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국민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주체적 민주시민’을 기르는 교육과정으로: 향후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진로 모색 = Critical Appraisal and Proposal for Future Research in History Curriculum : From National Identity Education to Democratic Civil Education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46295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confirming the important role of the study of history curriculum in overcoming the current deep crisis caused by wrong history education policies of conservative government.
      And I must stress, real improvement we want, only works with studentdirected- researches, which see students as subjects of education.
      From this point, it is worth highlighting that ‘korean modern history’ has become the important part of history curriculum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 to recent surveys on ‘Student’ s Opinion on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taken in large scale more then 1,200 every time by teachers and researchers belonging to the History Education Institute, Over 70 percent of students choos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s worthy of study in all ages of korean history. Another one thing to remember as productive result in the field of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is the ‘History’, the new-born subject in 2007 revised history curriculum, the best feature of it is comprehensive recognition and reflection through World-Korean history. Until then, our history education has been very rigid and has lacked any diversity.
      On top of that, in these days, some researchers and teachers began to look at the potential of history education as core subject in democratic civil education. They are seeking various ways to develop history curriculum which vased on democratic values.
      Then I put forward three future-oriented propositions, necessary for progression in the study of student-centered program history curriculum. First is to examine critically ‘state-centric-narration’ Which deeply ingrained in history textbooks and ordinary public understanding about korean history. Second, we need to come up with various ways for organizing democratic values-based curriculum; peace, civil rights, the respect of difference and coexistence and so on. Third, we must realize that to delay is no option in the fight with a series of measures designed to entrench of deep- right- biased history curriculum.
      번역하기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confirming the important role of the study of history curriculum in overcoming the current deep crisis caused by wrong history education policies of conservative government. And I must stress, real improvement we want, o...

      The focus of this paper is on confirming the important role of the study of history curriculum in overcoming the current deep crisis caused by wrong history education policies of conservative government.
      And I must stress, real improvement we want, only works with studentdirected- researches, which see students as subjects of education.
      From this point, it is worth highlighting that ‘korean modern history’ has become the important part of history curriculum since the 7th national curriculum. According to recent surveys on ‘Student’ s Opinion on History and History Education’ taken in large scale more then 1,200 every time by teachers and researchers belonging to the History Education Institute, Over 70 percent of students choose the modern and contemporary as worthy of study in all ages of korean history. Another one thing to remember as productive result in the field of national curriculum development is the ‘History’, the new-born subject in 2007 revised history curriculum, the best feature of it is comprehensive recognition and reflection through World-Korean history. Until then, our history education has been very rigid and has lacked any diversity.
      On top of that, in these days, some researchers and teachers began to look at the potential of history education as core subject in democratic civil education. They are seeking various ways to develop history curriculum which vased on democratic values.
      Then I put forward three future-oriented propositions, necessary for progression in the study of student-centered program history curriculum. First is to examine critically ‘state-centric-narration’ Which deeply ingrained in history textbooks and ordinary public understanding about korean history. Second, we need to come up with various ways for organizing democratic values-based curriculum; peace, civil rights, the respect of difference and coexistence and so on. Third, we must realize that to delay is no option in the fight with a series of measures designed to entrench of deep- right- biased history curriculum.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이 글은 오늘날 역사교육이 처한 엄혹한 상황을 타개하는 출발점이 교육 주체인 학생의 삶을중심으로 역사교육을 재구성하는데 있음을 분명히 하고, 교육과정 연구가 그 핵심을 담당해야 함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 연구와 국가 교육과정 개발의 긍정적 유산으로두 가지를 들었는데, 첫 번째는 근현대사 교육의 강조이고, 두 번째는 국사 중심 역사교육에서 세계사와 함께하는 역사교육으로의 전환이다.
      이어서 최근 역사교육계에서 공감대를 넓혀가는 새로운 역사교육과정 연구와 실천의 동향을‘국민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주체적 민주시민’을 기르는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으로 잠정 정의하고, 이 맥락에서 향후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 번째는 현실 진단의 과제로서 국가 중심 서사 및 그 재생산 구조에 대한 비판적 검토이다. 수십 년간공고하게 형성 유지된 국가주의 역사교육의 유산을 극복하고 새로운 변화의 토대를 확고히 하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미래 역사교육의 상을 마련하는 과제로 평화와 인권, 다문화와 공존 등 민주적 가치와 덕목을 중심으로 역사교육과정 구성 원리를 연구하고 국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필요한 이론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세 번째는 급격히 달라진 역사교육의 외적 조건을 인식하기위한 것으로 ‘우파’ 역사인식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정리이다. ‘우파’ 역사교과서의등장이 역사교육계에 몰고 온 충격에 대해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차원에서 대응하고, 학습자를 위한 역사교육 내용 체계를 모색하는 또 다른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어야 한다.
      번역하기

      이 글은 오늘날 역사교육이 처한 엄혹한 상황을 타개하는 출발점이 교육 주체인 학생의 삶을중심으로 역사교육을 재구성하는데 있음을 분명히 하고, 교육과정 연구가 그 핵심을 담당해야 ...

