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폭력성 애니메이션 금지 정책의 효과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36352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정부는 청소년이 대하는 방송, 영화 등을 심의할 때 폭력성을 중요한 심의 기준 중 하나로 하고 있다. 이는 TV 및 영화 내용의 폭력성이 청소년의 실제 행위에 영향을 끼쳐 청소년 폭력성에 ...

      정부는 청소년이 대하는 방송, 영화 등을 심의할 때 폭력성을 중요한 심의 기준 중 하나로 하고 있다. 이는 TV 및 영화 내용의 폭력성이 청소년의 실제 행위에 영향을 끼쳐 청소년 폭력성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제어하기 위해서이다. 그러나 TV 등 방송 매체의 폭력성 등이 실제 청소년의 폭력성에 얼마나 큰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이 존재한다. 그런데 한국의 경우 청소년 폭력 매체에 대한 사회 실험이 존재했다. 한국에서는 1970년대에 폭력성 애니메이션이 유행했는데, 청소년 폭력을 방지하기 위하여 1980년 9월 폭력성 애니메이션 방영을 완전히 금지하였다. 이 폭력성 애니메이션 금지 정책이 당시 청소년 폭력 범죄에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가를 검토하면 매체의 폭력성과 실제 폭력성과의 관계에 대해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분석결과 1980년 9월의 폭력성 애니메이션 금지 정책은 청소년 폭력 범죄 추세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못했다. 이러한 결과로부터 폭력성 애니메이션과 청소년의 직접적인 폭력 행위와는 특정한 인과관계가 있다고 보기 힘들다는 점, 그리고 정부가 가부장적 입장에서 청소년의 대중매체 선택권을 제한하는 정책에 대해서 보다 깊이 있는 논의가 필요하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Government set violence as one of the important criteria when it rates movies or TV programs for juveniles. The purpose of setting this criteria is to prohibit the violence in TV programs or movies from affecting the actual behavior of juveniles. Howe...

      Government set violence as one of the important criteria when it rates movies or TV programs for juveniles. The purpose of setting this criteria is to prohibit the violence in TV programs or movies from affecting the actual behavior of juveniles. However, it is still under discussion how much the violence in broadcasting media actually affects juvenile violence.
      Korea once carried out a social experiment on juvenile violence media. Back in 1970, violent animation was popular in Korea and Korean government completely banned televising violent animations from September 1980 in an effort to prevent juvenile violence. Investigating the effect of this policy on juvenile violence would draw some implications. The result shows that the policy to ban violent animation in September 1980 didn't have meaningful effect on the trend of juvenile violence.
      The implication from this paper is that there is no certain cause-and-effect relationship between violent animation and juvenile violence. Another implication is that in-depth discussion is needed if this government policy is violating the juvenile's right to choose public media.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한국에서의 폭력성 애니메이션 금지조치
      • Ⅳ. 본 연구의 접근법
      • 초록
      • Ⅰ. 서론
      • Ⅱ. 이론적 배경
      • Ⅲ. 한국에서의 폭력성 애니메이션 금지조치
      • Ⅳ. 본 연구의 접근법
      • Ⅴ. 폭력성 애니메이션 금지정책의 효과 분석
      • Ⅵ. 결론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한국일보, 1970-1985"

      2 문성기, "한국 애니메이션은 없다" 예솔 1998

      3 정유라, "한국 만화영화 텍스트 연구-폭력양성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1 : 1997

      4 강남준, "폭력물 시청과 청소년 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중재변인으로서 자기 효능감 역할" 13 : 1999

      5 김수지, "폭력매체와 청소년 비행" 24 (24): 1994

      6 전평국, "최근 한국영화의 폭력성과 그 수용성에 관한 고찰" 3 : 2001

      7 최덕경, "청소년의 학교폭력 실태 및 관련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안성시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3 (3): 89-103, 2001

      8 서명석, "청소년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2 : 1999

      9 이승철, "정부규제의 근거로서의 시장실패에 관한 연구" 1 (1): 1992

      10 최병선, "정부규제론" 법문사 1992

      1 "한국일보, 1970-1985"

