창경궁 오층석탑은 창경궁(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내 명정전 북쪽, 환경전歡慶殿과 함인정涵仁亭 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문화재청 궁능문화재과는2013년 창경궁의 석조문화재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1669808
2015
Korean
900
KCI등재
학술저널
154-189(36쪽)
0
0
상세조회0
다운로드창경궁 오층석탑은 창경궁(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내 명정전 북쪽, 환경전歡慶殿과 함인정涵仁亭 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문화재청 궁능문화재과는2013년 창경궁의 석조문화재 ...
창경궁 오층석탑은 창경궁(서울특별시 종로구 창경궁로 185) 내 명정전 북쪽, 환경전歡慶殿과 함인정涵仁亭 의 남쪽에 위치하고 있다. 문화재청 궁능문화재과는2013년 창경궁의 석조문화재 정밀실측사업을 추진하면서 이 석탑을 포함한 5개의 석조문화재에 대한 실측조사를 실시하고 『창경궁 내 석조문화재 정밀실측조사 설계용역 보고서』를 발간한 바 있다. 그러나 문화재청 궁능문화재과는 이 창경궁 오층석탑의 양식과 현황, 건립과 이건 연혁 등에 관한 보다 깊이 있는 조사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하여 중앙박물관에 일제강점기 창경궁 오층석탑 관련 자료의 확인을 요청하는 동시에, 특히 4층이상의 부재 등은 신 부재로 수리된 것으로 기 확인된바, 석탑의 보존현황, 양식적 특징 등에 관한 전문 학술조사연구의 수행을 국립문화재연구소와 협의하였다. 국립문화재연구소는 창경궁 오층석탑에 대하여 석탑의 부재 구성과 기법에 대한 건축적 조사, 문양 및 양식에 대한 미술사적 조사, 보존현황과 암석 특징에 대한 조사에 대하여 건축문화재연구실, 미술문화재연구실, 보존과학센터가 수행하기로 협의하였다. 우선 현장 상황을 확인하고 분야별 조사연구 항목을 설정하였다. 현장조사를 위한 가설 비계 설치 전석탑의 지반에 대한 조사를 위한 물리탐사를 실시하는한편, 분야별 현황 조사 및 사진 촬영 등이 이루어졌으며 현황 조사 결과를 토대로 관련 자료를 수집, 분석하였다. 분야별 조사연구 결과에 대한 여러 차례의 논의를 통하여 비지정문화재인 창경궁 내 오층석탑에 대한기초적인 학술조사연구 결과를 작성하였다. 분야별 조사자 및 원고 작성자는 다음과 같다. 국립문화재연구소건축문화재연구실 조은경, 김시현미술문화재연구실 이난영, 김정임, 정원주보존과학센터 김사덕, 이태종, 오정현, 조하진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진홍섭, "한국의 안상문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4 : 1974
2 이수곤, "한국의 산사태 현황조사" 과학기술처 1989
3 ㈜영진지하개발, "한국은행 신축부지 지질조사보고서" 1982
4 강우방, "한국美의 재발견" 2003
5 전효택 외, "풍화단계에 따른 서울화강암의 지질공학적 특성연구" 27 : 1990
6 문화재청, "창경궁 내 석조문화재 정밀실측조사 설계용역 보고서" 2013
7 이성시, "조선왕조의 상징공간과 박물관,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휴머니스트 2004
8 朝鮮總督府, "조선고적도보" (주)진인진 2005
9 박대윤, "조선 성종 태봉(胎峰)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33) : 331-363, 2010
10 국립문화재연구소, "전라북도의 석탑" 2004
1 진홍섭, "한국의 안상문양" 단국대학교 동양학연구원 4 : 1974
2 이수곤, "한국의 산사태 현황조사" 과학기술처 1989
3 ㈜영진지하개발, "한국은행 신축부지 지질조사보고서" 1982
4 강우방, "한국美의 재발견" 2003
5 전효택 외, "풍화단계에 따른 서울화강암의 지질공학적 특성연구" 27 : 1990
6 문화재청, "창경궁 내 석조문화재 정밀실측조사 설계용역 보고서" 2013
7 이성시, "조선왕조의 상징공간과 박물관, 국사의 신화를 넘어서" 휴머니스트 2004
8 朝鮮總督府, "조선고적도보" (주)진인진 2005
9 박대윤, "조선 성종 태봉(胎峰)의 풍수지리적 특징 비교 -초장지와 이장지를 중심으로-" 한국학연구소 (33) : 331-363, 2010
10 국립문화재연구소, "전라북도의 석탑" 2004
11 小宮三保松, "이왕가박물관소장품사진첩" 1912
12 엄기표, "신라와 고려시대 석조부도" 학연문화사 2003
13 국립문화재연구소, "석조문화재 풍화훼손지도 작성법" 2010
14 김옥준 외, "서울지하철 부지일대 암석의 암석학적 및 암석역학적 기준 설정을 위한 연구" 17 : 1984
15 홍승호 외, "서울 지질도폭 설명서" 한국동역자원연구소 1982
16 김수진, "서울 지역의 자연환경 변화에 관한 연구 : 남산 화강암의 풍화에 관한 환경광물학적 연구" 30 : 1994
17 김원사 외, "서울 남산 화강암의 풍화에 관한 환경광물학적 연구" 16 : 1998
18 이찬희, "부여 정림사지 오층석탑 구성암석의 원산지 추정" 대한지질학회 43 (43): 183-196, 2007
19 김정환 외, "백악기 부여분지의 구조적 진화" 30 (30): 1994
20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근대건축도면집(해설편)" 2009
21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근대건축도면집(도면편)" 2009
22 한국학중앙연구원 장서각, "근대건축도면집" 2009
23 좌용주 외, "경주 불국사와 석굴암의 석조 건축물에 사용된 석재의 공급지에 대하여" 36 : 2000
24 文化財管理局, "東闕圖" 文化財管理局 1991
25 韓國文化財保護協會, "東闕圖" 韓國文化財保護協會 1992
26 송기형, "‘창경궁박물관’ 또는 ‘이왕가박물관’의 연대기" 72 : 1999
27 창덕궁관리소, "(일본 궁내청 소장)창덕궁 사진첩"
학술지 이력
|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 2008-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 2016 | 0.39 | 0.39 | 0.32 |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 0.3 | 0.32 | 0.57 | 0.0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