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무용수의 `몸 주체성` 인식에 기반한 안무자의 작품분석: 무용작품 < Walk >를 중심으로<sup>+</sup> = A Dance Analysis Based on the Dancer`s Bodily Subjectivity -Focused on Researcher`s Choreography Walk-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533320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논문은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에 의거하여 무용수의 `몸 주체성` 인식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자의 박사학위 졸업 작품인 < Walk >를 분석한 것이다. 춤을 추는 무용수들이 ...

      이 논문은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에 의거하여 무용수의 `몸 주체성` 인식에 초점을 두고 본 연구자의 박사학위 졸업 작품인 < Walk >를 분석한 것이다. 춤을 추는 무용수들이 자신의 춤추는 몸에 대해 어떻게 인식할 것인가는 중요한 문제이다. 무용수들이 자신의 몸을 자각하면서 동작을 할 경우에 몸의 주체성을 인식하게 된다는 것을 본 연구를 통해 밝혔다.
      본 논문의 연구법은 `실기기반연구법(Practice Based Research)`과 `무용분석법`을 통합해서 사용하였다. `실기기반연구법`을 기반으로 무용작품 < Walk >를 구상부터 연습과정을 연구하였다. 이 과정에서 구축한 연습노트와 몸의 체험 자료(Somatic data)를 기반으로 작품에 참여한 무용수의 `몸 주체성`에 관한 인식을 탐구하였다. 작품을 분석하는 단계에서는 애드쉐드(Janet Adshead-Lansdale)의 무용분석법을 토대로 작품의 여러 가지 요인들의 연결과 맥락 속에서 무용수의 `몸 주체성`에 관한 인식을 추출 해내었다.
      본 연구의 결과는 무용수가 안무자가 제시하는 동작을 수동적으로 수행할 때와 무용수 스스로가 주체적으로 자신의 몸을 자각하면서 움직일 때 몸에 대한 인식의 차이가 현격하게 드러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시 말하면 무용수가 주체적으로 동작을 실행했을 때 몸에 대한 감각이 풍부해지고 무용에 대한 자신감도 생겼다. < Walk >의 무용수들은 `몸 주체성`에 대한 인식의 정도와 몸을 느끼는 속도의 개인차는 있었지만 6명의 무용수 모두 그 작품에 참여하며 몸 주체성을 체험하였다. `몸 주체성` 이라는 새로운 인식과 감각의 체험은 무용수들에게 무용예술에 대한 자신감을 갖게 하였고 보다 창조적인 동작을 구사하게 하는 성장도 이루게 했다.
      본 연구가 구체적인 무용창작 현장에 적용되어 무용수들이 안무자가 가르치는 동작을 수동적으로 수행하는 차원에서 머무르지 말고 그들 스스로 행하는 춤의 주인이 되게 하는데 유용한 사례가 되기를 바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analyzes my dance work, Walk. It is crucial that dancers, as the main agent of dance art, embody their dancing as real experience and recognize their dancing bodies. This research questions if dancers, when becoming the principal agents o...

      This article analyzes my dance work, Walk. It is crucial that dancers, as the main agent of dance art, embody their dancing as real experience and recognize their dancing bodies. This research questions if dancers, when becoming the principal agents of their bodies, experience bodily subjectivity differently from what they feel when they passively dance.
      The methodology used for this study includes practice based research and dance analysis. In terms of literature research, we examined the historical recognition and discourse of body in order to understand dancers` bodily subjectivity. Practice based research refers to a particular type of inquiry that interrogates the whole process of artistic creation from the conception to the performance. For this, we analyzed somatic data that were generated in the process of creating my dance work Walk in order to illuminate the changing recognition of bodily subjectivity. When it comes to dance analysis methodology, we adopted Janet Adshead-Lansdale`s dance analysis model.
      The research`s findings are as follows. dance works Walk adopted bodily exploration early in the stage of practice, dancers could move their bodies with more integrity. Dancers in Walk showed individual differences in terms of their depth of recognizing bodily subjectivity as well as of the speed of experiencing their bodies. However, as they gradually experienced their own bodies, they became more confident and showed progress in performing creative movements. These analyses indicate that dancers as well as artists can recognize their bodies as active and subjective when an inquiry on bodily subjectivity builds on.
      The dance field in Korea has shown little interest in the significance and possibilities of bodily subjectivity. we hope this research would stimulate further inquiry on bodily subjectivity.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Sharmain van Blommestein, 10 (10): 107-119, 2012

