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다양한 접착제로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의 특성(II) - 폼알데하이드·총휘발성유기화합물 방출 특성 및 연소 형상 - = Characteristics of Low Density Fiberboards Bonded with Different Adhesives for Thermal Insulation (II) - Formaldehyde·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Emission Properties and Combustion Shapes -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737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섬유 단열재는 친환경·고단열성에 기인하여 저에너지 및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 공간 형성을 위한 핵심 건축재료로 고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접착제로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

      목섬유 단열재는 친환경·고단열성에 기인하여 저에너지 및 쾌적하고 안전한 주거 공간 형성을 위한 핵심 건축재료로 고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로 다른 접착제로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의 폼알데하이드(HCHO)·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방출 및 화염에 의한 연소 형상을 조사하였다. 멜라민·요소·폼알데하이드(MUF), 페놀·폼알데하이드(PF), emulsified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eMDI) 및 라텍스 수지 접착제 등으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 4종의 HCHO·TVOC 방출 특성 및 연소 형상은 각각 챔버법과 화염실험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그 결과 MUF, eMDI, 라텍스 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들은 Super E0급의 우수한 HCHO 저방출 성능을 나타냈다. 반면 PF 수지로 제조된 저밀도섬유판은 E0급 성능을 나타내었다. TVOC 방출량은 모든 저밀도섬유판이 국내 실내공기질 기준(이하 400 μg/㎡·h)을 만족하였으며, 기존 석유계 합성원료 기반의 단열재보다 낮은 수치를 나타냈다. 그중에서도 특히 eMDI 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경우에서는 HCHO 및 TVOC 방출량이 각각 0.14 mg/ℓ, 12 μg/㎡·h로 가장 낮게 측정 되었다. 그러나 eMDI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에서 방출된 VOC의 성분을 조사한 결과, 톨루엔 성분(3 μg/㎡·h)이 소 량 검출되었다. 화염에 의한 연소시험에서는 MUF 수지 접착제로 제조한 저밀도섬유판이 다른 경우에 비하여 연소 후 비교적 가장 양호한 형상을 나타내었다. HCHO 및 TVOC 방출 특성, 연소 형상을 고려하였을 때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은 MUF 수지 접착제가 가장 적합할 것으로 판단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oodfiber insulation board can be considered as a one of the key material for low energy consumption, comfortable and safety construction of residential space because of its eco-friendly and hig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This study was carried ...

      Woodfiber insulation board can be considered as a one of the key material for low energy consumption, comfortable and safety construction of residential space because of its eco-friendly and high thermal insulation performance.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formaldehyde (HCHO)·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 (TVOC) emission properties and combustion shapes by flame test of low density fiberboards (LDFs) prepared with different adhesives. HCHO·TVOC emission and combustion properties of LDFs prepared by melamine·urea·formaldehyde (MUF), phenol ·formaldehyde (PF), emulsified methylene diphenyl diisocyanate (eMDI) and latex resin adhesives were measured by desiccator method, 20 L chamber method, and flame test, respectively. As results, LDFs manufactured by MUF, eMDI and latex resin adhesives satisfied the Super E0 grade of HCHO emission performance except PF resin. Furthermore, TVOC emission of all LDFs were satisfied the Korean indoor air quality standard (below 400 μg/㎡·h). Especially, LDF with eMDI resin adhesive showed the lowest HCHO and TVOC emissivity, that 0.14 mg/ℓ, 12 μg/㎡·h, respectively. However, eMDI emitted the small amount (3 μg/㎡·h) of toluene in VOC components. In the flame test, LDF with MUF resin adhesives showed the most favorable shape after flame test compare to LDFs prepared other adhesives. Based on HCHO and TVOC emission, and combustion shapes, MUF resin adhesive may be recommended to prepare LDF for insulation purpose.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석환, "목조건축물 구조부재의 열전도율에 따른 건물외피의 단열 성능" 한국목재공학회 41 (41): 515-527, 2013

      2 장재혁, "다양한 접착제로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의 특성(I) - 단열성능 및 물리적 성질-" 한국목재공학회 45 (45): 360-367, 2017

