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재외국민 대학생들의 한국 언어·문화 적응의 어려움에 관한 심층면담 연구 = Education Plan Study, Based on the In-Depth Interviews on the Difficulties of Overseas Korean College Students in Adapting 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02025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tudy started with the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for overseas college students who entered Korean universities, who are having difficulty adapting 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study started with the need for educational support for overseas college students who entered Korean universities, who are having difficulty adapting 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depth understanding of the difficulties of adapting 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rough in-depth interviews with overseas Korean college students who entered Korean universities and to provide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upport that meets their needs. To this end, the study was conducted in-depth interview with 12-year special admissions students who are expected to have the most difficulty adapting to Korean language and culture. The participants were students who were attending universities in Seoul. The researcher contacted the study participants in advance to fully explain the purpose of the study. After that, the questionnaire was sent first, and only the students who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were interviewed. Overseas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writing, reading, grammar and orthography in the Korean language area, and in the Korean culture area, they were experiencing difficulties in top-down relationships due to age differences, severe competition, different forms of communication, lack of historical knowledge and distortion. In addition, they complained about the confusion of identity, loneliness, prejudice, and difficulty in writing document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provided implications for educational support that suits the needs of overseas college students through in-depth research.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한국의 언어와 문화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의 대학에 입학한 재외국민 대학생들에 대한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대학에 입학한...

      본 연구는 한국의 언어와 문화 적응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한국의 대학에 입학한 재외국민 대학생들에 대한 교육적 지원의 필요성에서 출발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의 대학에 입학한 재외국민 대학생들에 대한 심층면담을 통해 이들의 한국어와 한국 문화 적응의 어려움이 무엇인지 심층적으로 이해하고, 이들의 필요에 맞는 교육 지원에 대한 시사점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본고에서는 한국 언어·문화 적응에 가장 어려움을 경험할 것으로 예상되는 한국대학에 12년 특례로 입학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였다. 연구 참여자들은 대부분 서울 소재 대학에 재학 중인 학생들이었고, 면담 전 미리 연락하여 연구의 취지를 충분히 설명하였다. 그 후 질문지를 먼저 보내어 연구 참여에 대해 동의한 학생들과만 면담을 진행하였다. 재외국민 대학생들은 한국어 영역에서는 쓰기, 읽기, 문법, 맞춤법 영역에서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고, 한국 문화 영역에서는 나이 차로 인한 상하관계, 심한 경쟁, 다른 방식의 의사소통, 역사 지식의 부족 및 왜곡 등에 어려움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 외에도 정체성의 혼란, 외로움, 편견, 힘든 서류 작성 등에 대한 어려움을 호소하였다. 본 연구는 심층연구를 통해 재외국민 대학생들의 필요에 맞는 교육 지원의 시사점들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조항록, "한국정부의 재외동포 정책 연구 : 한국어 교육 정책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2 김유리, "한국 대학에 진학한 재외동포들의 내러티브 탐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3 김정숙, "학문적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 대학 진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11 (11): 1-19, 2000

      4 문미경, "초등교육 시기 문화변용을 경험한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TCK)의 한국인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선교사 자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5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아케데미프레스 2014

      6 박동숙, "질적 인터뷰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9

      7 배은주, "질적 연구의 최근 동향과 그 의미" 한국교육인류학회 11 (11): 1-27, 2008

      8 전영국,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면담 및 심층면담에 관한 비교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25 (25): 147-168, 2017

      9 John W. Creswell, "질적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5

      10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2 (12): 173-201, 2009

      1 조항록, "한국정부의 재외동포 정책 연구 : 한국어 교육 정책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대학원 2003

      2 김유리, "한국 대학에 진학한 재외동포들의 내러티브 탐구"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3 김정숙, "학문적 목적의 한국어 교육과정 설계를 위한 기초 연구 : 대학 진학생을 위한 교육과정을 중심으로" 11 (11): 1-19, 2000

      4 문미경, "초등교육 시기 문화변용을 경험한 제3문화 아이들(Third Culture Kids:TCK)의 한국인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선교사 자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2019

      5 김영천, "질적연구방법론" 아케데미프레스 2014

      6 박동숙, "질적 인터뷰 방법" 커뮤니케이션북스(주) 2019

      7 배은주, "질적 연구의 최근 동향과 그 의미" 한국교육인류학회 11 (11): 1-27, 2008

      8 전영국, "질적 연구에서 사용되는 면담 및 심층면담에 관한 비교 고찰" 한국열린교육학회 25 (25): 147-168, 2017

      9 John W. Creswell, "질적 연구방법론" 학지사 2015

      10 박순용, "질적 네트워크 분석을 통한 미국 청소년들의 사회성 발달 연구" 한국교육인류학회 12 (12): 173-201, 2009

      11 정형근, "재외동포 대상 한국어교육 연구 동향 분석과 제언" 한국국어교육학회 (108) : 369-397, 2016

      12 박갑수, "재외동포 교육과 한국어 교육" 도서출판 역락 2003

      13 노충래, "재외국민특례입학생의 대학생활적응에 관한 연구 스트레스, 자긍심, 삶의 만족도 및 대학환경인식의 관계와 서비스욕구를 중심으로" 한국정신건강사회복지학회 (13) : 87-119, 2002

      14 김남미, "재외국민반 학생을 위한 교양국어 수업 방안" 한국어교육학회 (124) : 55-86, 2007

      15 손달임, "재외국민 학습자의 글쓰기에 나타난 문장 오류 분석 - 이화여대 국제학부 분반 수강생의 경우를 중심으로" 한국교양교육학회 10 (10): 139-180, 2016

      16 강예지, "의과대학 귀국 대학생의 대학생활 어려움에 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9 (19): 1017-1039, 2019

      17 백애경, "선교사 자녀들의 정체성 형성에 관한 연구 : 서울에 거주하는 한국 선교사 자녀를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0

      18 김승희, "문화융합의 새로운 도전과 가능성 모색" 41-50, 2017

      19 "대학 알리미 자료(2016-2019)"

      20 엄성원, "대학 글쓰기 재외국민반 운영의 개선 방안 연구" 한국 리터러시 학회 (11) : 161-188, 2015

      21 신윤경, "대학 글쓰기 반의 재외국민 학습자 특성 연구 ー글쓰기능력이글쓰기전략과학교생활에미치는영향분석을중심으로ー" 한국작문학회 (14) : 339-363, 2012

      22 송명진, "글로벌 인재 양성을 위한 글쓰기 프로그램 - 재외국민 학습자를 대상으로 -" 시학과언어학회 (25) : 131-153, 2013

      23 강예지, "귀국 대학생의 구직 경험에 대한 질적 사례 연구" 한국진로교육학회 30 (30): 71-91, 2017

      24 문경숙, "“난 내 나라가 낯설어요!” 귀국학생의 국내 학교적응 경험" 한국교육심리학회 26 (26): 621-649, 2012

      25 Adler, P. S., "The transitional experience : An alternative view of culture shock" 15 (15): 13-23, 1975

      26 Pedersen, P., "The five stages of culture shock : Critical incidents around the world" 33 (33): 356-358, 1996

      27 Frisz, R. H, "Multicultural peer counseling : Counseling the multicultural students" 22 (22): 515-526, 199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