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한국, 일본, 중국의 ODA를 역사와 동기, 현황, 추진체계, 특징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 일본, 중국의 ODA는 개도국의 자조노력 지원, 경제인프라 집중 지원, 유상원조 중...
본 연구에서는 한국, 일본, 중국의 ODA를 역사와 동기, 현황, 추진체계, 특징 측면에서 비교 분석하였다. 한국, 일본, 중국의 ODA는 개도국의 자조노력 지원, 경제인프라 집중 지원, 유상원조 중시, 외교적 목적과 경제적 이익을 동시 추구하는 공통점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편, 한국, 일본은 OECD DAC 회원국인 반면에 중국은 DAC 회원국이 아니며, ODA 규모도 각각 큰 차이를 보이고 있다. 한국과 일본은 전담 원조기관이 있고, 아시아 지역을 중점 지원하고 있으나, 중국은 전담 원조기관이 없고 아프리카 지역을 중점 지원하고 있다. 한국과 중국은 구속성 원조 비율이 높고, 일본은 최빈국에 대한 지원 비율이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 일본, 중국은 자국의 개발경험을 바탕으로 수원국 상황에 맞는 맞춤형 원조를 추진해 나가면서, ODA 규모 확대, 비구속성 원조 확대, 최빈국 지원 강화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또한 한-일-중 3국간 ODA 협력사업을 추진할 필요가 있으며, 3국간 ODA 협력은 향후 대북한 개발협력사업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동북아 평화증진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