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강선주, "해방 이후 역사 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싼 쟁점" 역사교육연구회 (97) : 91-125, 2006
2 김한종, "중등 역사교과서 개편의 과정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64) : 5-42, 2011
3 방지원, "중·고등학생들의 현대사 인식과 역사교육 — 전국역사교사모임, 역사교육연구소의 ‘역사의식조사’결과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30) : 41-81, 2014
4 구난희, "우리 역사교육의 역사" 휴머니스트 2015
5 강선주,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과 조직 연구의 현황 및 문제" 역사교육연구회 (113) : 71-101, 2010
6 김한종, "역사교육으로 읽는 한국현대사 -국민학교에서 역사교과서 파동까지" 책과함께 2013
7 방지원, "역사교육 정상화의 과제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회복 문제" 한국역사교육학회 (18) : 239-282, 2013
8 최상훈, "역사과 교육과정 60년의 변천과 진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2 (12): 205-236, 2005
9 양정현, "역사과 강화방안, 역사과 교육과정, 자유민주주의" 5 : 2012
10 윤세병, "세계사 교육의 내용선정 기준으로서의 민주주의―중국사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89-128, 2014
1 강선주, "해방 이후 역사 교육과정 개정을 둘러싼 쟁점" 역사교육연구회 (97) : 91-125, 2006
2 김한종, "중등 역사교과서 개편의 과정과 성격" 한국고대사학회 (64) : 5-42, 2011
3 방지원, "중·고등학생들의 현대사 인식과 역사교육 — 전국역사교사모임, 역사교육연구소의 ‘역사의식조사’결과를 중심으로 —" 역사교육연구회 (130) : 41-81, 2014
4 구난희, "우리 역사교육의 역사" 휴머니스트 2015
5 강선주, "역사교육의 내용 선정과 조직 연구의 현황 및 문제" 역사교육연구회 (113) : 71-101, 2010
6 김한종, "역사교육으로 읽는 한국현대사 -국민학교에서 역사교과서 파동까지" 책과함께 2013
7 방지원, "역사교육 정상화의 과제와 2007 개정 교육과정의 회복 문제" 한국역사교육학회 (18) : 239-282, 2013
8 최상훈, "역사과 교육과정 60년의 변천과 진로" 한국사회교과교육학회 12 (12): 205-236, 2005
9 양정현, "역사과 강화방안, 역사과 교육과정, 자유민주주의" 5 : 2012
10 윤세병, "세계사 교육의 내용선정 기준으로서의 민주주의―중국사를 중심으로"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89-128, 2014
11 具 蘭 憙, "세계사 교육과정의 현황과 개선 방안" 역사교육연구회 (93) : 109-141, 2005
12 양정현, "사회과통합논의와 역사교육" 61 : 1997
13 김한종, "사회과 통합의 문제점과 자국사교육의 위기" 49 : 1999
14 황현정, "민주주의 요소로 본 역사교육 내용 선정 원리"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49-88, 2014
15 이동욱, "민주주의 관점으로 구성한 역사수업 탐색" 11 : 2015
16 김육훈, "민주공화국의 시민을 기르는 역사교육 시론" 한국역사교육학회 (18) : 197-237, 2013
17 김육훈, "국가주의와 역사교육, 그 너머를 향하여" 11 : 2015
18 나인호, "교학사 교과서에 나타난 ‘대한민국 사관’" 역사문제연구소 (110) : 258-284, 2015
19 강화정, "교학사 『한국사』 교과서의 현대사 서술과 민주주의 교육" 한국역사교육학회 (20) : 129-173, 2014
20 양호환, "교육과정에서 역사과의 위상에 대한 논의의 허와 실" 79 : 2001
21 양정현, "교육과정 리더십론과 2009 개정 역사과 교육과정" 36 : 2009
22 양정현, "고등학교<한국사> 교육과정 편성과 교과서검정의양상" 한국역사교육학회 (12) : 156-191, 2010
23 김민수, "<동아시아사> 관점에서 구성한 민주주의 수업: 비교사와 연관사의 관점에서 접근한 『동아시아사』 수업안" 한국역사교육학회 (19) : 385-426,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