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는 도시 인공호수에서 서식하는 큰입배스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해 먹이 다양성에 따른 성장 특성과 수생동물 군집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대상호수는 국내에서 가장 큰 도시 인공호수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2152867
2013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953-959(7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도시 인공호수에서 서식하는 큰입배스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해 먹이 다양성에 따른 성장 특성과 수생동물 군집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대상호수는 국내에서 가장 큰 도시 인공호수 ...
본 연구는 도시 인공호수에서 서식하는 큰입배스 위 내용물 분석을 통해 먹이 다양성에 따른 성장 특성과 수생동물 군집 특성을 조사하였으며 대상호수는 국내에서 가장 큰 도시 인공호수 중 하나인 일산호수에 대하여 실시하였다. 큰입배스의 길이와 무게의 관계에 따라 Zone III(생태 구역)에서의 체중증가속도가 다른 Zone보다 더 빠른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 총 16종 및 9종이 각각 Zone III 및 Zone I, II(인공 구역)에서 관찰되어 Zone III의 어류의 종다양성이 Zone I, II에 비해 높았다. 상대중요성지수(IRI)는 Zone III에서 Zone I, II에 비해 더 다양하였으며, 공복율을 고려할 때 먹이 스트레스는 Zone I, II에서 더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어류의 군집분석 결과, 피라미 Zacco platypus가 우점종인 것으로 나타났고, 긴몰개 Squalidus gracilis majimae와 밀어 Rhinogobius brunneus는 Zone III에서만 풍부하게 발견되었다. Zone I, II에서 나타난 먹이종의 낮은 다양성을 고려할 때, 소금쟁이류 Heteroptera와 같은 절지동물문은 Zone I, II에서 Zone III에 비해 큰입배스의 위 속에서 상대 적으로 높은 비율로 관찰되었다. 본 연구에 의해 큰입배스의 위 내용물 분석과 같은 간접적인 평가에 의해 수생동물 군집의 특성을 파악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나타났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rowth condition and prey of the largemouth bass, we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quatic animal community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and shape of a artificial lake. The evaluation was con...
In this study, through the analysis of the growth condition and prey of the largemouth bass, we tried to underst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aquatic animal community depending on the composition and shape of a artificial lake. The evaluation was conducted for Ilsan lake which is one of the largest urban artificial lakes in Korea. Weight gain rate of the Zone III (eco-zone) was more rapid based on the relationship of length and weight of largemouth bass. Total 16 and 9 species of fish were found in each Zone III and Zone I, II (artificial zones), which represented significantly higher diversity of fish species in Zone III than Zone I, II. Index of relative importance(IRI) was more diverse at Zone III and when considering the hunger rate the food stress was more serious at Zone I, II. the proportion of the population of fish, Zacco platypus revealed to be the dominant species, and Squalidus gracilis majimae and Rhinogobius brunneus inhabited only Zone III naturally rich. On account of low prey species diversity of Zone I, II, the Phylum Arthropoda like Heteroptera showed relatively higher prey ratio in stomach of largemouth bass than that of Zone III. It was possible to figure out aquatic animal community characteristics indirectly through analyzing the stomach contents of largemouth bass.
