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도시철도기술자료집 = Urban railway almanac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0982199

      • 저자
      • 발행사항

        서울 : 서울특별시 지하철건설본부, 2004

      • 발행연도

        2004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35 판사항(4)

      • DDC

        625 판사항(21)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서울

      • 서명/저자사항

        도시철도기술자료집 = Urban railway almanac

      • 형태사항

        10책 : 삽도 ; 27cm

      • 일반주기명

        참고문헌과 색인수록
        1, 계획 = Planning/ 백영현 저. - 2, 개착터널 = Cut & cover tunnel/ 이성민 저. - 3, 터널 = Bored tunnel/ 김승렬 저. - 4, 궤도 = Track/ 이기승 저. - 5, 건축 = Architecture/ 김원철 저. - 6, 차량 = Rolling stock/ 오해원 저. - 7, 전기 = Electricity/ 김성길 저. - 8, 기계설비 = Mechanical facilities/ 조율연 편저. - 9, 통신 = Communication/ 성광일 편저. - 10, 열차제어 = Train control system/ 하동욱 저

      • 소장기관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volume. vol.1]----------
      • 목차
      • 제1장 도시철도 일반
      • 1. 도시철도란 = 1
      • 1.1 철도와 도시철도 = 1
      • [volume. vol.1]----------
      • 목차
      • 제1장 도시철도 일반
      • 1. 도시철도란 = 1
      • 1.1 철도와 도시철도 = 1
      • 1.2 도시철도의 특징 = 2
      • 1.3 도시철도의 특성 및 분류 = 5
      • 2. 도시철도의 역사 = 8
      • 2.1 철도의 출현·발달 = 8
      • 2.2 도시철도의 출현·발달 = 11
      • 3. 신교통시스템 = 19
      • 3.1 신교통시스템의 정의 및 특성 = 19
      • 3.2 신교통시스템 분류 = 21
      • 3.3 상용화된 신교통시스템 = 26
      • 제2장 도시철도 건설 절차
      • 1. 법정 절차와 의의 = 31
      • 2. 도시철도 관계법령별 행정철자 = 33
      • 2.1 도시계획 시설결정(도시관리계획) = 33
      • 2.2 도시철도법 관련절차 = 38
      • 2.3 건설기술관리법 등 절차 = 47
      • 3. 도시철도 건설절차 = 58
      • 3.1 도시철도 건설절차 흐름도 = 59
      • 제3장 계획노선의 선정
      • 1. 관련계획 및 현황조사 분석 = 61
      • 1.1 관련계획의 검토 = 61
      • 1.2 사회경제 현황조사 분석 = 63
      • 2. 교통수요 분석 = 65
      • 2.1 분석의 범위 = 65
      • 2.2 교통지구(죤)의 구분 = 65
      • 2.3 사회경제지표 전망 = 69
      • 2.4 교통수요예측 모형의 정립 = 74
      • 3. 도시철도 노선대안의 구상 = 94
      • 3.1 도시철도 노선대안 구상 = 94
      • 4. 노선대안 설정 및 평가 = 109
      • 4.1 노선대안 설정의 기본방향 = 109
      • 4.2 노선대안의 설정 = 110
      • 4.3 노선대안의 분석 및 평가 = 112
      • 5. 타당성 분석 = 113
      • 5.1 경제적 타당성 분석 = 113
      • 5.2 재무적 타당성 분석 = 124
      • 5.3 정책적 분석 = 129
      • 제4장 도시철도 기본계획의 수립
      • 1. 도시철도 기본계획의 의의 = 133
      • 1.1 기본계획의 범위 및 주요내용 = 136
      • 1.2 도시철도 기본계획 수립의 흐름 = 139
      • 2. 관련계획 및 현황조사 분석 = 141
      • 2.1 현황조사 = 141
      • 2.2 관련계획 = 143
      • 3. 도시교통여건 전망 = 144
      • 3.1 도시·교통현황 분석 = 144
      • 3.2 장래 도시교통여건 전망 = 150
      • 3.3 연계수송 및 건설에 따른 교통대책 = 155
      • 4. 건설계획 = 161
      • 4.1 건설노선의 검토 = 161
      • 4.2 건설규칙과 설계기준 = 167
      • 4.3 선형계획 = 211
      • 4.4 정거장계획 = 221
      • 4.5 차량기지계획 = 239
      • 4.6 시설물계획 = 246
      • 4.7 건설공법 = 258
      • 4.8 열차운영계획 = 278
      • 4.9 배선계획 = 286
      • 5. 사업성 분석 = 292
      • 5.1 비용 산출 = 292
      • 5.2 사업추진계획 = 295
      • 5.3 경제성 분석 = 297
      • 5.4 최적투자시기 및 단계별 우선순위 분석 = 298
      • 5.5 재무성 분석 = 300
      • 5.6 재원조달방안 = 302
      • 용어정리 = 305
      • [volume. vol.2]----------
      • 목차
      • 제1장 총론
      • 1. 일반사항 = 1
      • 1.1 서언 = 1
      • 1.2 본서의 구성 = 2
      • 2. 개착식 BOX 설계기준 변천 및 해외 사례조사 = 3
      • 2.1 제1기 지하철 = 3
      • 2.2 제2기 지하철 = 4
      • 2.3 제3기 지하철(지하철 9호선) = 5
      • 2.4 외국지하철 설계기준 = 7
      • 3. 기존지하철 설계현황분석 = 17
      • 3.1 개요 = 17
      • 3.2 분석 방법 = 17
      • 3.3 기존 지하철 설계현황 = 17
      • 3.4 기존 지하철 개착구조물의 설계수량 분석결과 = 27
      • 제2장 구조물 계획
      • 1. 개요 = 41
      • 2. 설계의 기본 = 41
      • 2.1 일반사항 = 41
      • 2.1.1 설계의 기본방식 = 41
      • 2.1.2 관련 규정·기준·법규 = 41
      • 2.2 설계의 기본 고려인자 = 42
      • 2.2.1 지반조사 = 42
      • 2.2.2 환경보존 = 46
      • 2.2.3 시공방법 = 49
      • 2.2.4 내공단면 = 55
      • 2.2.5 구조형식 = 56
      • 2.2.6 유지관리 = 56
      • 3. 주요 구조물 시설계획 = 61
      • 3.1 시설계획 수립을 위한 고려사항 = 61
      • 3.1.1 개요 = 61
      • 3.1.2 선로 설계기준 = 61
      • 3.1.3 분야간 인터페이스 계획 = 63
      • 3.2 본선 계획 = 64
      • 3.2.1 직선구간 내공치수(2기 지하철 : 5∼8호선 기준) = 64
      • 3.2.2 박스구조물 내공치수(2기 지하철 : 5∼8호선 기준) = 65
      • 3.2.3 곡선부 건축한계 확대를 고려한 본선구조물 계획 = 67
      • 3.2.4 유치선 구간 구조물 계획 = 69
      • 3.3 정거장 계획 = 71
      • 3.3.1 일반사항 = 71
      • 3.3.2 정거장 표준 설계지침 = 72
      • 3.3.3 정거장 층고 계획 = 76
      • 3.3.4 승강장 계획 = 78
      • 3.3.5 승강장 부분의 건축한계(2기 지하철 : 5∼8호선 기준) = 80
      • 3.3.6 환승계획 = 81
      • 3.3.7 기능실 계획 = 82
      • 3.3.8 내부계단 계획 = 85
      • 3.3.9 엘리베이터 설치계획 = 86
      • 3.3.10 에스컬레이터 설치계획 = 92
      • 3.3.11 외부출입구 계획 = 95
      • 3.4 부대시설 계획 = 98
      • 3.4.1 집수정 계획 = 98
      • 3.4.2 정화조 계획 = 102
      • 3.4.3 본선환기구 계획 = 104
      • 3.4.4 레일 및 자재투입구 계획 = 113
      • 3.5 방재계획 = 118
      • 3.5.1 침수 방지 계획 = 118
      • 3.5.2 비상 탈출 통로 계획 = 120
      • 제3장 구조물 설계
      • 1. 지하구조물 설계기준 = 121
      • 1.1 일반사항 = 121
      • 1.2 적용 설계기준 및 시방서 = 121
      • 1.3 설계방법 = 121
      • 1.4 최소토피 기준 = 122
      • 1.4.1 도로 및 지상부 최소토피 = 122
      • 1.4.2 하천에서의 최소토피 = 122
      • 2. 구조해석 및 단면설계를 위한 상세기준 = 123
      • 2.1 설계절차 = 123
      • 2.2 설계하중 = 125
      • 2.2.1 일반사항 = 125
      • 2.2.2 하중의 종류 = 125
      • 2.3 하중계수 및 하중조합 = 137
      • 2.3.1 일반사항 = 137
      • 2.3.2 하중계수 = 137
      • 2.3.3 지하구조물 적용 하중조합 = 139
      • 2.4 설계강도 = 140
      • 2.4.1 설계강도 = 140
      • 2.4.2 강도감소계수 = 140
      • 2.5 콘크리트 및 철근 특성 = 141
      • 2.5.1 강도 = 141
      • 2.5.2 콘크리트 및 철근의 강도 조합 = 143
      • 2.5.3 탄성계수 = 144
      • 2.5.4 포아송비 = 144
      • 2.6 구조해석 = 145
      • 2.6.1 일반사항 = 145
      • 2.6.2 횡단방향 구조해석 = 145
      • 2.6.3 종단방향 구조해석 = 147
      • 2.7 단면설계 = 148
      • 2.7.1 설계부재 부재력 산정 = 148
      • 2.7.2 피복두께 선정 = 149
      • 2.7.3 보의 단면설계 = 152
      • 2.7.4 벽체의 단면설계 = 169
      • 2.7.5 기둥의 단면설계 = 170
      • 2.7.6 전단설계 = 179
      • 2.7.7 접합부의 보강설계 = 188
      • 2.7.8 수축·온도철근 및 배력철근 설계 = 190
