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일본어잡지『조선공론(朝鮮公論)』(1913-1920)의 에세이와 한국인식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410331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일본어잡지 『조선공론(朝鮮公論)』은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대표적인 잡지의 하나로 일본의 다양한 담론을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 본 논문은 시대적으로는 초기의 1910년대를, 내용적으...

      일본어잡지 『조선공론(朝鮮公論)』은 일제강점기에 간행된 대표적인 잡지의 하나로 일본의 다양한 담론을 보여주고 있다. 그 중에서 본 논문은 시대적으로는 초기의 1910년대를, 내용적으로는 각호에 게재된 에세이를 중심으로 하여, 일본의 한국인식에 대한 담론을 제기하고자 한다.
      특히 본 논문에서 대상으로 삼은 것은 「新羅崔致遠行脚印象」(『朝鮮公論』第1巻第1号、1913年1月)、「倭寇の歷史と李王家」(『朝鮮公論』第5巻第2号、1917年2月)、「米人の観たる朝鮮人」(『朝鮮公論』第8巻第11号、1920年11月)로,이들 에세이에 공통적으로 관통하는 일본의 조선인식이라는 것은 부정적 역사인식이라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新羅崔致遠行脚の印象」에서는 조선의 역사가 선조의 위업을 보존하고 발전시키는데 실패한 역사라고 하며, 지배자의 무능으로 인해 발전할 수 없었을 뿐 아니라, 재능과 능력이 있어도 그 재능을 발휘하기 힘든 사회였다는 내용이 다수 등장하고 있다.
      「倭寇の歷史と李王家」도 마찬가지로, 역사왜곡, 일본의 조선 침략에 대한 정당화를 미화하거나, 한국 지배계층이 지닌 무능함을 조선역사에 보이는 부정적 이미지로 그려내고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일본인의 조선인식 뿐 아니라, 미국인이 본 조선인이란 제목의 「米人の観たる朝鮮人」에서 조차도조선인은 열등하여 일본의 식민지가 된 것은 당연한 귀결이었다는 인식을 강하게 보이고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결국 식민지기 대표적인 일본어 잡지 『朝鮮公論』 부정적인 한국사관과 한국인식에 기초하여 일본의 식민통치를 정당화 하는 논리를 대변하는 데 일익을 담당하였던 것이다.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청균, "일본어잡지 『조선(朝鮮)』(1908)의 역사물(歷史物)과 한국 표상" 한국일본학회 (84) : 281-296, 2010

      2 구인모,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3 김인호,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2" 웅진지식하우스 2011

      4 高柳光寿, "角川日本史辞典 第二版" 角川書店 1974

      5 渡辺洞雲, "米人の観たる朝鮮人" 8 (8): 1920

      6 "発刊の辞" 1 (1): 1913

      7 稲田春水, "新羅崔致遠行脚の印象" 1 (1): 1913

      8 伊藤銀月, "倭寇の歷史と李王家" 5 (5): 1917

      9 송미정, "'朝鮮公論' 소재 문학적 텍스트에 관한 연구 -재조일본인 및 조선인 작가의 일본어 소설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1 김청균, "일본어잡지 『조선(朝鮮)』(1908)의 역사물(歷史物)과 한국 표상" 한국일본학회 (84) : 281-296, 2010

      2 구인모, "식민지 조선인을 논하다" 동국대학교출판부 2010

      3 김인호, "미래를 여는 한국의 역사2" 웅진지식하우스 2011

      4 高柳光寿, "角川日本史辞典 第二版" 角川書店 1974

      5 渡辺洞雲, "米人の観たる朝鮮人" 8 (8): 1920

      6 "発刊の辞" 1 (1): 1913

      7 稲田春水, "新羅崔致遠行脚の印象" 1 (1): 1913

      8 伊藤銀月, "倭寇の歷史と李王家" 5 (5): 1917

      9 송미정, "'朝鮮公論' 소재 문학적 텍스트에 관한 연구 -재조일본인 및 조선인 작가의 일본어 소설을 중심으로-" 국민대학교 대학원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8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2-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1 0.51 0.5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2 0.47 1.021 0.05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