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환경친화적 사방용 식생자루 개발 =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affinitive vegetation sac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M10324989

      • 저자
      • 발행사항

        과천 : 농림부, 2005

      • 발행연도

        2005

      • 작성언어

        한국어

      • KDC

        526.153 판사항(4)

      • 자료형태

        일반단행본

      • 발행국(도시)

        경기도

      • 서명/저자사항

        환경친화적 사방용 식생자루 개발 = Development of environmentally affinitive vegetation sack / 총괄연구책임: 전근우 ; 주관연구기관: 강원대학교 ; 농림부 [편]

      • 형태사항

        147 p : 삽화,도표 ; 26 cm

      • 일반주기명

        이 보고서는 농림부에서 시행한 농림기술개발사업의 연구보고서임
        최종연구보고서
        협동연구책임: 김재헌
        제1협동과제 연구기관: 국립산림과학원
        참여기업: 대원산업(주)
        부록: 마대 접착제 유해성 실험
        참고문헌 p. 135-142

      • 소장기관
        • 강원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공주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부경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국립중앙도서관 국립중앙도서관 우편복사 서비스
        • 대구가톨릭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상명대학교 천안학술정보관 소장기관정보
        • 서울대학교 농학도서관 Deep Link
        • 전남대학교 중앙도서관 소장기관정보
        • 충남대학교 도서관 소장기관정보 Deep Link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목차 (Table of Contents)

      • 목차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Outline of the research) = 19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Technological Innovation Present Condition of Korea and Foreign Nation) = 22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Scope and Result of the Study and Development) = 24
      • 제1절 실태조사 및 선진 녹화기술 심포지엄(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advanced greening work technique symposium) = 24
      • 목차
      • 제1장 연구개발과제의 개요(Outline of the research) = 19
      • 제2장 국내외 기술개발 현황(Technological Innovation Present Condition of Korea and Foreign Nation) = 22
      • 제3장 연구개발수행 내용 및 결과(Scope and Result of the Study and Development) = 24
      • 제1절 실태조사 및 선진 녹화기술 심포지엄(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and advanced greening work technique symposium) = 24
      • 1. 실태조사(Research on the actual condition) = 24
      • 2. 선진 녹화기술 심포지엄(Advanced greening work technique symposium) = 34
      • 제2절 환경친화형 식생자루의 재료 및 구조 개발(Development of environmently affinitive revegetation sack material and structure) = 39
      • 1. 종자 발아기에서의 발아실험(Germination experiment in incubator) = 39
      • 2. 식생자루의 발아율 실험(Revegetation sack germination experiment in laboraty) = 43
      • 가. 재료 및 방법 = 43
      • 나. 실험결과 = 43
      • 3. 마대 내피부착 종자발아실험 1(발아상 실험)(Glueing seed germination experiment in incubator) = 47
      • 가. 재료 및 방법 = 47
      • 나. 실험결과 = 48
      • 4. 마대 내피부착 종자발아실험 2(접착제 유해성실험)(Glueing seed germination experiment in incubator(Glue toxicity test)) = 50
      • 가. 재료 및 방법 = 50
      • 나. 실험결과 = 52
      • 5. 각 마대별 인열강도 실험(Vertical and lateral tensile strength experiment) = 54
      • 가. 재료 및 방법 = 54
      • 나. 실험결과 = 55
      • 6. 현지적용용 식생자루 개발(Choice of revegetation sack for local application test) = 57
      • 가. 천연씨앗 부착마대 1 = 57
      • 나. 천연씨앗 부착마대 2 = 58
      • 다. P.P 씨앗마대 = 59
      • 라. 씨볏짚가마니 = 59
      • 제3절 인공비탈면에서의 식생자루 적용방안 개발(Development of application methods for revegetation sack in model slope) = 60
      • 1. 실내 모형실험(Model experiment) = 60
      • 가. 실험지 개요 = 60
      • 나. 실험장치의 구성 및 제원 = 60
      • 다. 실험방법 = 62
      • 라. 측정방법 = 64
      • 마. 식생자루의 효과분석 = 64
      • 2. 인공비탈면에서의 식생도입 실험(Vegetation introducing experiment in model slpe) = 71
      • 가. 실험장치의 구성 및 제원 = 71
      • 나. 실험방법 = 71
      • 다. 조사방법 및 내용 = 72
      • 라. 식생조사 = 72
      • 마. 조사기간 중 강우특성 = 79
      • 바. 강우량과 유출수량의 관계 = 79
      • 사. 강우량과 부유물질농도와의 관계 = 81
      • 아. 강우량과 유출토사량의 관계 = 83
      • 제4절 환경친화형 식생자루 현지 적용방안 개발(Development of field application plan for environmently affinitive revegetation sack) = 86
      • 1. 현황 및 배경(Status and background) = 86
      • 가. 기존 식생자루의 문제점 파악 = 86
      • 나. 식생자루의 개선점 = 86
      • 2. 개발목적(Development purpose) = 87
      • 3. 시험방법 및 규모(Experimental method and scale) = 87
      • 가. 시험방법 = 87
      • 나. 기존 식생자루와 개량형 친환경적 식생자루의 효과분석 = 90
      • 4. 환경친화형 식생자루 시험구 초년도 성적조사(Experiment result of environmently affinitive revegetation sack in lst year) = 100
      • 가. 경사별 생육상태 = 100
      • 나. 입조건별 생육상태 = 100
      • 다. 유의사항 = 100
      • 5. 환경친화형 식생자루 시험구 2차년 성적조사(Experiment result of environmently affinitive revegetation sack in 2nd year) = 102
      • 가. 경사별 생육상태 = 102
      • 나. 입지조건별 생육상태 = 102
      • 제5절 환경친화형 식생자루 규격 및 시공방법(Standard and construction method of environmently affinitive) = 109
      • 1. 총설(Introduction) = 109
      • 가. 개념 = 109
      • 나. 고려사항 = 109
      • 다. 시공위치 = 110
      • 라. 유의사항 = 110
      • 마. 기타 = 111
      • 2. 규격(Standard) = 111
      • 가. 식생자루 = 111
      • 나. 식생용지 및 메쉬 = 111
      • 다. 종자 및 비료 = 112
      • 라. 충진용 토양 = 113
      • 3. 시공(Construction) = 113
      • 가. 시공순서 = 113
      • 나. 생육판정기준 = 114
      • 다. 시공장소 = 115
      • 4. 각 공정별 기본 공사비 산출내역(The construction cost per each process) = 116
      • 제4장 목표달성도 및 관련분야에의 기여도(Goal attainment and contribution to related area) = 118
      • 제5장 연구개발결과의 활용계획(Application plan of study result) = 122
      • 제6장 연구개발과정에서 수집한 해외과학기술정보(Science technology knowledge in study course) = 124
      • 제7장 참고문헌(References) = 135
      • 부록 = 143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