      • 2.7.9 철근 배근 상세 = 192
      • 2.7.10 사용성 검토(균열, 처짐, 피로) = 209
      • 2.7.11 내구성 설계 = 214
      • 2.7.12 신축이음 및 시공이음 = 224
      • 3. 취약부 보강을 위한 구조세목 = 225
      • 3.1 구조물 개구부 보강 = 225
      • 3.2 H-Pile에 의한 슬래브의 개구부 보강 = 226
      • 3.3 단면변화부 보강 = 227
      • 3.4 종방향 지반조건 급변화부 처리대책 = 228
      • 4. 설계사례 = 229
      • 4.1 최적의 구조물 단면계획 = 229
      • 4.2 본선 BOX 구조물 설계사례 = 233
      • 4.3 정거장 구조물 설계사례 = 257
      • 5. 내진설계 = 292
      • 5.1 일반사항 = 292
      • 5.1.1 개요 = 292
      • 5.1.2 지하구조물의 진동특성 = 292
      • 5.2 설계기준 = 294
      • 5.2.1 내진등급 및 내진성능목표 = 294
      • 5.2.2 설계지반운동의 결정 = 295
      • 5.2.3 설계지진 응답스펙트럼의 설정 = 298
      • 5.3 해석방법 = 302
      • 5.3.1 개요 = 302
      • 5.3.2 내진해석 및 설계에 관한 규정 = 303
      • 5.3.3 응답변위법 = 304
      • 5.3.4 시간이력해석법 = 313
      • 5.3.5 하중조합 = 314
      • 5.4 내진설계 예제 = 315
      • 6. 균열방지 대책 = 332
      • 6.1 개요 = 332
      • 6.2 지하박스 콘크리트 구조물(지하철)의 결함, 손상, 열화 실태조사 = 333
      • 6.3 지하철 구조물의 원인별 보수·보강 적용 예 = 335
      • 7. 지하철 9호선 구조물 경제성 설계사례 = 359
      • 7.1 개요 = 359
      • 7.2 주요 검토 설계인자 = 359
      • 7.3 주요 설계 인자별 공사비 검토 = 360
      • 7.4 주요 설계개선 항목의 조합방법별 공사비 검토 = 370
      • 7.5 설계사례 결과 분석 = 374
      • 제4장 가시설 구조물의 계획과 설계
      • 1. 일반사항 = 381
      • 1.1 개요 = 381
      • 1.2 굴착으로 인한 지반의 거동과 원인 = 383
      • 1.3 가시설 계획시 고려사항 = 384
      • 2. 흙막이 벽체공법 = 386
      • 2.1 개요 = 386
      • 2.2 엄지말뚝(H-파일 + 토류벽)식 벽체공법 = 386
      • 2.3 널말뚝(Sheet-Pile)식 벽체공법 = 387
      • 2.4 주열식 벽체공법 = 387
      • 2.5 연속벽식 벽체공법 = 388
      • 2.6 흙막이 벽체 선정시 주요사항 = 390
      • 3. 차수 및 지반보강 공법 = 392
      • 3.1 일반사항 = 392
      • 3.2 국내 적용공법별 특성비교 = 397
      • 3.3 공법 선정시 주요사항 = 403
      • 4. 흙막이 지보공법 = 404
      • 4.1 개요 = 404
      • 4.2 자립식 개착공법 = 404
      • 4.3 버팀보(Strut) 공법 = 405
      • 4.4 레이커(Raker) 공법 = 406
      • 4.5 어스앵커(Earth Anchor) 공법 = 407
      • 4.6 소일 네일링(Soil Nailing) 공법 = 408
      • 5. 흙막이 벽체와 차수 및 지반보강 공법의 적용 = 409
      • 5.1 일반사항 = 409
      • 5.2 공법적용 = 410
      • 6. 노면복공 계획 = 411
      • 6.1 일반사항 = 411
      • 6.2 노면복공 계획 = 412
      • 7. 가시설 구조물에 작용하는 하중 = 416
      • 7.1 일반사항 = 416
      • 7.2 토압 이론과 경험토압 = 417
      • 7.3 토압적용의 기준(9호선 설계기준) = 423
      • 7.4 기존 지하철 설계에 적용한 토압과 수압 예 = 427
      • 7.5 노면 활하중 = 429
      • 7.6 기타 하중 = 431
      • 8. 흙막이 구조물의 해석방법 = 432
      • 8.1 개요 = 432
      • 8.2 간편계산법 = 433
      • 8.3 탄소성보법 = 436
      • 8.4 유한요소법 및 유한차분법 = 440
      • 9. 가시설 및 지반의 안정성 검토방법 = 442
      • 9.1 일반사항 = 442
      • 9.2 흙막이벽의 변형에 따른 주변지반의 침하안정 검토 = 443
      • 9.2.1 이론 및 경험적 방법 = 443
      • 9.2.2 Peck의 곡선을 이용하는 경험적 방법 = 443
      • 9.2.3 이론해석을 이용한 Caspe의 방법 = 444
      • 9.2.4 Clough et al. 방법 = 445
      • 9.2.5 Fry et al.(1983)의 이론적 방법 = 447
      • 9.2.6 유한요소법 및 유한차분법에 의한 방법 = 449
      • 9.2.7 근접구조물의 침하 허용치 평가 = 450
      • 9.3 굴착바닥면의 안정검토 = 452
      • 9.3.1 히빙(Heaving)에 대한 안정검토 = 452
      • 9.3.2 파이핑(Piping)에 대한 안정검토 = 457
      • 10. 가시설 부재 설계 = 461
      • 10.1 개요 = 461
      • 10.2 가시설 부재 종류 = 461
      • 10.3 주요 강재 규격 = 461
      • 10.3.1 외국 강재 = 461
      • 10.3.2 국산 강재 = 462
      • 10.4 재료의 허용응력 = 463
      • 10.4.1 허용응력의 증가계수 = 463
      • 10.4.2 철근 및 콘크리트의 허용응력 = 463
      • 10.4.3 강재의 허용응력 = 463
      • 10.4.4 목재의 허용응력 = 464
      • 10.4.5 볼트의 허용응력 = 465
      • 10.5 측면말뚝 및 강널말뚝의 설계 = 465
      • 10.5.1 지반지지력의 검토 = 465
      • 10.5.2 말뚝의 근입 깊이 = 466
      • 10.5.3 기타사항 = 468
      • 10.6 띠장 설계 = 468
      • 10.6.1 일반사항 = 468
      • 10.6.2 띠장 설계 = 469
      • 10.7 버팀보 설계 = 470
      • 10.7.1 일반사항 = 470
      • 10.7.2 좌굴길이 = 470
      • 10.7.3 응력검토 = 471
      • 10.7.4 세장비의 규정 = 471
      • 10.7.5 버팀보의 보강 = 471
      • 10.7.6 대형버팀보 = 472
      • 10.7.7 작업구 설치구간의 버팀보 = 472
      • 10.7.8 사보강재의 설계 = 472
      • 10.8 어스앵커 설계 = 473
      • 10.8.1 일반사항 = 473
      • 10.8.2 설계 순서 = 474
      • 10.8.3 허용정착력(Ta) = 474
      • 10.8.4 앵커의 정착길이 = 475
      • 10.8.5 앵커의 자유길이 및 여유길이 = 476
      • 10.9 지중연속벽의 설계 = 477
      • 10.9.1 토압산정 = 477
      • 10.9.2 허용응력의 검토 = 477
      • 10.9.3 단면 결정기준 = 477
      • 10.10 토류판 및 토류벽콘크리트의 설계 = 477
      • 10.10.1 토압 = 477
      • 10.10.2 계산지간 = 477
      • 10.10.3 목재 토류판의 두께 = 478
      • 10.10.4 토류벽콘크리트 부재의 허용응력 = 478
      • 10.10.5 부재의 응력검토 = 478
      • 11. 가시설 설계사례 = 479
      • 11.1 단면가정 = 479
      • 11.2 흙막이공 해석 INPUT DATA = 479
      • 11.3 흙막이공 해석 OUTPUT DATA = 482
      • 11.4 주형보 검토(적용하중 : DB-18) = 489
      • 11.4.1 사하중 = 489
      • 11.4.2 활하중 = 489
      • 11.4.3 부재력 계산(2차선 재하시) = 489
      • 11.4.4 부재력 계산(3차선 재하시) = 490
      • 11.4.5 응력 검토(SS400, SM400) = 491
      • 11.4.6 처짐검토 = 492
      • 11.5 주형 지지보 검토 = 492
      • 11.5.1 외측 주형지지보 = 492
      • 11.5.2 중앙 주형지지보(중간말뚝 C.T.C 3.0m) = 494
      • 11.6 중간파일의 검토 = 496
      • 11.6.1 3차선 재하 = 496
      • 11.6.2 4차선 재하 = 498
      • 11.6.3 5차선 재하 = 500
      • 11.7 측면파일의 검토 = 502
      • 11.7.1 사용강재(SS400, SM400) = 502
      • 11.7.2 응력검토 = 502
      • 11.8 띠장검토 = 503
      • 11.8.1 사용 강재(SS400, SM400) = 503
      • 11.8.2 응력 검토 = 504
      • 11.9 STRUT 검토 = 505
      • 11.9.1 사용강재(SS400, SM400) = 505
      • 11.9.2 부재력 = 505
      • 11.9.3 응력 검토 = 505
      • 11.10 목재토류판 검토 = 506
      • 11.10.1 휨응력에 의한 두께 산정 = 506
      • 11.10.2 전단응력 검토 = 507
      • 11.11 어스앵커 검토(굴착 배면) = 507
      • 11.11.1 어스앵커 단수 = 507
      • 11.11.2 어스앵커 설계 = 507
      • 11.11.3 JACKING FORCE(긴장력) 계산 = 510
      • 11.11.4 ELONGATION의 계산 = 511
      • 11.11.5 어스앵커 일람표 = 511
      • 12. 계측 계획 = 512
      • 12.1 계측의 목적 = 512
      • 12.2 계측계획 수립의 일반사항 = 512
      • 12.3 계측 항목 = 513
      • 12.4 계측위치 선정 및 설치간격 = 516
      • 12.5 계측빈도 = 518
      • 12.6 계측결과의 활용 = 519
      • 12.7 계측기 개요 = 526
      • 12.7.1 지중경사계(Inclinometer) = 526
      • 12.7.2 지표침하계(Surface Settlement Measurement) = 527