      이 글은 오늘날 역사교육이 처한 엄혹한 상황을 타개하는 출발점이 교육 주체인 학생의 삶을중심으로 역사교육을 재구성하는데 있음을 분명히 하고, 교육과정 연구가 그 핵심을 담당해야 함을 확인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따라 교육과정 연구와 국가 교육과정 개발의 긍정적 유산으로두 가지를 들었는데, 첫 번째는 근현대사 교육의 강조이고, 두 번째는 국사 중심 역사교육에서 세계사와 함께하는 역사교육으로의 전환이다.
      이어서 최근 역사교육계에서 공감대를 넓혀가는 새로운 역사교육과정 연구와 실천의 동향을‘국민적 정체성’ 형성을 위한 교육과정에서 ‘주체적 민주시민’을 기르는 교육과정으로의 전환으로 잠정 정의하고, 이 맥락에서 향후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방향을 세 가지로 제안하였다. 첫 번째는 현실 진단의 과제로서 국가 중심 서사 및 그 재생산 구조에 대한 비판적 검토이다. 수십 년간공고하게 형성 유지된 국가주의 역사교육의 유산을 극복하고 새로운 변화의 토대를 확고히 하려는 것이다. 두 번째는 미래 역사교육의 상을 마련하는 과제로 평화와 인권, 다문화와 공존 등 민주적 가치와 덕목을 중심으로 역사교육과정 구성 원리를 연구하고 국가 교육과정을 개발하는데필요한 이론을 만들어내는 것이다. 세 번째는 급격히 달라진 역사교육의 외적 조건을 인식하기위한 것으로 ‘우파’ 역사인식과 교육과정에 대한 비판적 검토와 정리이다. ‘우파’ 역사교과서의등장이 역사교육계에 몰고 온 충격에 대해 역사교육과정 연구의 차원에서 대응하고, 학습자를 위한 역사교육 내용 체계를 모색하는 또 다른 출발점으로 삼을 수 있어야 한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강선주, "해방 이후 역사 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싼 쟁점" 역사교육연구회 (97) : 91-125, 2006

      2 김한종, "중등 역사교과서 개편의 과정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64) : 5-42, 2011

      3 방지원, "중·고등학생들의 현대사 인식과 역사교육 — 전국역사교사모임, 역사교육연구소의 ‘역사의식조사’결과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30) : 41-81, 2014

      4 구난희, "우리 역사교육의 역사" 휴머니스트 2015

      5 강선주,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과 조직 연구의 현황 및 문제" 역사교육연구회 (113) : 71-101, 2010

      6 김한종, "역사교육으로 읽는 한국현대사 -국민학교에서 역사교과서 파동까지" 책과함께 2013

      7 방지원, "역사교육 정상화의 과제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회복 문제" 한국역사교육학회 (18) : 239-282, 2013

      8 최상훈, "역사과 교육과정 60년의 변천과 진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2 (12): 205-236, 2005

      9 양정현, "역사과 강화방안, 역사과 교육과정, 자유민주주의" 5 : 2012

      10 윤세병, "세계사 교육의 내용선정 기준으로서의 민주주의―중국사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89-128, 2014

      1 강선주, "해방 이후 역사 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싼 쟁점" 역사교육연구회 (97) : 91-125, 2006

      2 김한종, "중등 역사교과서 개편의 과정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64) : 5-42, 2011

      3 방지원, "중·고등학생들의 현대사 인식과 역사교육 — 전국역사교사모임, 역사교육연구소의 ‘역사의식조사’결과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30) : 41-81, 2014

      4 구난희, "우리 역사교육의 역사" 휴머니스트 2015

      5 강선주,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과 조직 연구의 현황 및 문제" 역사교육연구회 (113) : 71-101, 2010

      6 김한종, "역사교육으로 읽는 한국현대사 -국민학교에서 역사교과서 파동까지" 책과함께 2013

      7 방지원, "역사교육 정상화의 과제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회복 문제" 한국역사교육학회 (18) : 239-282, 2013

      8 최상훈, "역사과 교육과정 60년의 변천과 진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2 (12): 205-236, 2005

      9 양정현, "역사과 강화방안, 역사과 교육과정, 자유민주주의" 5 : 2012

      10 윤세병, "세계사 교육의 내용선정 기준으로서의 민주주의―중국사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89-128, 2014

      11 具 蘭 憙, "세계사 교육과정의 현황과 개선 방안" 역사교육연구회 (93) : 109-141, 2005

      12 양정현, "사회과통합논의와 역사교육" 61 : 1997

      13 김한종, "사회과 통합의 문제점과 자국사교육의 위기" 49 : 1999

      14 황현정, "민주주의 요소로 본 역사교육 내용 선정 원리"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49-88, 2014

      15 이동욱, "민주주의 관점으로 구성한 역사수업 탐색" 11 : 2015

      16 김육훈, "민주공화국의 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 시론" 한국역사교육학회 (18) : 197-237, 2013

      17 김육훈, "국가주의와 역사교육, 그 너머를 향하여" 11 : 2015

      18 나인호, "교학사 교과서에 나타난 ‘대한민국 사관’" 역사문제연구소 (110) : 258-284, 2015

      19 강화정,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의 현대사 서술과 민주주의 교육"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129-173, 2014

      20 양호환, "교육과정에서 역사과의 위상에 대한 논의의 허와 실" 79 : 2001

      21 양정현, "교육과정 리더십론과 2009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 36 : 2009

      22 양정현, "고등학교<한국사> 교육과정 편성과 교과서검정의양상" 한국역사교육학회 (12) : 156-191, 2010

      23 김민수, "<동아시아사> 관점에서 구성한 민주주의 수업: 비교사와 연관사의 관점에서 접근한 『동아시아사』 수업안" 한국역사교육학회 (19) : 385-426,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1 1.21 1.2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 1.11 1.919 0.2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