      2 문성기, "한국 애니메이션은 없다" 예솔 1998

      3 정유라, "한국 만화영화 텍스트 연구-폭력양성 메커니즘을 중심으로" 1 : 1997

      4 강남준, "폭력물 시청과 청소년 폭력성 간의 관계에서 중재변인으로서 자기 효능감 역할" 13 : 1999

      5 김수지, "폭력매체와 청소년 비행" 24 (24): 1994

      6 전평국, "최근 한국영화의 폭력성과 그 수용성에 관한 고찰" 3 : 2001

      7 최덕경, "청소년의 학교폭력 실태 및 관련변인에 대한 탐색적 연구-안성시 중· 고등학생을 대상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3 (3): 89-103, 2001

      8 서명석, "청소년 폭력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12 : 1999

      9 이승철, "정부규제의 근거로서의 시장실패에 관한 연구" 1 (1): 1992

      10 최병선, "정부규제론" 법문사 1992

      11 오치선, "전자영상매체가 청소년의 폭력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1 : 1996

      12 강기철, "일본만화 유해론의 사회적 성격 변화 연구" 26 : 2003

      13 여은호, "유머러스한 폭력물이 수용자의 폭력성에 미치는 프라이밍 효과에 대한 연구" 19 (19): 2005

      14 변동현, "어린이들의 텔레비전 만화영화 수용과 관련한 가치관의 유형 연구" , 30 : 1993

      15 서혜옥, "애니메이션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5) : 2001

      16 박아청, "아동 청소년의 폭력성 멀티미디어의 수용정도가 폭력 성향에 미치는 영향" 15 (15): 2001

      17 대검찰청, "범죄분석" 1990

      18 나은영, "미디어 폭력이 청소년에게 미치는 심리적 효과" 1995

      19 이영, "만화영화의 문제점과 개선방향" 1998

      20 "동아일보, 1970-1985"

      21 배용수, "규제정책론" 대영문화사 2006

      22 한창완, "교육환경으로서의 만화와 애니메이션 산업에 대한 토론" 1997

      23 사공영호, "가부장적 행정문화와 규제관료의 포획에 관한 연구" 서울대학교 1998

      24 사공영호, "가부장적 행정문화 속에서의 규제기관 및 관료의 포획현상 연구" 32 (32): 1998

      25 Levit, Steven, "Understanding Why Creime Fell in the 1990's: Four Factors that Explain the Decline and Six that do not" 18 : 2004

      26 Friedman, Milton, "The Role of Government in a Free Society In: Private Wants and Public Needs: Issues Surrounding the Size and Scope of Government Expenditure" WWNorton & Company Inc 1965

      27 McGuire, W. J., "The Myth of Massive Media Impact : Savagings and Salvagings In: Public Communication and Behavior" Academic Press 1986

      28 Milavsky J, "Television and aggression" Academic Press Inc 1982

      29 곽진희, "TV 폭력의 맥락차원과 시청자의 폭력성 지각에 관한 연구" 15 (15): 2001

      30 U. S. Government Printing Office, "Surgeon General's Scientific Advisory Committee on Television and Social Behavior" Television and Growing up: The Impact of Televised Violence 1972

      31 VanDeVeer, Donald, "Paternalistic Intervention: The Moral Bounds on Benevolence" Princeton University Press 1986

      32 Greenfield, P.M., "Mind and media: The effects of television, computers and video games" Sons 1984

      33 Eron L, "Interventions to mitigate the psychological effecrts of media violence on aggressive behavior" 42 : 1986

      34 Bandura A, "Imitation of film-mediated models" 66 : 1963

      35 Hearth L, "Effects of media violence on children" 46 : 1989

      36 McLeod Atkin C, "Adolescents, Parents and television use In: Television and Social behavior" 3 : 197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7-21 학회명변경 한글명 : 사단법인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 한국만화애니메이션학회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64 0.64 0.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7 0.66 0.988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