      • 12.7.3 건물경사계(Tiltmeter) = 528
      • 12.7.4 응력계(Strain gauge) = 528
      • 12.7.5 하중계(Load Cell) = 529
      • 12.7.6 지하수위계(Piezometer) = 530
      • 12.7.7 균열계(Crack Gauge) = 530
      • 제5장 부대공 설계
      • 1. 개요 = 531
      • 2. 배수 = 531
      • 3. 방수 = 540
      • 4. 지장물 보호 및 복구 계획 = 546
      • 5. 노면복구공 = 549
      • 6. 기타 = 550
      • 제6장 참고자료
      • 1. 개착식 BOX 설계사례 = 553
      • 1.1 국내 지하철 = 553
      • 1.2 국외(일본) 지하철 = 583
      • 2. 기존지하철의 설계수량 조사 = 591
      • 2.1 국내지하철 설계수량 = 591
      • 2.2 국외(일본) 지하철 설계수량 = 642
      • 3. 기존지하철 재시공 사례조사 = 654
      • 참고문헌 = 657
      • 용어정리 = 659
      • INDEX = 674
      • [volume. vol.3]----------
      • 목차
      • 제1장 서론
      • 1. 도심지 지하철 터널의 건설배경 = 1
      • 2. 도심지 지하철 터널의 특징 = 2
      • 제2장 계획 및 조사
      • 1. 터널의 계획 = 3
      • 1.1 터널의 선형계획 = 3
      • 1.2 터널의 단면계획 = 5
      • 1.3 대단면 계획 = 8
      • 2. 조사 및 계획 = 11
      • 2.1 입지환경조사 = 11
      • 2.2 지반조사 = 12
      • 2.3 현장 및 실내시험 = 17
      • 2.4 수리 및 수문 특성 조사 = 21
      • 2.5 지반조사 결과의 활용 = 23
      • 제3장 지반의 분류
      • 1. 개요 = 27
      • 1.1 지반 분류기준의 종류 = 27
      • 1.2 국내 지반 분류기준의 특징 = 28
      • 1.3 도심지 지하철 터널설계를 위한 지반분류 적용현황 = 29
      • 2. 도심지 터널설계를 위한 지반분석 = 30
      • 2.1 도심지 터널사고와 지반 = 30
      • 2.2 지반특성 파악을 위한 지반조사 = 31
      • 2.3 지반분석 = 33
      • 2.4 지반분류 결과의 설계활용 = 39
      • 제4장 지하수 처리개념과 터널단면
      • 1. 터널시공과 지하수 흐름 = 42
      • 1.1 지하수 공급조건에 따른 지하수 흐름 = 42
      • 1.2 지하수위와 수압 = 42
      • 1.3 지하수 처리형식과 단면형상 = 48
      • 2. 배수형 터널의 특징과 적용 = 48
      • 2.1 배수형 터널의 특징 = 48
      • 2.2 배수형 터널의 적용 = 48
      • 3. 비배수형 터널의 특징과 적용 = 50
      • 3.1 비배수형 터널의 특징 = 50
      • 3.2 비배수형 터널의 적용 = 51
      • 3.3 비배수형 터널의 설계 및 시공사례 = 52
      • 4. 지하수 처리시설의 유지관리 = 53
      • 4.1 터널내 허용누수량 규정 = 53
      • 4.2 배수형 및 비배수형 터널의 유지관리 방향 = 54
      • 4.3 터널의 배수관련 유지관리 내용 = 55
      • 제5장 터널의 지보개념
      • 1. 개요 = 58
      • 2. 지중응력상태 = 58
      • 2.1 초기응력 조건 = 58
      • 2.2 측압계수에 대한 경향성 = 60
      • 3. 굴착시의 터널주변 지반응력 = 62
      • 3.1 굴착에 따른 지반응력과 지보력의 상관관계 = 62
      • 3.2 최적의 지보시기 결정법(예) = 64
      • 3.3 무지보 상태의 사고사례 = 66
      • 4. 터널지보재의 역할 = 67
      • 4.1 터널지보재 개요 = 67
      • 4.2 터널지보재 종류 및 특성 = 68
      • 제6장 표준지보패턴의 선정과 터널해석
      • 1. 표준지보패턴의 선정 = 75
      • 1.1 개요 = 75
      • 1.2 NATM 적용 터널의 지보패턴 선정시 고려사항 = 76
      • 1.3 표준지보패턴의 적용 = 78
      • 1.4 표준지보패턴 선정(예) = 80
      • 2. 터널의 해석 = 82
      • 2.1 수치해석의 개요 = 82
      • 2.2 수치해석 종류 및 특징 = 82
      • 2.3 2차원적 3차원 해석기법 = 83
      • 2.4 수치해석기법 활용방법 = 89
      • 제7장 콘크리트라이닝
      • 1. 콘크리트라이닝의 역할 = 96
      • 2. 콘크리트라이닝의 설계 = 97
      • 2.1 설계방법 = 97
      • 2.2 설계하중 = 98
      • 2.3 콘크리트라이닝의 형상 = 99
      • 2.4 콘크리트라이닝의 보강 = 103
      • 3. 콘크리트라이닝의 시공 = 103
      • 3.1 콘크리트 타설 = 103
      • 3.2 이음부 처리 = 105
      • 3.3 콘크리트 양생 = 106
      • 4. 균열의 제어 = 107
      • 4.1 콘크리트라이닝 손상 사례조사 = 107
      • 4.2 균열 발생원인 = 108
      • 4.3 균열폭 억제방안 = 110
      • 5. 콘크리트라이닝의 유지관리 = 111
      • 5.1 콘크리트라이닝의 유지관리 = 111
      • 5.2 콘크리트라이닝 접속시설의 유지관리 = 112
      • 6. 콘크리트라이닝의 기타 설계기법 소개 = 112
      • 제8장 터널의 굴착과 지보재 시공
      • 1. 개요 = 114
      • 2. 터널의 굴착방법 = 114
      • 2.1 인력굴착 = 114
      • 2.2 기계굴착 = 115
      • 2.3 발파굴착 = 115
      • 3. 터널 굴착공법 = 119
      • 4. 터널 지보재의 시공 = 122
      • 4.1 숏크리트 = 122
      • 4.2 록볼트 = 124
      • 4.3 강지보재 = 126
      • 5. 터널의 보조공법 = 126
      • 5.1 개요 = 126
      • 5.2 보조공법의 종류 = 127
      • 5.3 터널천단 보강공법 = 127
      • 5.4 막장면 자립공 = 130
      • 5.5 그라우팅 공법 = 131
      • 5.6 진행성 여굴 차단법 = 133
      • 5.7 시공사례 = 135
      • 제9장 대단면 터널
      • 1. 대단면 터널 = 138
      • 1.1 터널단면의 구분 = 138
      • 1.2 서울지하철 대단면 터널 적용현황 = 140
      • 1.3 대단면 터널의 특징 = 141
      • 2. 대단면 터널 시공사례(지하철 6호선 녹사평 정거장 터널) = 142
      • 2.1 터널현황 = 142
      • 2.2 지보패턴 및 굴착공법 = 143
      • 2.3 대단면 터널 시공사례를 통해 살펴 본 시공상의 유의점 = 144
      • 3. 유치선 터널 = 145
      • 3.1 유치선 터널단면 = 145
      • 3.2 굴착공법 및 지보패턴 = 146
      • 4. 노선분기부 및 접속부 확폭단면 = 147
      • 4.1 노선분기부 및 접속부 = 147
      • 4.2 필라의 거동 특성 = 148
      • 4.3 필라의 보강 방안 = 149
      • 5. 정거장 터널단면 = 150
      • 5.1 정거장 터널형식 선정 = 150
      • 5.2 정거장 형식별 단면 형상 = 151
      • 6. 정거장 터널(2아치, 3아치)의 계획 = 155
      • 6.1 정거장 터널의 필요성 = 155
      • 6.2 정거장 터널의 설계 및 시공(예) = 155
      • 6.3 2아치 및 3아치 정거장 터널 설계와 시공시 고려사항 = 156
      • 6.4 2아치 및 3아치 정거장 터널의 연결부 누수대책 = 156
      • 제10장 TBM 공법
      • 1. TBM 공법현황 = 158
      • 1.1 TBM 공법의 개요 = 158
      • 1.2 도심지 터널에서의 TBM 적용 = 158
      • 2. TBM의 종류 및 활용 = 158
      • 2.1 TBM의 구분 = 158
      • 2.2 TBM의 종류 = 159
      • 2.3 TBM 구조 및 기능 = 159
      • 2.4 TBM 활용방법 = 160
      • 2.5 굴진방식 및 순서 = 161
      • 3. TBM 공법의 설계 = 162
      • 3.1 설계일반 = 162
      • 3.2 선형계획 = 163
      • 3.3 터널단면 검토 = 164
      • 3.4 굴착효율 분석 = 165
      • 3.5 TBM의 지체시간 = 166
      • 3.6 굴착공법 변경사례 = 168
      • 3.7 TBM 지보패턴 설계 = 169
      • 3.8 TBM 기종선정 및 작업장 계획 = 171
      • 3.9 TBM 운영계획 = 171
      • 3.10 발진터널의 설계 = 172
      • 3.11 버력처리 계획 = 172
      • 3.12 부대시설 설계 = 172
      • 제11장 쉴드공법
      • 1. 쉴드공법의 개요 = 174
      • 1.1 개요 = 174
      • 1.2 쉴드의 분류 = 174
      • 1.3 쉴드종류 및 특징 = 175
      • 1.4 쉴드장비의 구성 = 176
      • 2. 쉴드공법의 설계 = 177
      • 2.1 일반조사 = 177
      • 2.2 공법의 선정 = 177
      • 2.3 쉴드장비 선정 = 178
      • 3. 세그먼트 = 181
      • 3.1 세그먼트의 분류 = 181
      • 3.2 뒤채움재 = 181
      • 3.3 방수 = 183
      • 제12장 기타의 터널공법
      • 1. 기타의 터널공법 필요성 = 185
      • 1.1 서울 지하철 건설에서 적용된 기타의 터널공법 = 185
      • 1.2 기타의 굴착공법 선정시 검토사항 = 185
      • 1.3 기타의 굴착공법의 종류와 적용성 = 186
      • 2. 언더피닝 = 186
      • 2.1 개요 = 186
      • 2.2 언더피닝공법의 적용 = 187
      • 2.3 언더피닝의 시공순서 = 188
      • 2.4 언더피닝 시공사례조사 = 191
      • 3. 프론트 잭킹 공법 = 191
      • 3.1 개요 = 191
      • 3.2 프론트 잭킹 공법의 특징 = 192