      3 장재혁, "건축재료의 폼알데하이드 방출 특성 및 탄화보드에 의한 저감 효과" 한국목재공학회 45 (45): 327-334, 2017

      4 Salem, M.Z.M., "Understanding of formaldehyde emissions from solid wood: An overview" 8 (8): 4775-4790, 2013

      5 Woolley, W. D., "The prediction of combustion products" 1 : 11-21, 1977

      6 Dunky, M., "Resins for ultra low formaldehyde emission according to the Japanese F**** quality" 343-349, 2005

      7 Feist, W., "Re-inventing air heating: Convenient and comfortable within the frame of the passive house concept" 37 : 1186-1203, 2005

      8 Hirata, T., "Pyrolysis of melamine-formaldehyde and urea-formaldehyde resins" 42 : 3147-3163, 1991

      9 Pizzi, A., "Progress in adhesion and adhesives" Scrivener Publishing 85-123, 2015

      10 강유진, "PHPP를 활용한 조적, 콘크리트, 목조 레이어 구성별 표준주택 냉⋅난방 에너지 요구량 평가" 한국목재공학회 45 (45): 1-11, 2017

      1 김석환, "목조건축물 구조부재의 열전도율에 따른 건물외피의 단열 성능" 한국목재공학회 41 (41): 515-527, 2013

      2 장재혁, "다양한 접착제로 제조한 단열재용 저밀도섬유판의 특성(I) - 단열성능 및 물리적 성질-" 한국목재공학회 45 (45): 360-367, 2017

      3 장재혁, "건축재료의 폼알데하이드 방출 특성 및 탄화보드에 의한 저감 효과" 한국목재공학회 45 (45): 327-334, 2017

      4 Salem, M.Z.M., "Understanding of formaldehyde emissions from solid wood: An overview" 8 (8): 4775-4790, 2013

      5 Woolley, W. D., "The prediction of combustion products" 1 : 11-21, 1977

      6 Dunky, M., "Resins for ultra low formaldehyde emission according to the Japanese F**** quality" 343-349, 2005

      7 Feist, W., "Re-inventing air heating: Convenient and comfortable within the frame of the passive house concept" 37 : 1186-1203, 2005

      8 Hirata, T., "Pyrolysis of melamine-formaldehyde and urea-formaldehyde resins" 42 : 3147-3163, 1991

      9 Pizzi, A., "Progress in adhesion and adhesives" Scrivener Publishing 85-123, 2015

      10 강유진, "PHPP를 활용한 조적, 콘크리트, 목조 레이어 구성별 표준주택 냉⋅난방 에너지 요구량 평가" 한국목재공학회 45 (45): 1-11, 2017

      11 Kim, G. N., "Modification of SBR latex and its adhesion characteristic" 29 (29): 444-452, 1994

      12 "Korea Standard KS M 1998. Determination of the emission rate of formaldehyde and volatile organic compounds in building interior products"

      13 "Korea Standard KS F ISO 5660-1. Reaction to fire test -Heat release, smoke production and mass loss rate- Part 1: Heat release rate (cone calorimeter method)"

      14 Korea Standards Association, "Korea Standard KS F 3200. Fiberboards"

      15 "Korea Standard KS F 2271. Testing method for incombustibility of internal finish material and element of buildings"

      16 Missia, D. A., "Indoor exposure from building materials: A field study" 44 : 4388-4395, 2010

      17 Kim, J. H., "Formaldehyde emissions from particle board made with phenol-urea-formaldehyde resin prepared by different synthesis methods" 29 (29): 2090-2103, 2015

      18 Salem, M. Z. M., "Formaldehyde emission from wood-based panels bonded with different formaldehyde-based resins" 62 (62): 177-183, 2011

      19 Kamke, F. A., "Adhesive penetration in wood -A review" 39 (39): 205-220, 2007

      20 Yu, C., "A review of the emission of VOCs from polymeric materials used in buildings" 33 (33): 357-374, 1998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3 평가예정 해외DB학술지평가 신청대상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해외등재 학술지 평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1999-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 0.5 0.5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8 0.45 0.457 0.1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