참고문헌 (Reference)
1 홍영표, "외래어종 베스, Micropterus salmoides를 포함하는 군집의 종간 Association에 관한 연구" 한국어류학회 15 (15): 8-68, 2003
2 이완옥, "옥정호와 용담호에 서식하는 배스 Micropterus salmoides의 먹이생물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어류학회 21 (21): 200-207, 2009
3 고명훈, "옥정호에 도입된 배스 Micropterus salmoides의 식성 및 어류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류학회 20 (20): 36-44, 2008
4 Godinho, F. N., "The environmental basis of diet variation in pumpkinseed sunfish Lepomis gibbosus, and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along an Iberian river basin" 50 : 105-115, 1997
5 Hickley, P., "The diet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in Lake Naivasha" 44 : 607-619, 1994
6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of ecological survey and management scheme for introduced harmful fish(1st year)" 81-, 2007
7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Research for the optimal water quality management of Ilsan lake" VI. Biogeocenology 1-26, 1997
8 Savino, J. F., "Predator-Prey interaction between largemouth bass and Bluegills as influenced by simulated, submerged vegetation" 111 (111): 255-266, 1982
9 Kubitza, F, "Pond production of pellet-fed advanced juvenile and food-size largemouth bass" 149 : 253-262, 1997
10 Anderson, R. O,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uctural indices, In Fisheries Techniques" American Fisheries Society 447-482, 1996
1 홍영표, "외래어종 베스, Micropterus salmoides를 포함하는 군집의 종간 Association에 관한 연구" 한국어류학회 15 (15): 8-68, 2003
2 이완옥, "옥정호와 용담호에 서식하는 배스 Micropterus salmoides의 먹이생물 차이에 관한 연구" 한국어류학회 21 (21): 200-207, 2009
3 고명훈, "옥정호에 도입된 배스 Micropterus salmoides의 식성 및 어류상에 미치는 영향" 한국어류학회 20 (20): 36-44, 2008
4 Godinho, F. N., "The environmental basis of diet variation in pumpkinseed sunfish Lepomis gibbosus, and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along an Iberian river basin" 50 : 105-115, 1997
5 Hickley, P., "The diet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in Lake Naivasha" 44 : 607-619, 1994
6 National Fisheries Research and Development Institute, "Research of ecological survey and management scheme for introduced harmful fish(1st year)" 81-, 2007
7 Institute of Construction Technology, "Research for the optimal water quality management of Ilsan lake" VI. Biogeocenology 1-26, 1997
8 Savino, J. F., "Predator-Prey interaction between largemouth bass and Bluegills as influenced by simulated, submerged vegetation" 111 (111): 255-266, 1982
9 Kubitza, F, "Pond production of pellet-fed advanced juvenile and food-size largemouth bass" 149 : 253-262, 1997
10 Anderson, R. O, "Length, weight and associated structural indices, In Fisheries Techniques" American Fisheries Society 447-482, 1996
11 Oster, D, "Largemouth bass" Creative Publishing International 89-126, 1992
12 Yoon, I. B., "Illustrated book for aquatic insects" Junghaengsa 1995
13 He, X., "Growth and diet composition of largemouth bass (Micropterus salmoides) from four experimental lakes" 25 : 92-97, 1994
14 Texas Parks and Wildlife Department, "Estimating Weight of Largemouth Bass"
15 Hong, Y. P, "Distribution, spread pathway and countermeasures for introduced fish in Korea" 27-43, 2002
16 Lorenzoni, M., "Diet of Micropterus salmoides Lac. And Esox lucius L. in Trasimeno (Umbria, Italy) and their diet overlap" 365 : 537-547, 2002
17 Froese, R., "Cube law, condition factor and weight-length relationship: history, meta-analysis and recommendations" 22 : 241-253, 2006
18 Maezono, Y., "Community-level impacts induced by introduced largemouth bass and bluegill in farm ponds in Japan" 109 : 111-121, 2003
19 Kim, I. S, "Color encyclopedia of inherent fish in Korea" Kyohaksa 2005
20 Bagenal, T. B., "Age and growth in methods for assessment of fish production in freshwater" Blackwell Scientific Publications 101-136, 1978
고상 미세 추출법을 이용한 가스시료 중 휘발성유기화합물의 정량 분석
실험계획법과 반응표면분석법을 적용한 응집지로의 유량분배에 관한 연구
DAF 공정에서 공기포화장치와 노즐 특성 별 미세기포 발생에 미치는 영향
토양 휴민(Humin)의 분자구조 특성과 Phenanthrene 흡착상수와의 상관관계에 대한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 ![]() |
2017-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 ![]() |
2013-01-01 | 평가 | 등재 1차 FAIL (등재유지) | ![]() |
2010-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6-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1998-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0.52 | 0.52 | 0.45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0.43 | 0.42 | 0.604 | 0.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