      • 3.3 프론트 잭킹 공법의 분류 = 192
      • 3.4 프론트 잭킹 공법의 시공상 유의점 = 195
      • 3.5 프론트 잭킹 공법의 시공실적(일부) = 195
      • 4. 메서쉴드 공법 = 196
      • 4.1 개요 = 196
      • 4.2 강판형 메서쉴드 공법의 특징 = 196
      • 4.3 메서쉴드 공법의 시공순서 = 197
      • 5. TRM 공법 = 198
      • 5.1 개요 = 198
      • 5.2 TRM 공법의 특징 = 199
      • 5.3 시공순서 = 199
      • 6. NTR 공법 = 201
      • 6.1 개요 = 201
      • 6.2 NTR 공법의 특징 = 202
      • 6.3 시공순서 = 202
      • 제13장 계측과 품질관리
      • 1. 터널계측 = 204
      • 1.1 계측의 목적 = 204
      • 1.2 도심지 터널 계측의 중요성 = 205
      • 2. 계측계획 및 시공 = 206
      • 2.1 계측계획 일반 = 206
      • 3. 계측관리 사례 = 214
      • 3.1 시공중 계측 = 214
      • 3.2 유지관리 계측 = 220
      • 용어정리 = 223
      • 참고문헌 = 233
      • [volume. vol.4]----------
      • 목차
      • 제1장 궤도일반
      • 1. 궤도의 의의 = 1
      • 1.1 개념 및 궤도공학 = 1
      • 1.2 궤도 공학 = 3
      • 1.3 궤도의 시스템적인 위상 = 4
      • 2. 철도의 분류 = 6
      • 2.1 철도의 분류 체계 = 6
      • 2.2 도시철도의 분류 근거 = 6
      • 3. 도시철도 설계의 주요 기준 = 10
      • 3.1 건축한계 = 10
      • 3.2 선로 중심 간격 = 14
      • 3.3 표준하중의 선정 = 14
      • 제2장 선형설계
      • 1. 선형 설계의 개요 = 16
      • 1.1 노선의 선정 = 16
      • 1.2 선형 계획 = 16
      • 2. 평면 선형 계획 = 17
      • 2.1 평면 선형 계획의 의의 = 17
      • 2.2 선형 계획에서 일반철도와 도시철도의 특이성 = 17
      • 2.3 곡선의 삽입 = 18
      • 3. 종단 선형 계획 = 39
      • 3.1 종단 선형 계획의 의의 = 39
      • 3.2 종단선형 계획에서 도시철도의 특이성 = 40
      • 3.3 기울기(종구배) 선정 = 40
      • 3.4 종곡선 = 44
      • 4. 궤도선형(Geometry) 계획 = 47
      • 4.1 궤도 선형 = 47
      • 4.2 궤간(gauge) = 48
      • 4.3 수평(Elevation) = 50
      • 4.4 고저(Level) 및 방향(Alignment) = 54
      • 4.5 평면성(Twist) = 55
      • 4.6 궤도선형의 기계화 측정 = 55
      • 5. 경합조건과 승차감 = 60
      • 제3장 궤도구조
      • 1. 궤도구조의 설계의 고려사항 = 62
      • 2. 궤도 구조 설계 = 62
      • 2.1 하중 = 62
      • 2.2 환경 친화성 = 71
      • 2.3 유지보수성 및 경제성 = 76
      • 3. 궤도 구조역학 = 78
      • 3.1 궤도 구조해석 = 78
      • 3.2 정적 궤도설계 = 79
      • 3.3 동적 궤도 설계 = 91
      • 4. 콘크리트 도상 = 98
      • 4.1 콘크리트 도상의 특징 = 98
      • 4.2 콘크리트 도상의 종류 = 99
      • 5. 궤도구조의 계산(사례검토) = 106
      • 5.1 궤도재료의 선정 = 107
      • 5.2 하중조건 = 108
      • 5.3 궤도각부 응력계산 = 109
      • 5.4 안전성 검토 및 궤도구조 단면결정 = 116
      • 5.5 RC침목 설계(Twin Block Tie) = 119
      • 제4장 궤도재료
      • 1. 궤도재료의 정의 = 129
      • 2. 레일 및 이음구조 = 130
      • 2.1 레일 = 130
      • 2.2 레일의 이음 = 135
      • 2.3 서울시 도시철도의 적용 = 139
      • 3. 침목 = 140
      • 3.1 침목의 구비조건 및 선정 = 140
      • 4. 체결장치 = 142
      • 4.1 체결구 = 142
      • 4.2 패드 = 145
      • 5. 도상 = 146
      • 5.1 자갈도상 = 146
      • 5.2 콘크리트 도상 = 147
      • 6. 기타 궤도 재료 = 148
      • 6.1 차막이 = 149
      • 6.2 레일 도유기 = 151
      • 6.3 좌굴방지장치 = 152
      • 제5장 분기기
      • 1. 정의 및 분류 = 155
      • 1.1 분기기의 정의 = 155
      • 1.2 분기기의 종류 = 155
      • 1.3 분기기의 구조 = 156
      • 2. 분기기의 구조 = 156
      • 2.1 포인트 = 156
      • 2.2 크로싱 = 159
      • 2.3 가드레일 = 160
      • 2.4 지하철 구간의 분기기 적용 = 161
      • 3. 분기번호와 적정분기의 적용 = 163
      • 3.1 분기기의 제한속도 = 163
      • 3.2 분기기 번수에 따른 사용조건 = 163
      • 3.3 구조물에 따른 조건 = 163
      • 4. 분기기 부설에 따른 고려사항 = 164
      • 4.1 구조물의 확폭 = 164
      • 4.2 교량구간의 분기기 설치 = 165
      • 4.3 전철기 위치 선정 = 166
      • 4.4 접촉한계 표지 = 167
      • 제6장 장대레일
      • 1. 장대레일의 정의 = 168
      • 1.1 정의 = 168
      • 1.2 장대화의 장점 = 168
      • 1.3 레일 장대화의 제한조건 = 168
      • 2. 장대화 기본이론 = 168
      • 2.1 온도변화에 따른 레일의 거동 = 169
      • 2.2 도상 종저항력 = 169
      • 2.3 부동구간 축력분포 = 170
      • 2.4 장대레일 단부에서의 신축(신축루우프) = 170
      • 3. 장대화구간의 안정성 검토 = 170
      • 3.1 장대화 구간의 좌굴 = 170
      • 3.2 궤도의 좌굴강도 = 171
      • 3.3 최저좌굴강도 = 171
      • 3.4 레일 파단시 개구량 = 173
      • 4. 교량상 장대화 검토 = 173
      • 4.1 교량에서의 축력분포 및 계산 = 173
      • 4.2 지점배치와 축력분포 = 174
      • 4.3 교상 장대레일 대책 = 175
      • 5. 분기구간 장대화 검토 = 176
      • 5.1 분기부 장대화 문제점 = 176
      • 5.2 분기부 장대화 축력분포 = 177
      • 5.3 분기부 장대화 방안 = 179
      • 6. 장대화 축력 해석 = 179
      • 6.1 교량 구간의 특이성 = 179
      • 6.2 교량구간의 장대화 검토과정 = 180
      • 7. 레일신축이음매 장치 = 182
      • 7.1 조건 = 182
      • 7.2 신축이음장치의 종류 및 배치 = 183
      • 8. 지하철 장대화 부설 = 184
      • 제7장 배선설계
      • 1. 도시철도 배선 계획의 특성 = 185
      • 1.1 정거장 입지 선정의 특성 = 185
      • 1.2 도시철도 차량의 특성 = 185
      • 1.3 도시철도 배선계획 = 185
      • 2. 지하철 정거장 배선 = 186
      • 2.1 종단역 = 186
      • 2.2 도중회차역(반복선) = 188
      • 2.3 비상건널선설치역 = 188
      • 2.4 기지 접속역 = 189
      • 2.5 직통선 운행역 = 189
      • 3. 정거장 구조 = 190
      • 3.1 승강장 설치 기준 = 190
      • 3.2 곡선 승강장 운전 속도 = 191
      • 3.3 시설보수 설비 = 193
      • 4. 차량기지 = 196
      • 4.1 차량기지의 기능 및 업무 = 196
      • 4.2 차량기지 배선 일반 = 196
      • 제8장 궤도공사 시공
      • 1. 궤도공사 일반 = 200
      • 1.1 궤도공사의 특징 = 200
      • 1.2 궤도공사의 구분 = 200
      • 2. 신설구간 궤도부설 공사 = 204
      • 2.1 궤도재료 반입 = 205
      • 2.2 궤도부설 공정 = 209
      • 2.3 주요공종의 작업방법 = 214
      • 3. 영업선 개량 구간 공사 = 225
      • 3.1 궤도부설 공정 = 226
      • 3.2 단계별 세부공정 계획 수립(예) = 227
      • 제9장 구조물과 궤도
      • 1. 교량과 궤도 = 230
      • 1.1 교량계획과 궤도 = 230
      • 1.2 건축한계표 작성사례(서울시 지하철 적용) = 233
      • 2. 터널과 궤도 = 235
      • 2.1 터널계획과 궤도 = 235
      • 2.2 내공치수표 작성 사례(서울시 지하철 적용) = 235
      • 3. 지하박스 구조물(본선 및 정거장)과 궤도 = 243
      • 3.1 지하박스 계획과 궤도 = 243
      • 3.2 지하박스 내공치수표(서울시 지하철 적용) = 243
      • 제10장 궤도 유지관리 계획
      • 1. 궤도의 유지관리 = 247
      • 1.1 궤도 틀림의 관리 = 247
      • 1.2 장비 운영 기준(안) = 254
      • 1.3 궤도 재료 보수 기준(안) = 256
      • 1.4 곡선관리 = 261
      • 1.5 장대레일 관리 = 262
      • 1.6 레일 관리 = 263
      • 1.7 방진체결장치(ALT-Ⅱ) = 267
      • 2. 궤도관리 시스템 = 267
      • 2.1 철도 시설관리 정보 시스템 = 269
      • 2.2 궤도관리 시스템의 전산화 방향 = 269
      • 2.3 보수체제 및 조직 = 269
      • 2.4 보수용 장비 = 270
      • 용어정리 = 275
      • 참고문헌 = 304
      • [volume. vol.5]----------
      • 목차
      • 제1장 일반사항
      • 1. 개요 = 1
      • 1.1 정거장의 위치 = 1
      • 1.2 정거장의 규모 = 1
      • 2. 정거장의 유형 = 3
      • 2.1 형식 및 분류 = 3
