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한국 대학의 한국사 교양교육과 역사학 = General Education in University of Korea and Korean Histo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059427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th the so-called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peed of technology development is getting faster, while at rhe same time the polarization of labor market is getting worse. Therefore mid-skilled management layer is disappearing and the middle class ...

      With the so-called 4th Industrial Revolution, the speed of technology development is getting faster, while at rhe same time the polarization of labor market is getting worse. Therefore mid-skilled management layer is disappearing and the middle class is collapsing. There is no place to which humanities graduates to go and on the whole the humanities finds itself in crisis at university. After the modern university was established in Europe, general education had been understood as a essential device to secure criticism and universalities of university education. But with the crisis of humanities, the status of general education now stands on shaky ground.
      After the Korean liberation from Japan, value neutrality and marginality was strengthened and deepened in general education at university of Korea as the Japanese and American general education model was mixing together. The study of Korean history expanded tremendously in general education, when it was designated as a legal general education subject in 1974. For that reason, nationalistic nature of Korean history was strengthened and to some degree maintained after it was released from the legal ties in 1989. However the foundation of modern historiography is now fundamentally shaky. Thus we are in desperate need to seek a Korean history general education that can cultivate criticism, universality and imagin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른바 ‘4차산업혁명’의 전개와 함께 기술발전의 속도가 빨라지고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간숙련도의 관리자가 소멸하고 중간층이 몰락하고 있다. 인문학 전공...

      이른바 ‘4차산업혁명’의 전개와 함께 기술발전의 속도가 빨라지고 노동시장의 양극화가 심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중간숙련도의 관리자가 소멸하고 중간층이 몰락하고 있다. 인문학 전공자가 갈 곳을 잃고, 대학에서 인문학이 위기에 처하게 되었다. 유럽에서 근대대학이 성립한 이후 교양교육은 대학교육 의 비판성과 보편성을 확보하기 위한 필수장치로 이해되었다. 그러나 인문학의 위기와 함께 대학에서 교양교육이 차지하는 위상도 함께 동요하고 있다.
      해방 이후 한국대학의 교양교육은 일본식과 미국식 모델이 절충되는 가운데 가치중립적 성격이 강화됨 과 함께 전공교육의 주변적 성격 역시 심화되었다. 1974년 한국사가 대학에서 법정 교양과목으로 지정되 면서, 한국사 교양교육은 폭발적으로 확대되었다. 국책과목으로 지정되면서 강화된 한국사 교육의 민족주 의적 성격은 1989년 국책과목에서 해제된 이후에도 어느정도 유지되고 있다. 근대역사학의 토대가 근본적으로 흔들리고 있는 상황에서, 비판성과 보편성 그리고 상상력을 함양할 수 있는 한국사 교양교육 을 모색해나가야 할 필요가 절실하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Ivan Jablonka, "歷史は現代文學である" 名古屋大學出版會 2018

      2 손승남,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K-LAC)의 가능성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3-37, 2017

      3 신주백, "한국역사학의 전환" 휴머니스트 281-430, 2021

      4 최종철,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역사와 교훈 - 1970년대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 (1): 209-232, 2007

      5 백승수, "한국 고등교육의 교양교육과정 형성 과정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321-352, 2012

      6 칸트 임마누엘, "학부들의 논쟁" 도서출판 비 2012

      7 자카리아 파리드, "하버드 학생들은 더 이상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는다" 사회평론 11-41, 2015

      8 김기봉, "포스트코로나 문명 전환과 컴퓨터 역사학" 한국사학사학회 (42) : 239-262, 2020

      9 문재경, "초등학교 역사교육에서 민족정체성 교육 문제" 역사교육연구소 14 : 9-22, 2016

      10 최용규 ; 이광원, "초등학교 다문화 역사교육의 방안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65-80, 2011

      1 Ivan Jablonka, "歷史は現代文學である" 名古屋大學出版會 2018

      2 손승남, "한국형 리버럴아츠칼리지(K-LAC)의 가능성 탐색" 한국교양교육학회 11 (11): 13-37, 2017

      3 신주백, "한국역사학의 전환" 휴머니스트 281-430, 2021

      4 최종철, "한국 대학 교양교육의 역사와 교훈 - 1970년대 서울대학교 교양과정부 사례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 (1): 209-232, 2007

      5 백승수, "한국 고등교육의 교양교육과정 형성 과정 분석" 한국교양교육학회 6 (6): 321-352, 2012

      6 칸트 임마누엘, "학부들의 논쟁" 도서출판 비 2012

      7 자카리아 파리드, "하버드 학생들은 더 이상 인문학을 공부하지 않는다" 사회평론 11-41, 2015

      8 김기봉, "포스트코로나 문명 전환과 컴퓨터 역사학" 한국사학사학회 (42) : 239-262, 2020

      9 문재경, "초등학교 역사교육에서 민족정체성 교육 문제" 역사교육연구소 14 : 9-22, 2016

      10 최용규 ; 이광원, "초등학교 다문화 역사교육의 방안 탐색"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8 (18): 65-80, 2011

