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U FP6 Welfare Quality<sup>&#x00AE;</sup> Poultry Assessment System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83435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동물복지는 유럽의 소비자들과 시민들에게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이 최근의 여론조사에서 확인되었다. 동물복지는 개별동물의 특성이라는 것 때문에 연구자들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

      동물복지는 유럽의 소비자들과 시민들에게 상당히 중요하다는 것이 최근의 여론조사에서 확인되었다. 동물복지는 개별동물의 특성이라는 것 때문에 연구자들 뿐만 아니라 다른 사람들도 동물에 근거한 평가기준 (동물에서 측정된 척도, 예를 들면, 동물의 건강과 행동)이 동물복지의 타당한 표식이 될 수 있다고 오래 동안 제안해왔다. 그러므로 복지의 평가기준은 필수적으로 동물을 사용한 평가 척도에 바탕을 둘 수 있으며, 반면에 자원을 근거로 한 평가 기준은 위해요소들을 평가할 수 있는 능력을 제공한다. 이 계획의 첫 번째 목표는 복지를 감시하는 체계를 개발하여 복지의 척도를 접근 가능하고 이해할 수 있는 정보로의 표준화된 변환을 통하여 복지의 상태를 평가할 수 있게 하는 것이다. 한편 얻어진 정보는 동물시설 관리자들에게 제공되어 동물복지의 상태에 대하여 알게 하며, 또 다른 한편으로는 소비자와 소매상에게 동물 관련 제품의 복지 상태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두 번째 목표는, 유해한 행동적 및 생리적인 사태의 발생을 최소화하고, 인간과 동물간의 관계를 향상시키며, 그리고 동물에게 안전하고 흥미로운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동물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포함되어야 할 복지에 대한 다른 측정 가능한 양상들은 복지의 표준들로 변환된다. 이들은, 동물복지과학으로 이해되는 것처럼, 동물에게 의미 있는 것을 반영한다. 일단 동물시설에 대한 모든 평가척도들이 측정되면, 그 시설물의 동물복지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를 수행하기 위한 상향식 접근이 있게 된다. 먼저 수집된 자료 (즉, 그 동물 시설에 대한 다른 척도로 얻어진 수치) 는 합쳐져서 표준 점수가 계산된다. 그리고 나서 표준점수는 합쳐져서 원칙 점수가 계산되며, 마지막으로, 얻어진 원칙 점수에 따라서 그 동물 시설에 대한 복지의 범주가 정해진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nimal welfare is of considerable importance to European consumers and citizens, this being most recently confirmed in EU barometer studies. Researchers and others have long proposed that animal-based measures (measures taken on animals, e.g. their he...

      Animal welfare is of considerable importance to European consumers and citizens, this being most recently confirmed in EU barometer studies. Researchers and others have long proposed that animal-based measures (measures taken on animals, e.g. their health and behaviour) can provide a valid indicator of animal welfare; since welfare is a characteristic of the individual animal. Therefore, a welfare assessment can be essentially based on animal-based measures, but with use of resource measures to provide the capacity to assess 'risk factors'. The first goal of this project was to develop a welfare monitoring system that enables assessment of welfare status through standardised conversion of welfare measures into accessible and understandable information. The acquired information on one hand provides feedback to animal unit managers about the welfare status of their animals, and on the other, information on the welfare status of animal-related products for consumers and retailers. The second goal of Welfare $Quality^{(R)}$ was to improve animal welfare by minimising the occurrence of harmful behavioural and physiological states, improving human-animal relationships, and providing animals with safe and stimulating environments. The different measurable aspects of welfare to be covered are turned into welfare criteria. The criteria reflect what is meaningful to animals as understood by animal welfare science. Once all the measures have been performed on an animal unit, a bottom-up approach is followed to produce an overall assessment of animal welfare on that particular unit: first the data collected (i.e. values obtained for the different measures on the animal unit) are combined to calculate criterion-scores; then criterion-scores are combined to calculate principle-scores; and finally the animal unit is assigned to a welfare category according to the principle-scores it obtained.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