      • 2.2 구조적 분류 = 3
      • 2.3 기능적 분류 = 14
      • 3. 정거장의 구성요소 = 15
      • 3.1 시설의 구분 = 15
      • 3.2 출입시설 = 16
      • 3.3 대합실 = 16
      • 3.4 수직동선시설 = 16
      • 3.5 승강장 = 17
      • 3.6 지원시설 = 18
      • 제2장 정거장
      • 1. 계획의 전제조건 = 19
      • 1.1 개요 = 19
      • 1.2 전제조건의 종류 = 20
      • 2. 정거장공간계획 = 21
      • 2.1 일반사항 = 21
      • 2.2 대합실계획 = 24
      • 2.3 승강장계획 = 29
      • 2.4 환승계획 = 31
      • 2.5 기능실 및 현업분소계획 = 37
      • 2.6 통로계획 = 42
      • 2.7 화장실계획 = 45
      • 3. 정거장시설 규모계획 = 47
      • 3.1 개요 = 47
      • 3.2 구조물 계획 = 51
      • 3.3 정거장 구조물 폭원 산정기준 = 57
      • 4. 외부출입구 및 내부계단 설치계획 = 60
      • 4.1 외부출입구 설치계획 = 60
      • 4.2 내부계단 설치계획 = 64
      • 4.3 캐노피 설치계획 = 67
      • 5. 방재 및 피난계획 = 69
      • 5.1 개요 = 69
      • 5.2 지하공간의 특성 = 69
      • 5.3 긴급대피시설 = 70
      • 5.4 침수방지시설 = 72
      • 6. 편의시설계획 = 74
      • 6.1 개요 = 74
      • 6.2 편의시설의 분류 = 74
      • 6.3 일반편의시설 설치계획 = 74
      • 6.4 장애인 편의시설 설치계획 = 87
      • 6.5 부대편의시설 = 93
      • 7. 자재사용계획 = 97
      • 7.1 개요 = 97
      • 7.2 기본방향 = 97
      • 7.3 자재선택기준 = 98
      • 7.4 흡음계획 = 101
      • 8. 의장계획 = 104
      • 8.1 개요 = 104
      • 8.2 의장계획의 기본방향 = 106
      • 8.3 환경디자인 계획 = 107
      • 8.4 색상계획 = 108
      • 8.5 조명계획 = 109
      • 8.6 안내사인계획 = 111
      • 8.7 미술장식품 설치계획 = 114
      • 9. 건축시공계획 = 115
      • 9.1 개요 = 115
      • 9.2 시공 = 115
      • 제3장 차량기지
      • 1. 일반사항 = 124
      • 1.1 차량기지의 위치 = 124
      • 1.2 차량기지의 제반시설물 = 125
      • 1.3 차량기지의 작업순서 = 125
      • 1.4 차량설비 계획 = 126
      • 2. 차량기지의 기능 및 업무 = 129
      • 2.1 차량기지의 주요기능 = 129
      • 2.2 차량기지의 주요업무 = 129
      • 2.3 차량기지의 주요검사업무 = 129
      • 3. 차량기지의 배치계획 = 131
      • 3.1 차량기지계획의 전제조건 = 131
      • 3.2 차량기지시설물배치의 기본방향 = 131
      • 4. 차량기지 시설물 계획 = 133
      • 4.1 주공장계획 = 133
      • 4.2 검사고계획 = 142
      • 4.3 종합관리동 계획 = 152
      • 4.4 복지관계획 = 154
      • 4.5 기타시설물계획 = 155
      • 5. 자재사용 계획 = 158
      • 5.1 자재사용계획 일반사항 = 158
      • 5.2 자재사용 일반원칙 = 158
      • 5.3 자재사용 일반기준 = 159
      • 5.4 외장재료계획 = 160
      • 6. 시공 계획 = 161
      • 6.1 설계 및 시공에 따른 문제점 = 161
      • 6.2 문제점 해결방안 = 161
      • 제4장 종합사령실
      • 1. 일반사항 = 162
      • 2. 기능분석 = 162
      • 2.1 기능분석요소 = 162
      • 2.2 종합사령실의 기능 = 163
      • 2.3 조직 및 업무 = 164
      • 3. Space Program = 165
      • 3.1 종합사령실 운영사무실 운영조직인원의 산정 = 165
      • 3.2 사령실 근무인원의 산정 = 165
      • 3.3 사령실 면적산정 = 166
      • 4. 건축계획 = 167
      • 4.1 배치계획 = 167
      • 4.2 공간이용계획 = 167
      • 4.3 평면·단면계획 = 167
      • 4.4 입면계획 = 168
      • 4.5 구조계획 = 168
      • 5. 조경계획 = 169
      • 5.1 개념 = 169
      • 6. 시공계획 = 171
      • 6.1 시공계획 = 171
      • 7. 공정관리 계획 = 172
      • 7.1 공정관리 = 172
      • 7.2 통합 공정관리 시스템 = 172
      • 7.3 공정진도 종합관리체계 = 172
      • 8. 품질관리계획 = 173
      • 8.1 품질관리계획 = 173
      • 부록
      • 1. 서울시 도시철도 정거장 설계기준 비교표 = 174
      • 2. 중량전철과 경량전철 특성 비교 = 179
      • 3. 도시철도 주요현황 = 180
      • 4. 서울시 지하철 9호선 기능실 소요면적 기준 = 185
      • 5. 서울시 지하철 9호선 정거장 구조물 폭원산정식 = 188
      • 6. 정거장내 시설기준 = 192
      • 7. 국내차량기지 시설물 면적비교 = 193
      • 8. 국내도시별 사령실 분석 = 197
      • 9. 관계법령 = 198
      • 10. 기본설계도면 = 199
      • 용어정리 = 217
      • 참고문헌 = 227
      • [volume. vol.6]----------
      • 목차
      • 제1장 차량시스템 선정
      • 1. 차량시스템 선정시 고려사항 = 1
      • 1.1 차량규모 결정단계 = 1
      • 1.2 시스템 선정 = 1
      • 1.3 적용 기준 = 1
      • 1.4 차량시스템 선정흐름도 = 2
      • 2. 국내 도시철도 차량 현황 = 3
      • 2.1 서울시 1, 2기 지하철 현황 = 3
      • 2.2 지방 대도시 지하철 현황 = 9
      • 2.3 표준경량전철 차량의 주요제원 = 11
      • 3. 차량규모별 검토대상 차종 = 15
      • 3.1 도시철도의 종류 = 15
      • 3.2 주요제원 비교 = 17
      • 제2장 도시철도차량의 주요장치 설계
      • 1. 차량 편성 및 차종 = 19
      • 1.1 차량 종류 = 19
      • 1.2 열차의 편성 = 19
      • 1.3 차종별 편성 기기 배치 = 20
      • 2. 차량의 크기 = 21
      • 2.1 차량의 단면 = 21
      • 2.2 출입문 = 27
      • 2.3 좌석배치 = 31
      • 3. 차체재질 = 37
      • 3.1 재질의 특성 = 37
      • 3.2 국내외 추세와 국내제작 현황 = 40
      • 3.3 재질 검토 결과 = 41
      • 4. 주회로 제어방식 = 45
      • 4.1 시스템의 구성검토 = 45
      • 5. 견인제어방식 = 47
      • 5.1 견인제어방식의 변천 = 47
      • 5.2 VVVF 인버터 제어 = 48
      • 5.3 제어장치의 비교 = 59
      • 5.4 VVVF인버터 용량(9호선 6량 편성 기준) = 70
      • 5.5 주전동기 용량 = 71
      • 6. 대차 = 74
      • 6.1 대차의 기능 및 요구조건 = 74
      • 6.2 대차 구조 = 74
      • 6.3 1차 현가장치 = 81
      • 6.4 2차 현가장치 = 82
      • 6.5 기초제동장치 = 83
      • 7. 제동장치 = 84
      • 7.1 제동방식 = 84
      • 7.2 공기 압축기 = 96
      • 7.3 공기압축기 용량계산(9호선 기준) = 98
      • 8. 냉방장치 = 102
      • 8.1 냉방장치 검토 = 102
      • 8.2 난방장치 = 103
      • 8.3 냉방부하 및 환기량 계산 = 104
      • 8.4 환기량 검토 = 107
      • 9. 집전장치 = 109
      • 9.1 집전방식 = 109
      • 9.2 판토그라프 = 111
      • 10. 보조전원장치 = 119
      • 10.1 보조전원장치 = 119
      • 10.2 보조전원장치 용량계산 = 125
      • 10.3 축전지 및 충전기 = 130
      • 10.4 축전지 및 충전기 용량 = 132
      • 11. 열차운전 제어방식 = 137
      • 11.1 열차운전 방식 = 137
      • 12. 방송장치 = 141
      • 12.1 방송장치 = 141
      • 13. 종합제어 정보관리장치(TCMS) = 142
      • 13.1 TCMS차상장치 = 142
      • 13.2 TCMS 지상종합제어 관리장치 = 147
      • 13.3 기타 제어정보장치 = 148
      • 제3장 도시철도차량의 성능설계 및 시험
      • 1. 차량의 운동역학 = 149
      • 1.1 차량의 진동 = 149
      • 1.2 철도차량의 승차감 = 151
      • 1.3 차량의 탈선과 대책 = 153
      • 2. 차량성능계산 = 155
      • 2.1 전제조건 = 155
      • 2.2 견인력계산 = 156
      • 3. 차체설계 및 시험 = 163
      • 3.1 차체설계을 위한 해석 = 163
      • 3.2 차체구조의 강도 해석 = 165
      • 3.3 연결 및 충돌안전도 해석 = 169
      • 3.4 피로강도 평가 = 179
      • 3.5 정적강도 해석 및 충돌/안전도 해석 = 185
      • 4. 대차설계 = 193
      • 4.1 대차하중시험 = 193
      • 제4장 도시철도차량의 환경 및 안전
      • 1. 환경친화적 차량 = 202
      • 1.1 환경부하 경감 차량재료 = 202
      • 2. 에너지 절약 방향 = 208
      • 2.1 에너지 절약을 고려한 차량 = 208
      • 3. 소음저감방안 = 212
      • 3.1 소음·진동 발생원 및 전달경로 = 213
      • 3.2 소음저감방안 = 215
      • 제5장 도시철도차량의 유지보수 및 검수
      • 1. 검수주기검토 = 224
