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백제 무령왕릉 및 송산리 5.6호분의 현황과 보존대책 = In-situ Status and Conservational Strategy of the Muryong Royal, the Songsanri Tomb No. 5 and the Songsanri Tomb No. 6 of Baekje Dynast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2017786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무령왕릉을 비롯한 송산리 고분군의 5호분 및 6호분의 발굴이후의 변화상황, 고분구조의 벽체거동 상황 및 구조안전, 누수현상, 고분 내에 서식하는 조류문제, 고분내 습기 및 결로현상 제거...

      무령왕릉을 비롯한 송산리 고분군의 5호분 및 6호분의 발굴이후의 변화상황, 고분구조의 벽체거동 상황 및 구조안전, 누수현상, 고분 내에 서식하는 조류문제, 고분내 습기 및 결로현상 제거를 위한 공기조화시설 등을 포함하는 종합정밀조사를 1996년 5월 1일 부터 1997년 4월 30일 까지 1년간 수행하였다.
      무령왕릉 및 6호분 벽돌깨김 상황 조사결과 1972년과 l996년을 비교하여 보면 벽돌파손율이 각각 2.5배와 2.9배로 증가하고 있다. 1972년 상황은 약 1450년간 진행된 것이고 l996년의 상황은 불과 24년간 진행된 것임을 감안할 때 고분이 발굴된 이후 벽돌의 균열은 상당한 가속도로 진행되어 온 것이 사실이며 이대로 진행된다면 더욱 더 가속화될 것으로 판단된다.
      고분벽체의 거동상태를 계측한 결과 우기에 지하수 유입에 의한 지반의 약화로 인하여 건기보다 2배 정도 거동하는 양상을 보인다. 한편, 무령왕릉 연도 입구의 호벽은 전실쪽으로의 거동이 0.43 mm/myr, 연도쪽으로 2.05 mm/myr의 거동을 보여 무령왕릉에서는 가장 심한 거동을 보이고 있다.
      봉분내부의 토양층구조에 대한 지오레이다 영상단면을 분석한 결과 지중의 누수방지층이 심하게 균열되어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직접누수와 지하수 형태로 유입된 침투수는 고분군 주위의 지반의 함수비를 증가시켜 지반의 지지력을 악화시키고 또한 고문내로 서서히 유입되어 고분내부의 습도를 100% 로 유지시키는 주된 원인이다. 이러한 높은 습도는 고분내의 남조류의 번식을 초래하였다.
      이와 같이 고분군의 발굴후 인위적인 환경변화와 지속적인 강우침투 및 배수 불량의 영향은 고분군의 안정성에 상당한 위험을 초래하였으며, 현 상태는 각 고분에 대한 보강이 불가피한 것으로 판단된다. 고분 벽돌의 깨짐, 고분 벽체의 거동, 조류의 서식 등올 포함하여 송산리 고분군에서 발생되고 있는 보존상의 제반 문제점들은 일차적으로 누수 및 침투수에 의한 결과이다. 그러므로 무엇보다도 고분군 내부 및 고분 주변으로의 강우 및 지하수 침투를 막는 차수 대책이 시급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미 발생한 변위가 더 이상, 진행되지 않도록 봉분하중 경감 빛 토압균형을 이루는 보강대책이 시급한 실정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detail survey on the Songsanri tomb site including the Muryong royal tomb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from May 1, 1996 to April 30, 1997. A quantitative analysis was tried to find changes of tomb itself since the excavation. Main subjects of...

      The detail survey on the Songsanri tomb site including the Muryong royal tomb was carried out during the period from May 1, 1996 to April 30, 1997. A quantitative analysis was tried to find changes of tomb itself since the excavation. Main subjects of the survey are to find out the cause of infiltration of rain water and groundwater into the tomb and the tomb site, monitoring of the movement of tomb structure and safety, removal method of the algae inside the tomb, and air controlling system to solve high humidity condition and dew inside the tomb.
      We found that break rate of bricks inside the Murong royal tomb and the 6th tomb had been increased about 250 % and 290 % for just last 24 years from 1972 to 1996, respectively. The situation in 1996 is the result for just 24 years while the situation in 1972 was the result for about 1450 years. Status of breaking of bricks represents that a severe problem is undergoing.
      The wall movement of tombs is detecting in disadvantageous directions, especially in rainy season. The front wall of the Muryong royal tomb shows the biggest movement having a rate of 2.05 mm/myr toward the passage way.
      Georadar section of the shallow soil layer represents several faults in the artificial water-protection layer within soil layer. Rainwater flew through faults into the tomb and nearby ground and high water content in nearby ground resulted in low resistance and high humidity inside tombs. High humidity inside tomb made good living condition for algae with high temperature and moderate light source.
      Artificial change of the tomb environment since the excavation, infiltration of rain water and groundwater into the tombsite and bad drainage system had resulted in dangerous status for the tomb structure. Main cause for many problems including breaking of bricks, movement of tomb walls and algae living is infiltration of rainwater and groundwater into the tomb site. Therefore, protection of the tomb site from high water content should be carried out at fust. Waterproofing method includes a cover system over the tomsite using geotextile, clay layer and geomembrane. Decrease and balancing of soil weight above the tomb are also needed for the safety of tomb structures.
      Above mentioned preservation methods are suggested to give least changes to tomb site and to solve the most fundmental problems. Repairing should be planned in order and some special cares are needed for the safety of tombs in repairing work.
      Finally, a monitoring system measuring tilting of tomb walls, water content, groundwater level, temperature and humidity is required to monitor and to evaluate the repairing work.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