 3 : 39-53, 1988

      42 Baron, R. M., "The moderator mediator variable distinction in social psychological research : Conceptual strategic, and statistical considerations" 51 : 1173-1182, 1986

      43 Webster-Stratton, C., "The effectiveness of early intervention" Brookes 429-453, 1997

      44 Guralnick, M. J., "The effectiveness of early intervention" Brookes 579-610, 1997

      45 Fox, N A., "The development of self-control of emotion : Intrinsic and extrinsic influences" 27 (27): 7-26, 2003

      46 Mischel, W.,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knowledge of self-control strategies" 54 : 603-619, 1983

      47 Guralnick, M. J., "Stability, change, and correlates of the peer relationships of young children with mild developmental delays" 77 (77): 312-324, 2006

      48 Wechsler, D., "Selected Papers of David Wechsler" Academic Press 39-48, 1974

      49 Blair, C., "School readiness : Integrating cognition and emotion in a neurobiological conceptualization of child functioning at school entry" 57 (57): 111-127, 2011

      50 Coolahan, K, "Preschool peer interactions and readiness to learn: Relationships between classroom peer play and learning behaviors and conduct" 92 (92): 458-465, 2000

      51 Putallaz, M., "Peer rejection in childhood"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90

      52 Eisenberg, N., "Parent's reaction to children's negative emotion : Relations to children's social competence and comforting behavior" 67 (67): 2227-2247, 1996

      53 박혜원, "K-WPPSI" 특수교육 1996

      54 Schelbel, J. L., "Emotion dysregulation and academic resilience in maltreated children" 39 (39): 289-303, 2010

      55 Fantuzzo, J. W., "Effects of adult and peer social initiations on the social behavior of withdrawn, maltreated preschool children" 56 : 34-39, 1988

      56 Persson, G. E. B., "Developmental perspectives on prosocial and aggressive motives in preschoolers' peer interactions" 29 (29): 80-91, 2005

      57 Eisenberg, N., "Children's emotion-related regulation" 30 : 189-229, 2002

      58 Brown, W. H., "An Intervention hierachy for promoting young children's peer interactions in natural environments" 21 (21): 162-175, 2001

      59 Fantuzzo, J., "A multivariate analysis of emotional and behavioral adjustment and preschool educational outcomes" 32 (32): 185-203, 2003

      60 Lieber, J., "A comparison of social pretend play in young children with and without disabilities" 4 : 148-161, 1993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6-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91 1.91 1.6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68 1.8 2.369 0.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