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등학교 고학년 학생들의 친구관계의 양상과 발달에 관한 조사연구 = A Survey Study on the Characteristics of Friend Relations and Their Development Across Upper Grades in an Elementary School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5076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의 일상적 삶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친구관계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그것이 학년 간에 어떤 변화와 발달을 나타내는가를 알...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고학년(4-6학년)의 일상적 삶에서 매우 중요한 비중을 차지하는 친구관계가 어떠한 양상을 보이고 있으며 그것이 학년 간에 어떤 변화와 발달을 나타내는가를 알아보고자 하는 것이었다. 연구방법은 질문지를 통한 조사연구로서 조사대상의 표본은 부산광역시의 신도심에 위치한 한 대규모 초등학교의 4, 5, 6학년 전체 학생으로서 표집인원수는 685명이었다. 친구관계의 양상에 대한 측정은 친구의 범위와 수, 이성친구와 이성교제, 친구의 중요도, 친구선택의 기준, 인기있는 친구의 특성, 친구들 간 서열, 친구에 대한 인식과 같은 문항들로 구성되었다. 이러한 문항들에 대한 측정,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았다. 친구의 수를 보면 친한 친구가 없는 경우는 0.7% 정도로 매우 적었고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친한 친구가 약간 더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대한 학년 간 차이는 별로 없었으나 6학년 여학생의 경우에 친한 친구의 수가 약간 적어지는 경향이 있었다. 이성친구와 이성교제는 대체로 매우 적고 낮은 수준이지만 5학년 이후에 뚜렷이 더 많아지는 경향이 있었다. 친구 간의 의리나 우정을 학년이나 성별에 관계없이 모두 중요하게 여기는 것으로 나타났다. 친구의 선택 기준, 인기있는 친구의 특성, 친구들 간의 서열 기준에서 나타난 학년 간차이를 보면 대체로 4학년은 5, 6학년에 비해 좀 더 순수한 면을 더 많이 보였으나 5학년이 되면서 좀 더 세속적이고 계산적인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6학년에서 그 이하 학년에 비해 뚜렷한 변화를 보인 친구관계의 양상으로는 이성교제와 같은 사춘기의 특징, 용모의 중시, 그리고 여학생들에 있어서 온라인 상의 집단따돌림 등이 현저하게 나타난다는 점이다. 요약하면, 초등학교 고학년 간에 친구관계의 양상은 크게 달라지지는않았지만 대체로 5, 6학년이 되면서 친구관계에서 좀 더 세속적이고 계산적인 경향이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 and their development across higher grades(4<sup>th</sup>-6<sup>th</sup> grade) in an large urban elementary school. A questionnaire survey was 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figure out the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 and their development across higher grades(4<sup>th</sup>-6<sup>th</sup> grade) in an large urban elementary school. A questionnaire survey was employed as a device of collecting data from 685 students. The characteristics of peer relations were measured by such a group of items as the number of close friends including opposite-sex friends, the criteria of choosing friends,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students, the criteria of hierarchy in students, the perception of one`s friend. The major results were as follows. The students who had no close friends were very few(0.7%) and male students had a bit more close friends than female students. Although the percentages of students who had opposite-sex friends and dated with them were very low they grew visible as the grade went up, particularly in the 5<sup>th</sup> grade. There was a common tendency of students in the criteria of choosing friends, the characteristics of popular students, and the criteria of hierarchy in students that the 4<sup>th</sup> grade students, compared with the 5<sup>th</sup> and 6th graders, turned out to be more innocent than the upper graders, while they became more secular and calculative as they went up to the upper grades. Lastly, among the visible differences in the development of peer relations for the 6th graders there were the appearance of adolescent traits(e.g. the increase in the concerns with opposite-sex) and their greater concerns with physical appearance in the peer relation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동현, "초등학생의 사회적 행동특성과 또래지위 관계에서 교사 선호도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1-24, 2012

      2 도금혜, "청소년의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3 이은해, "아동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20 (20): 77-95, 1999

