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PVA도포 종이를 응용한 미술의상 연구 = The Study of Art Wear Applied PV A Coated Paper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6010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현대는 다양한 미디어들이 등장하여 종이 자체가 인쇄매체의 총아로서 지녔던 기존의 위력은 점차 약화되었으나 조형예술 분야에서 종이가 지닌 재질감을 비롯한 여러 장점을 새롭게 재인...

      현대는 다양한 미디어들이 등장하여 종이 자체가 인쇄매체의 총아로서 지녔던 기존의 위력은 점차 약화되었으나 조형예술 분야에서 종이가 지닌 재질감을 비롯한 여러 장점을 새롭게 재인식하여 조형적 표현 수단으로서 활발하게 활용 되어지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종이조형 기법을 이용하여 의상소재로서의 종이의 기능성과 심미성을 강화하고 독특한 실루엣과 형태를 강조 응용하였다. 또한 독창적인 디자인을 표현하여 예술 공연 및 의상이미지를 형상화 한 디스플레이용으로 이용가능한 미술의상을 창조하고자 하는 데 목적을 둔다. 이에 종이조형의 역사를 문헌을 통해 고찰하고 특성 및 기법과 더불어 종이의상의 발전 과정과 종이를 소재로 한 현대의상을 자료를 통해 팔펴보았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종이조형 기법은 변화무쌍한 조형성으로 인해 미술의상에 다양한 형태를 부여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음을 홝인할 수 있었다. 둘째, 종이의 빳빳한 성질은 주름과 컷팅 기법을 통해 입체적 조형미를 부여할 수 있었으며, 그에 따른 독특한 재질감은 중첩의 묘미를 표현하는데 효과적임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종이의 부족한 내구성을 보완하기 위해 PVA 접착제를 사용하여 종이간의 결합을 중대시키고 더불어 조형소재로서의 견고성과 착용가능성을 증가시켰다. 넷째, 종이조형 기법의 ㄷ양한 형태는 인채체와 연관하여 새롭고 독특한 실루엣을 형성함으로 인해, 평면에서부터 입체조형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표현이 가틍하며, 이를 미술의상에 응용함으로써 창조적인 조형감과 재질감을 구현할 수 있다. 다섯째, 종이의상은 섬유소재에 비하여 잘 찢어지고 물에 약한 단점이 있으나 일회성의 퍼포먼스나 공연의상으로는 사용 가능하며, 빛을 투과하는 종이의 특성을 고려할 때 상업공간의 장식이나 디스플 레이용으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종이의 가장 큰 단점인 내구성 부족의 한계를 PVA도포를 이용하여 극복하고, 종이조형 기법에 의한 미술의상의 독특한 조형미를 추구하고자 하였다. 또한 더욱더 다양한 종이소재와 종이조형기법을 접목시킨 복합적인 표현기법의 연구와 실험이 계속되고, 이를 통하여 미술의상에 있어서 예술성이 증대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e mcxiern ages, new appearance various media was weakening the influence of paper-based media. However, the strength of paper-feeling in the field of formative arts was newly understocxi and then is becoming the instrument of expression methcxi f...

      In the mcxiern ages, new appearance various media was weakening the influence of paper-based media. However, the strength of paper-feeling in the field of formative arts was newly understocxi and then is becoming the instrument of expression methcxi for formative art areas. This study is focusing on the unique silhouette and formation through sU``engthening the practicality and aesthetical functions of paper with a paper-formation methcxi, and then is applying these to costume design so that it is possible to create more than high value-added costume design-formation showing something unique. First, the paper-formation method has a potential of allowing diversity due to unshaped format. Second, due to original property of paper, the bonding can enhance the coupling prope.rty between papers in order to double the practicality, possibility of wearing and duration. Third, the various paper-formation methcxi can express from 2D to 3D freely thank to its new and unique silhouette related with human structure. it can be applied to dress design and realize the creative formation and material feeling. Lastly, the effort of application to dothes with the property of paper will look out the possibility of new valuable material for the costume design. in conclusion, I hope that the pursuit of unique formation of costume design through paper-formation method will be a key role enlarging its scale or area toward new valuable area of formation arts. Furthermore, more than uniqueness and practicality will be expended by the additional and complex study combining various paper-formation methods with new materials. That is my earnest desire.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