      • 1.1 차량검수의 주기 검토 = 224
      • 1.2 검수항목 = 227
      • 1.3 작업장별 설비 목록 = 231
      • 2. 검수업무 자동화시스템 = 236
      • 2.1 차량검수의 자동화시스템 = 236
      • 2.2 중정비 자동화설비 = 247
      • 3. 환경설비 = 250
      • 3.1 대기보전환경설비 = 250
      • 4. 검수업무전산화(차량정보시스템) 구축 = 254
      • 4.1 검수정보시스템 = 254
      • 4.2 시스템의 구축범위 = 256
      • 4.3 업무흐름도 = 259
      • 4.4 시스템의 화면구성(예) = 260
      • 4.5 Main Server = 264
      • 용어정리 = 269
      • [volume. vol.7]----------
      • 목차
      • 제1장 전기철도 개요
      • 1. 전기철도 역사 = 1
      • 1.1 전기철도의 분류 = 1
      • 1.2 전기철도의 역사 = 1
      • 1.3 전기철도의 특징(特徵) = 2
      • 2. 전기철도 현황 = 3
      • 2.1 서울시 지하철 건설 = 3
      • 2.2 부산시 지하철 건설 = 5
      • 2.3 대구시 지하철 건설 = 6
      • 2.4 인천시 지하철 건설 = 6
      • 2.5 광주시 지하철 건설 = 7
      • 2.6 대전시 지하철 건설 = 7
      • 제2장 변전설비
      • 1. 변전소 일반 = 8
      • 1.1 전기방식(電氣方式) = 8
      • 1.2 전차체어 방식 = 10
      • 2. 전력수급 계획 = 13
      • 2.1 개요 = 13
      • 2.2 수전선로 = 13
      • 2.3 변전소 = 14
      • 2.4 구분 개폐소(Section Post) = 17
      • 2.5 타이 포스트(Tie Post) = 18
      • 2.6 정류 포스트(Rectifier Post) = 19
      • 3. 직류공급변전소 구성계획 = 20
      • 3.1 정류방식(整流方式) = 20
      • 3.2 정류 방식별 비교 = 21
      • 3.3 차량기지내 급전방식(車輛基地 給電方式) = 24
      • 4. 변전소 설치계획 = 27
      • 4.1 변전실의 설치조건 = 27
      • 4.2 변전소 용량 결정 = 27
      • 5. 변전소 기기 = 32
      • 5.1 변전기기 개요 = 32
      • 5.2 변전기기 형식 = 33
      • 6. 계통보호 설비 = 49
      • 6.1 보호계전 계통 = 49
      • 6.2 보호계전기 적용 = 54
      • 7. 변전소 제어전원 = 56
      • 7.1 구성 = 56
      • 7.2 축전지의 충전 방식 = 56
      • 7.3 구조 = 56
      • 7.4 축전지 = 56
      • 8. 변전소 접지계획 = 58
      • 8.1 접지 개요 = 58
      • 8.2 접지 개요 = 58
      • 9. 전식방지 대책 = 59
      • 9.1 전식의 발생 = 59
      • 9.2 전식방지 대책 = 59
      • 10. 송배전선로 구성계획 = 64
      • 10.1 연락 송전선로 = 64
      • 10.2 연락배전선로 = 64
      • 10.3 연락 송배전관로 = 65
      • 10.4 송배전 선로공사 = 65
      • 11. 개선사항 = 69
      • 11.1 개선사항 = 69
      • 11.2 개선사항 주요사례 검토 = 69
      • 제3장 전기설비 운용
      • 1. 운용방안 계획 = 75
      • 1.1 변전실 = 75
      • 1.2 전기실 = 75
      • 1.3 중앙 환기실 = 76
      • 2. 전력 사령설비 구성 = 76
      • 2.1 원방 제어설비 공사 = 76
      • 2.2 전력사령실 시스템 계통 = 79
      • 제4장 정거장 전기설비
      • 1. 정거장 전기실 구성 = 80
      • 1.1 전력수급 방안 = 80
      • 1.2 변압기 뱅크 구성 = 81
      • 1.3 배전전압 = 84
      • 1.4 변압기 용량 결정방안 = 85
      • 1.5 전기실 설비 = 86
      • 1.6 전기실 주요설비 사양 = 90
      • 1.7 UPS 및 Battery반 = 102
      • 1.8 전기실 설비공사 = 104
      • 1.9 전기실 설비 개선사항 = 107
      • 2. 전력공급 계통 = 109
      • 2.1 부하구분 = 109
      • 2.2 부하분담 = 110
      • 2.3 전력케이블 규격선정 = 112
      • 2.4 전력간선 설비 = 113
      • 2.5 간선 설비의 시공 = 115
      • 2.6 전력공급 계통 개선사항 = 119
      • 3. 동력설비 계획 = 120
      • 3.1 동력부하 구분 및 공급전압 = 121
      • 3.2 전동기의 기동방식(起動方式) = 122
      • 3.3 동력설비의 분기회로 전선 굵기 = 122
      • 3.4 전동기보호용 차단기 선정 = 124
      • 3.5 전동기 보호방식(保護方式) = 126
      • 3.6 전동기 간선의 배관배선 방식 = 126
      • 3.7 모타제어반의 형식 및 규격 = 127
      • 3.8 동력제어반의 사양(Motor Control Center) = 127
      • 3.9 동력설비 공사 = 130
      • 4. 조명계획 = 131
      • 4.1 전등 설비 = 131
      • 4.2 조명 설비 = 137
      • 4.3 전열설비 = 145
      • 4.4 분기회로의 부하 산정 = 146
      • 4.5 분전반 = 147
      • 4.6 본선 조명 설비 공사 = 148
      • 4.7 형광등 안정기 및 램프 개선사항 = 149
      • 5. 자동화재탐지 설비 = 149
      • 5.1 수신반 설치 = 149
      • 5.2 발신기(發信機) = 149
      • 5.3 감지기(感知器) = 149
      • 5.4 경종(警鐘) = 150
      • 5.5 자동화재 탐지설비 배선 = 150
      • 5.6 유도등 = 150
      • 제5장 전차선 전력공급 설비
      • 1. 개요 = 152
      • 2. 전차선 방식의 종류 = 153
      • 2.1 가공선 방식 = 153
      • 2.2 제3궤조 방식 = 158
      • 2.3 가공선방식과 제3궤조방식 비교 = 158
      • 2.4 지하철 가선방식 현황 = 159
      • 2.5 전차선 설비의 특징 = 159
      • 2.6 전차선 설비의 구비조건 = 159
      • 2.7 전차선 급전방식(給電方式) = 160
      • 3. 전차선 설비 = 161
      • 3.1 정(正) 급전선 = 161
      • 3.2 부(負) 급전선 = 162
      • 3.3 전차선(Trolly wire) = 162
      • 3.4 조가선(Messenger wire) = 163
      • 3.5 롱 이어(Long Ear) = 164
      • 3.6 절연 매입전(絶緣 埋입栓, Insulation Bolt) = 165
      • 3.7 애자(Insulator) = 173
      • 3.8 익스팬션 조인트(Expansion Joint) = 173
      • 3.9 섹션(Section) = 174
      • 3.10 건늠선 장치(Overhead Cross) = 175
      • 3.11 지상부 이행장치 = 175
      • 3.12 절연구간(絶緣區間, Insulation Section) = 175
      • 3.13 지지물 = 176
      • 3.14 장력조정 장치의 종류 = 178
      • 3.15 FREE BRACKET = 179
      • 3.16 CROSS CLAMP = 180
      • 3.17 균압선 = 180
      • 3.18 흐름방지 장치(Anchoring) = 180
      • 3.19 AIR JOINT = 181
      • 4. 공사 = 181
      • 4.1 지지물 설치 = 181
      • 4.2 EXPANSION JOINT 설치 = 182
      • 4.3 Air Section 설치 = 183
      • 4.4 ANCHORING 설치 = 183
      • 4.5 알루미늄 T-Bar 가설 = 183
      • 4.6 T-Bar 용접 = 184
      • 4.7 전차선 가선 공사 = 185
      • 4.8 높이 및 편위조정 = 185
      • 4.9 시공사례 = 186
      • 5. 타분야 협조사항 = 187
      • 5.1 매입전 시공불량 = 187
      • 5.2 측구마감 = 187
      • 5.3 궤도 부설 = 187
      • 5.4 정거장부문 건축마감 = 188
      • 5.5 본선구간 작업구 및 환기구 마감 = 188
      • 5.6 터널구간 그라우팅 및 방수 = 188
      • 5.7 신호 임피던스 본드 및 통신시설 = 188
      • 5.8 송배전, 통신, 신호, 설비, 포설작업 = 189
      • 5.9 변전소 마감 = 189
      • 5.10 합동공정(合同工程) 협의 = 189
      • 6. 선로보호 장치 = 189
      • 6.1 피뢰기(避雷器) = 189
      • 6.2 표식 부착(標識附着) = 190
      • 7. 종합시험 = 190
      • 7.1 내가압(耐加壓) 시험 = 190
      • 7.2 입선 집전시험 = 191
      • 용어정리 = 193
      • 참고문헌 = 202
      • [volume. vol.8]----------
      • 목차
      • 제1장 지하철 기계설비일반
      • 1. 개요 = 1
      • 1.1 기계설비의 의의 = 1
      • 1.2 기계설비의 종류 = 1
      • 1.3 기계설비의 특징 = 1
      • 2. 설비 설계기준 = 2
      • 2.1 환경기준 = 2
      • 2.2 설비관련 적용법규 = 5
      • 3. 지하철 설비의 변천 = 6
      • 제2장 터널환기설비
      • 1. 개요 = 8
      • 1.1 터널환기의 의의 = 8
      • 1.2 지하철의 환경 특성 = 9
      • 1.3 환경시스템의 변천 = 12
      • 2. 환기방식의 선정 = 16
      • 2.1 지하철 환기개념 = 16
      • 2.2 각종 환기방식 = 18
      • 2.3 환기방식의 선정 = 20
      • 2.4 환기방식의 적용 = 21
      • 3. 터널환기의 설계 = 22
      • 3.1 설계조건 = 22
      • 3.2 열부하 계산 = 24
      • 3.3 송풍기 용량 선정 = 27