      4 도현심, "아동의 수줍음, 대인적응성 및 또래수용성과 외로움 간의 관계" 17 (17): 33-43, 1996

      5 황혜정, "아동과 청소년의 친구관계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3 (23): 35-49, 2002

      6 김보경, "수줍은 아동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친구유무, 사회적 행동특성, 친구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6 (16): 23-37, 2009

      7 곽금주, "또래간 사회적 관계: 부정적 측면에 관한 개관" 13 (13): 77-89, 2000

      8 Doyle, A. B., "The effect of playmate familiarity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young children" 51 : 217-223, 1980

      9 Selman, R.,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understanding: Clinical and developmental analyses" Academic Press 1980

      10 Asher, S. 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friendship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1 김동현, "초등학생의 사회적 행동특성과 또래지위 관계에서 교사 선호도의 중재효과" 한국심리학회산하학교심리학회 9 (9): 1-24, 2012

      2 도금혜, "청소년의 인기도에 영향을 미치는 생태학적 변인" 경북대학교 대학원 2007

      3 이은해, "아동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20 (20): 77-95, 1999

      4 도현심, "아동의 수줍음, 대인적응성 및 또래수용성과 외로움 간의 관계" 17 (17): 33-43, 1996

      5 황혜정, "아동과 청소년의 친구관계 발달에 관한 연구" 한국아동학회 23 (23): 35-49, 2002

      6 김보경, "수줍은 아동의 친구관계에 관한 연구: 친구유무, 사회적 행동특성, 친구관계의 질을 중심으로" 한국인간발달학회 16 (16): 23-37, 2009

      7 곽금주, "또래간 사회적 관계: 부정적 측면에 관한 개관" 13 (13): 77-89, 2000

      8 Doyle, A. B., "The effect of playmate familiarity on the social interactions of young children" 51 : 217-223, 1980

      9 Selman, R., "The development of interpersonal understanding: Clinical and developmental analyses" Academic Press 1980

      10 Asher, S. R., "The development of children’s friendships" Cambridge University Press 1981

      11 Berndt, T. J., "The company they keep: Friendship in childhood and adolescence" Cambridge University 346-365, 1996

      12 Hartup, W. W., "Social relationships and their developmental significance" 44 (44): 120-126, 1989

      13 Parker, J. G., "Peer relationships in child development" John Wiley and Sons 95-131, 1989

      14 Bukowski, W. M., "Peer relationships and quality of life" 88 (88): 108-109, 1999

      15 Hay, D. F., "Peer relations in childhood" 45 (45): 84-108, 2004

      16 Howe, C., "Peer groups and children’s development" Wiley-Blackwell 2010

      17 Howes, C., "Patterns of friendship" 54 : 1041-1053, 1983

      18 Youniss, J., "Parents and peers in social developmen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80

      19 Healy, K. L., "Parenting practices, children’s peer relationships and being bullied at school" 24 : 127-140, 2015

      20 Kail, R. V., "Human Development" Wadworth/Thomson Learning 2000

      21 Gottman, J. M., "How children become friends" 48 : 1983

      22 Ladd, G. W., "Having friends, keeping friends, making friends, and being liked by peers in the classroom: Predictors of children’s early school adjustment?" 61 : 1081-1100, 1990

      23 Vandell, D. L., "Friendship and social relations in children" John Wiley and Sons 181-208, 1980

      24 Parker, J. G., "Friendship and friendship quality in middle childhood: Links with peer group acceptance and feelings of loneliness and social dissatisfaction" 29 : 611-621, 1993

      25 Furman, W., "Developmental changes in young children’s conceptions of friendship" 54 : 549-556, 1983

      26 Newcomb, A. F., "Children’s peer relations: a meta-analytic review of popular, rejected, neglected, controversial, and average sociometric status" 113 : 99-128, 1993

      27 Ladd, G. W., "Children’s peer relations and social competence" Yale University Press 2005

      28 Diaz, R. M., "Children’s knowledge of a best friend: fact or fancy?" 18 (18): 787-794, 1982

      29 Bigelow, B. J., "Children’s friendship expectations: A cognitive-developmental study" 48 : 246-253, 197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84 1.84 1.8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82 1.8 2.264 0.2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