      11 요시다 아야, "일본의 교양교육: 70년간의 모색" 2020

      12 이정옥, "일본식 ‘교양교육’과 미국식 교양교육의 수용과정"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11-39, 2015

      13 김현진, "인문학의 성찰과 전망" 사회평론 2018

      14 김기봉, "인공지능 시대 빅 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 인간환경미래연구원 (22) : 61-86, 2019

      15 하경수, "우리나라 역사교육의 지형도 변화와 초등학교 현대사 교육" 이주사학회 22 : 284-318, 2020

      16 김기봉, "역사들이 속삭인다" 프로네시스 2009

      17 마코비츠 대니얼, "엘리트 세습" 세종 160-340, 2019

      18 안홍선, "식민지 중등교육체제 형성과 실업교육" 교육과학사 2017

      19 우석훈, "솔로계급의 경제학" 한울 131-153, 2014

      20 크리스천 데이비드, "빅 히스토리" 해나무 2013

      21 김기봉, "미래를 위한 ‘역사학 선언’과 빅히스토리" 한국서양사학회 (144) : 226-255, 2020

      22 강명숙, "미군정기 대학 단일화 정책 수립에 관한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9 (29): 433-453, 2002

      23 강명숙, "미군정기 대학 교육과정 운영의 변화와 그 의미" 한국교육사학회 24 (24): 87-104, 2002

      24 강명숙, "미군정기 고등교육 개혁의 특징과 성격" 교육비평사 13 : 250-267, 2003

      25 최형욱, "메타버스가 만드는 가상경제 시대가 온다" 한스미디어 2021

      26 이영달, "메리토크라시" 행복한북클럽 2021

      27 고석규, "대학의 한국사교육은 더욱 강화되어야 한다" 역사비평사 (봄) : 24-30, 1989

      28 서정혁, "대학의 교양 교육에 대한 철학적 성찰-헤겔의 『법철학』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149-160, 2020

      29 허준, "대학의 과거와 미래"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70-85, 2020

      30 백승철, "대학에서의 교양 한국사교육" 한국역사연구회 4 : 127-148, 1990

      31 신주백, "대학에서 교양 역사 강좌로서 ‘문화사’ 교재의 현황과 역사인식(1945~1960)" 한국근현대사학회 (53) : 176-209, 2010

      32 유지아, "대학교양교육을 위한 동아시아사 교육방안연구 -근대이후 동아시아관 형성과 현재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5 (5): 195-228, 2011

      33 안병우, "대학 한국사 교육의 현황과 과제" 한국역사연구회 20 : 68-87, 1996

      34 오종록, "대학 한국사 교양교육의 실태와 개혁 방안" 한국역사연구회 (52) : 51-88, 2004

      35 최상훈, "대학 역사교육의 현황과 과제" 서원대 인문과학연구소 15 : 27-39, 2009

      36 박혜정, "대학 세계사 교양교육을 위한 세 가지 교수 모델-세계문명사, 빅히스토리, 사료와 이미지 비판-" 역사교육학회 (64) : 3-26, 2017

      37 김한종, "대학 교양 역사교육을 어떻게 할 것인가?" 중앙대학교 교양교육연구소 4 : 1-15, 2011

      38 김지형, "대학 교양 ‘한국사’의 역사와 현실 - 시기별 담론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9 (9): 371-399, 2015

      39 서스킨드 대니얼, "노동의 시대는 끝났다" 와이즈베리 44-64, 2020

      40 아벤트 라이언, "노동의 미래" 민음사 164-198, 2018

      41 박정하, "기초학문과 대학교육" 2020

      42 김종철, "근대문명에서 생태문명으로" 녹색평론사 2019

      43 나인호, "국사를 넘어선 역사교육" 대구사학회 124 : 243-270, 2016

      44 백승수, "국립 리버럴아츠칼리지 설립의 교육적 타당성 고찰" 한국교양교육학회 12 (12): 231-250, 2018

      45 다니엘 벨, "교양교육의 개혁" 민음사 1994

      46 양재혁, "과거의 재현에서 시뮬레이션으로: 계산 역사학(Computational History)의 가능성에 관한 소고" 이주사학회 22 : 148-177, 2020

      47 이상동 ; 박충식, "From Data to Agents: 한국 디지털 역사학의 현주소와 AI 시대의 역사학" 이주사학회 22 : 178-202, 2020

      48 김기봉, "AI 시대 역사학, 컴퓨터 역사학" 수선사학회 (76) : 1-29, 2021

      49 박혜정, "21세기 교양교육의 융합학문적 지도 그리기 -빅히스토리의 인문학적 전환을 통하여" 한국교양교육학회 14 (14): 25-37, 202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01 2.01 2.1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1 2.11 2.837 0.4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