      • 4. 환기실 및 환기구 = 31
      • 4.1 자연환기구 = 31
      • 4.2 기계환기실 = 32
      • 5. 터널환기장비 = 38
      • 5.1 터널송풍기 = 38
      • 5.2 댐퍼 = 40
      • 5.3 소음기 = 42
      • 6. 비상시의 환기 = 43
      • 제3장 정거장 공조환기설비
      • 1. 개요 = 45
      • 1.1 정거장 공기조화 의의 = 45
      • 1.2 정거장 공기조화 특성 = 45
      • 1.3 공기조화 설계 방법 = 46
      • 1.4 정거장의 냉방 = 48
      • 1.5 승강장 하부배기 = 48
      • 2. 공조환기방식 = 49
      • 2.1 냉방방식의 분류 = 49
      • 2.2 환기방식의 분류 = 50
      • 2.3 승강장 공조환기방식 = 51
      • 2.4 공조환기방식의 적용 = 52
      • 3. 공조환기 설계 = 54
      • 3.1 설계조건 = 54
      • 3.2 정거장의 냉방부하계산 = 55
      • 3.3 장비형식 및 규격 = 66
      • 3.4 공조기계실 = 108
      • 3.5 정거장의 제연설비 = 112
      • 3.6 공기조화용 덕트 및 배관 = 115
      • 제4장 급배수·위생설비
      • 1. 급수설비 = 120
      • 1.1 급수원 = 120
      • 1.2 급수량과 저수조 = 120
      • 1.3 급수방식 = 122
      • 1.4 급수배관 = 122
      • 1.5 급탕설비 = 124
      • 2. 배수설비 = 124
      • 2.1 배수계통 = 124
      • 2.2 배수배관 = 124
      • 3. 화장실 및 정화조와 설비 = 128
      • 3.1 화장실과 설비 = 128
      • 3.2 정화조와 설비 = 129
      • 4. 급배수·위생배관 = 131
      • 4.1 배관재료 = 131
      • 4.2 배관시공 = 132
      • 제5장 배수펌프설비
      • 1. 개요 = 134
      • 2. 집수정 = 135
      • 2.1 집수정 위치 = 135
      • 2.2 집수정 형식 = 136
      • 2.3 집수정 용량산정 = 137
      • 2.4 집수정 설계 유의사항 = 137
      • 3. 배수펌프 = 138
      • 3.1 펌프 형식 = 138
      • 3.2 펌프의 용량 및 대수 = 138
      • 3.3 펌프의 규격 = 138
      • 3.4 펌프의 운전 = 139
      • 3.5 펌프의 설치 및 비상시 대책 = 141
      • 제6장 소방설비
      • 1. 개요 = 142
      • 1.1 지하철의 화재 = 142
      • 1.2 화재분류 및 소화방법 = 142
      • 2. 지하철과 소방법규 = 145
      • 2.1 소방법규의 개편 = 145
      • 2.2 소방시설 관련 법규 = 146
      • 2.3 종합안전 개선대책 = 147
      • 3. 지하철의 소방시설 = 148
      • 3.1 소방시설 설치기준 = 148
      • 3.2 소화기 = 149
      • 3.3 옥내소화전설비 = 150
      • 3.4 스프링클러설비 = 154
      • 3.5 이산화탄소 소화설비 = 157
      • 3.6 상수도 소화용수설비 = 162
      • 3.7 소화활동설비 = 163
      • 3.8 전기분야 소방시설 = 163
      • 제7장 승강설비
      • 1. 개요 = 164
      • 1.1 지하철의 승강설비 = 164
      • 1.2 승강기 관련법규 = 165
      • 1.3 승강설비 계획 = 166
      • 2. 에스컬레이터 = 166
      • 2.1 일반사항 = 166
      • 2.2 기준사항 = 167
      • 2.3 구조일반 = 169
      • 2.4 주요 구성품 = 171
      • 2.5 안전장치 = 178
      • 2.6 설치 = 181
      • 3. 수평보행기 = 181
      • 3.1 일반사항 = 181
      • 3.2 기준사항 = 182
      • 3.3 구조일반 = 182
      • 4. 엘리베이터 = 183
      • 4.1 일반사항 = 183
      • 4.2 기준사항 = 183
      • 4.3 로프식 엘리베이터 = 187
      • 4.4 유압식 엘리베이터 = 194
      • 4.5 기계실 없는 엘리베이터 = 200
      • 5. 휠체어리프트 = 202
      • 5.1 일반사항 = 202
      • 5.2 기준사항 = 203
      • 5.3 구조일반 = 204
      • 5.4 주요 구성품 = 205
      • 5.5 휠체어리프트의 운전 = 210
      • 제8장 승강장 스크린도어설비
      • 1. 개요 = 212
      • 1.1 최근 지하철의 경향 = 212
      • 1.2 일반사항 = 213
      • 2. 기능 및 구조 = 216
      • 2.1 기준규격 = 216
      • 2.2 문의 개폐조작 = 218
      • 2.3 안전장치 = 220
      • 2.4 정지정밀도와 문의 폭 = 222
      • 2.5 구동방식 = 223
      • 2.6 도어 및 고정벽의 구조 = 224
      • 3. 분야별 인터페이스 = 227
      • 3.1 토목·건축분야 = 227
      • 3.2 전기분야 = 228
      • 3.3 신호·통신분야 = 228
      • 3.4 기계설비분야 = 228
      • 3.5 차량분야 = 228
      • 4. 제작설치규격 = 228
      • 4.1 설계조건 = 229
      • 4.2 시스템 구성 = 229
      • 4.3 세부기술규격 = 230
      • 5. 스크린도어와 공조환기 = 234
      • 5.1 승강장 공기조화 = 234
      • 5.2 선로부 환기 = 235
      • 5.3 터널환기 = 235
      • 5.4 스크린도어와 제연 = 236
      • 제9장 자동제어설비
      • 1. 개요 = 237
      • 1.1 자동제어 의의 = 237
      • 1.2 지하철과 자동제어 = 238
      • 2. 자동제어시스템의 구성 = 239
      • 2.1 일반사항 = 239
      • 2.2 시스템 구성방안 = 239
      • 2.3 통신망의 연결 = 242
      • 3. 운영중인 자동제어시스템 = 242
      • 3.1 일반사항 = 242
      • 3.2 시스템의 기능 = 243
      • 3.3 시스템의 구성요소 = 244
      • 3.4 제어대상 = 249
      • 4. 프로그램 관리 = 249
      • 4.1 프로그램 운영기준 = 249
      • 4.2 프로그램 취급 = 251
      • 5. 설비별 제어계통 = 252
      • 5.1 대합실 공기조화설비 = 252
      • 5.2 승강장 공기조화설비 = 254
      • 5.3 냉동기설비 = 255
      • 5.4 터널환기설비 = 256
      • 5.5 집수정 펌프설비 = 257
      • 5.6 급수설비 = 259
      • 5.7 오수펌프설비 = 259
      • 제10장 차량기지 기계설비
      • 1. 개요 = 260
      • 1.1 차량기지 기능 = 260
      • 1.2 차량기지의 건물특징 = 260
      • 2. 건물별 적용설비 = 261
      • 3. 열원설비 = 261
      • 3.1 일반사항 = 261
      • 3.2 관련법규 = 262
      • 3.3 냉열원 설비 = 262
      • 3.4 온열원 설비 = 262
      • 3.5 열원장비 선정 = 263
      • 4. 공기조화 및 환기설비 = 263
      • 4.1 구역설정 = 263
      • 4.2 공기조화설비 = 264
      • 4.3 환기설비 = 265
      • 4.4 기계실 및 장비 = 266
      • 5. 급배수·위생설비 = 267
      • 5.1 일반사항 = 267
      • 5.2 급수설비 = 267
      • 5.3 급탕설비 = 269
      • 5.4 배수설비 = 269
      • 6. 소화설비 = 270
      • 6.1 실별 적용 소방시설 = 270
      • 6.2 소방 관련법규 = 271
      • 6.3 소화설비계획 = 272
      • 6.4 소화설비용 장비 = 272
      • 7. 도시가스설비 = 273
      • 7.1 일반사항 = 273
      • 7.2 도시가스설비계획 = 273
      • 8. 주방설비 = 274
      • 8.1 일반사항 = 274
      • 8.2 주방환기계획 = 274
      • 8.3 주방배관 = 274
      • 9. 폐수처리시설 = 274
      • 9.1 일반사항 = 274
      • 9.2 폐수처리시설 계획 = 275
      • 10. 압축공기설비 = 275
      • 10.1 일반사항 = 275
      • 10.2 압축공기설비 계획 = 276
      • 11. 자동제어설비 = 277
      • 11.1 일반사항 = 277
      • 11.2 자동제어설비 계획 = 277
      • 용어정리 = 279
      • 참고문헌 = 314
      • 관계법령 = 316
      • [volume. vol.9]----------
      • 목차
      • 제1장 시설개요
      • 1. 설비의 개요 및 종류 = 1
      • 2. 설비의 기능 및 특징 = 1
      • 제2장 시설계획
      • 1. 관련법규 = 6
      • 2. 국내외 표준 및 권고규정 = 7
      • 3. 시설기준 = 8
      • 제3장 도시철도 운영정보통신설비
      • 1. 전송설비 및 교환설비 = 10
      • 1.1 전송설비 = 10
      • 1.2 교환설비 = 24
      • 2. Data 정보통신설비 = 30
      • 3. 무선통신설비 = 47
      • 4. 차량기지 정보통신설비 = 56
      • 5. 선로설비 = 61
      • 5.1 광섬유케이블 = 61
      • 5.2 동축케이블 = 68
      • 5.3 배관/관로 = 69
      • 6. 전원설비 = 72
      • 6.1 정류기 = 72
      • 6.2 축전지 = 74
      • 6.3 UPS = 76
      • 제4장 이용자 정보제공 통신설비
      • 1. 방송안내설비 및 자동안내게시기 = 81
      • 1.1 방송안내설비 = 81
      • 1.2 자동안내게시기 = 86
      • 2. 부가서비스 통신설비 = 91
      • 3. 전기시계 및 공중전화 = 95
      • 3.1 전기시계 = 95
      • 3.2 공중전화 = 98
      • 4. 종합무선 중계설비 = 98
      • 제5장 인명보호 및 재해방지 통신설비
      • 1. 화상전송설비 및 이동매체공간 화상설비 = 102
      • 1.1 화상전송설비 = 102
      • 1.2 대열차공간 영상설비 = 109
      • 2. 출입통제설비 및 주차관리설비 = 110
      • 2.1 출입통제설비 = 110
      • 2.2 주차관리설비 = 112
      • 3. 비디오폰설비 및 집중전화설비 = 117
      • 3.1 비디오폰설비 = 117
      • 3.2 집중전화설비 = 120
      • 3.3 사령 전화기 = 124
      • 4. 연전전화기 및 고성장치 = 126
      • 4.1 연선전화기 = 126
      • 4.2 고성장치 = 128
      • 5. 접지설비 = 129
      • 제6장 도시철도 경영정보시스템
      • 1. 경영정보 시스템의 구성 및 기능 = 132
      • 1.1 구성 = 133
      • 1.2 기능 = 136
      • 2. 운영체계 = 138
      • 제7장 역무자동화설비
      • 1. 설비의 구성 = 145
      • 2. 역무자동화설비 시설계획 = 148
      • 3. 중앙집중 및 관리역설비 = 149
      • 3.1 중앙전산기 = 149
      • 3.2 호선별전산기 = 151
      • 3.3 관리역전산기 = 152
      • 4. 역단위설비 = 155
      • 4.1 역단위 감시시스템 = 155
      • 4.2 자동개집표기 = 156
      • 4.3 자동발매기 = 160
      • 4.4 자동발권기 = 165
      • 4.5 자동정산기 = 167
      • 4.6 교통카드 충전기 = 168
      • 4.7 개·집표 안내표시기 = 170
      • 5. 승차권 = 171
      • 5.1 자기승차권 = 171
      • 5.2 교통카드의 특성 = 172
      • 6. 개선사항 = 173
      • 7. 설계 및 시공상 고려사항(건축) = 174
      • 용어정리 = 177
      • 참고문헌 = 199
      • [volume. vol.10]----------
      • 목차
      • 제1장 열차제어 및 철도신호설비
      • 1. 열차운전과 철도신호설비와의 관계 = 1
      • 2. 명칭의 유래와 변경 = 2
      • 3. 설비의 목표 = 3
      • 4. 열차제어설비(신호보안장치)의 종류 = 4
      • 5. 열차제어(신호)설비의 특수성 = 20
      • 제2장 도시철도건설과 열차제어설비
      • 1. 신철도(新鐵道)의 등장 = 23
      • 1.1 고속철도(高速鐵道) = 23
      • 1.2 도시철도(都市鐵道) = 23
      • 1.3 경전철(輕電鐵), 전용선철도(Shuttle line) = 23
      • 2. 신철도 System의 특징 = 24
      • 2.1 고속화 운전(高速化 運轉) = 24
      • 2.2 고밀도 운전(高密度 運轉) = 24
      • 2.3 경영합리화, 생산성제고(經營合理化, 生産性提高) = 24
      • 제3장 열차제어설비의 기본계획
      • 1. 기본계획(基本計劃) = 26
      • 1.1 최대수송량(最大輸送量)의 검토 = 27
      • 1.2 열차의 편성수와 운전시격 = 28
      • 1.3 열차 운행본수의 계산 및 차량소요 수 산출 = 28
      • 1.4 운전시격(運轉時隔)의 검토 = 29
      • 2. 최소운전시격의 검토 = 34
      • 2.1 제동거리의 계산 = 35
      • 2.2 폐색장치별 최소운전시격 = 36
      • 3. 표정속도(表定速度)의 검토 = 41
      • 3.1 표정속도의 계산 = 41
      • 3.2 표정속도 향상의 목적 = 42
      • 3.3 표정속도의 향상요소 = 42
      • 제4장 건설 기본계획
      • 1. 열차운전계획 = 45
      • 1.1 열차운전방식의 결정 = 45
      • 1.2 ATO 운전 = 46
      • 1.3 ATO 시스템의 종류 = 47
      • 1.4 무인운행 시스템의 도입 = 48
      • 2. 열차의 제원과 운전곡선의 작성 = 49
      • 2.1 열차제원 = 50
      • 3. 급전방식과 열차운전 = 54
      • 3.1 역행전류(Propulsion Current) = 54
      • 3.2 변전소 구간과 최소운전시격 = 54
      • 3.3 급전방식 = 55
      • 4. 토목과 궤도계획 = 57
      • 4.1 본선구조물과 궤도계획 = 57
      • 4.2 정거장내 궤도배선 계획 = 63
      • 5. 종단역(終端驛)의 최소운전시격 사정(査定) = 74
      • 5.1 Y線形의 운전시격 = 74
      • 5.2 시사스형(2중형) 운전시격 = 75
      • 6. 차량기지 배선 = 77
      • 제5장 열차제어(신호)설비의 기본설계
      • 1. 기본설계의 범위 = 79
      • 2. 열차운전곡선도(列車運轉曲線圖, Run Curve) = 80
      • 2.1 운전곡선 기본도 = 80
      • 2.2 견인력(牽引力)과 가속도 = 83
      • 2.3 열차주행곡선(列車走行曲線) = 91
      • 3. 운전곡선도와 S-T곡선도 그리기 = 97
      • 3.1 작성기준 = 97
      • 3.2 운전곡선의 작성 요령(要領) = 100
      • 3.3 S-T 곡선의 작성 = 105
      • 3.4 최소운전시격의 설계 및 확인 = 107
      • 3.5 폐색구간의 분할 = 111
      • 4. 열차운전계획과 연동도표(聯動圖表)의 작성 = 116
      • 4.1 열차운용계획(列車運用計劃) = 116
      • 4.2 연동도표의 작성 = 119
      • 제6장 열차제어 SYSTEM 설계
      • 1. 경영성의 고려 = 133
      • 2. 국산화와 유지보수 = 133
      • 3. 도시철도(지하철) 장치의 특징 = 133
      • 4. 설계원칙 = 134
      • 4.1 절대안전성(絶對安全性 -Fail safe- ) 확보 = 134
      • 4.2 신뢰성(信賴性)확보 = 134
      • 4.3 Fool Proof 확보 = 135
      • 4.4 Fail Soft = 135
      • 4.5 Maintainability의 확보 = 135
      • 4.6 경제성보다 안전성 우선의 설계 = 136
      • 5. 각 장치의 설계 = 136
      • 5.1 자동폐색장치 = 138
      • 5.2 ATO장치(Automatic Train Operation) = 180
      • 5.3 열차종합제어장치(TTC : Total Traffic Control System) = 183
      • 5.4 연동장치(聯動裝置) = 195
      • 5.5 차량기지 신호장치 = 202
      • 5.6 전원장치와 전선로 = 207
      • 6. 열차제어(신호)설비의 기능 실(信號機能室)설계 = 211
      • 6.1 운전 취급 실(信號取扱 室) = 211
      • 6.2 열차제어(신호)기계실(信號機械室)의 위치와 크기 = 213
      • 6.3 열차제어(신호)분소(信號分所) = 215
      • 6.4 TTC 사령실 = 217
      • 6.5 차량기지 운전취급실 및 기계실 = 217
      • 제7장 장치의 구매와 관리
      • 1. 장치의 구매 방식 = 219
      • 2. 구매시방서 = 219
      • 2.1 작성기준 = 219
      • 2.2 일반조건(General condition)의 작성 = 219
      • 2.3 대안의 제시(代案의 提示 Alternative Proposal) = 221
      • 2.4 제작 승인도의 제시(Submit for Approval drawings) = 221
      • 2.5 보증기간(Performance Guarantee and Warranty) = 221
      • 2.6 예비 품(Spare parts) = 222
      • 2.7 개통지연의 배상 = 222
      • 2.8 설계변경 = 223
      • 2.9 입회검사(Witness Test) = 223
      • 2.10 하자기간 종료 후의 대책 = 223
      • 2.11 납기 = 223
      • 2.12 장치별 시방서의 분할 = 224
      • 3. 입찰제안서 방식 = 224
      • 3.1 본방식의 장점 = 225
      • 3.2 기타 방식 = 225
      • 4. 구매관리 = 225
      • 4.1 입찰서 검토 = 225
      • 4.2 계약 = 228
      • 4.3 승인도의 제출 및 승인 = 229
      • 4.4 제작공정관리 = 230
      • 4.5 입회검사 = 231
      • 4.6 물품 검수 = 231
      • 4.7 현장설치와 Supervisor = 231
      • 제8장 공사 시공 관리
      • 1. 열차제어(철도신호)설비 공사의 특수성 = 233
      • 2. 설계서의 작성 = 233
      • 2.1 부실설계의 원인과 대책 = 233
      • 2.2 설계서 작성 및 검토에서 유의하여야 할 사항 = 234
      • 2.3 공사시공 = 237
      • 3. 시공관리 = 252
      • 4. 안전관리 = 254
      • 4.1 산업안전보건법의 숙지 = 254
      • 4.2 기록의 유지 = 255
      • 5. 발생 자재의 처리 = 255
      • 6. 기타 사항 = 255
      • 제9장 시험과 시운전, 영업시운전
      • 1. 시험 및 시운전 = 256
      • 2. 합동계약 = 256
      • 3. 시험계획 = 256
      • 4. 6호선 개통구간 합동계약 인터페이스 시험 = 257
      • 4.1 합동회의 개최 = 257
      • 4.2 추진계획 안(내용 및 추진일정, 순서) = 257
      • 4.3 공정의 확인 = 258
      • 4.4 차량투입 후 시험세부계획 협의 = 258
      • 4.5 시험관리계획 = 265
      • 4.6 자료처리의 순서 = 268
      • 4.7 시운전 대비 종합공정 Check Point = 268
      • 4.8 각 시험별 주요 내용 = 269
      • 제10장 건설의 마무리
      • 1. 개통준비와 열차제어(신호)설비 = 272
      • 1.1 열차운전취급 = 272
      • 1.2 근무환경의 확보 = 272
      • 1.3 공사 준공시의 유의점 = 273
      • 1.4 시설물의 인계 = 273
      • 용어정리 = 274
      • 참고문헌 = 290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