      2 노양진, "체험주의의 철학적 전개" 범한철학회 10 : 341-376, 1995

      3 조광제, "주름진 작은 몸들로 된 몸" 철학과현실사 2003

      4 이정명, "심신통합적 움직임 교육으로서의무브먼트 리츄얼(Movement Ritual)에 관한 고찰" 무용역사기록학회 32 : 163-184, 2014

      5 전미현, "소매틱스(Somatics)에 관한 국내 연구 현황 및 경향 분석: - 움직임 교육 방법론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11 : 139-156, 2006

      6 토마스 한나, "소마틱스: 노화시계를 되돌리는 자세혁명" 행복 에너지 2012

      7 김정명, "부드러운 움직임의 길을 찾아 - 토마스 하나의 생명의 몸" 소피아 2013

      8 Susan, A., "발레와 현대무용" 시공아트 2004

      9 조기숙, "무용연구에서 데이터의 생산 및 관리에 관한 연구: ‘실기기반 연구’를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33 : 35-62, 2014

      10 조기숙, "무용에서‘실기에 기반을 둔 연구’에 관한 고찰- 개념과 과정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31 : 229-255, 2013

      1 Sharmain van Blommestein, 10 (10): 107-119, 2012

      2 노양진, "체험주의의 철학적 전개" 범한철학회 10 : 341-376, 1995

      3 조광제, "주름진 작은 몸들로 된 몸" 철학과현실사 2003

      4 이정명, "심신통합적 움직임 교육으로서의무브먼트 리츄얼(Movement Ritual)에 관한 고찰" 무용역사기록학회 32 : 163-184, 2014

      5 전미현, "소매틱스(Somatics)에 관한 국내 연구 현황 및 경향 분석: - 움직임 교육 방법론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11 : 139-156, 2006

      6 토마스 한나, "소마틱스: 노화시계를 되돌리는 자세혁명" 행복 에너지 2012

      7 김정명, "부드러운 움직임의 길을 찾아 - 토마스 하나의 생명의 몸" 소피아 2013

      8 Susan, A., "발레와 현대무용" 시공아트 2004

      9 조기숙, "무용연구에서 데이터의 생산 및 관리에 관한 연구: ‘실기기반 연구’를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33 : 35-62, 2014

      10 조기숙, "무용에서‘실기에 기반을 둔 연구’에 관한 고찰- 개념과 과정을 중심으로" 무용역사기록학회 31 : 229-255, 2013

      11 Adshead-Lansdale, J, "무용분석의 이론과 실제" 현대미학사 1996

      12 강미라, "몸 주체 권력 : 메를로퐁티와 푸코의 몸 개념" 이학사 2011

      13 손병석, "동서 철학 심신관계론의 가치론적 조명" 한국학술정보(주) 2013

      14 김정현, "니체의 몸 철학" 문학과 현실사 2000

      15 한국니체학회, "니체와 현대의 만남" 세종출판사 2001

      16 정성관, "니체와 청년교육" 한국니체학회 (9) : 155-176, 2006

      17 Hanna, T., "What is Somatics" (Fall/Winter) : 2003

      18 Wolff, J., "Feminine Sentences: Essays in Women and Culture" Blackwell Publishers 1990

      19 Banes, S, "Dancing Women : Female bodies on stage" 성균관대학교 출판부 2012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12-0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SDDH -> Asian Dance journal KCI등재
      2020-04-09 학회명변경 영문명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 The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History KCI등재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8-2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The Journal of DSDH -> The Journal of SDDH KCI등재
      2014-04-22 학회명변경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 -> 무용역사기록학회
      영문명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 The Dance Society for Documentation & History
      KCI등재
      2014-04-17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한국무용기록학회지 -> 무용역사기록학
      외국어명 : The Korean Jounal of Dance Documentation -> The Journal of DSDH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16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The Korea Society for Dance Documentation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7 0.7 0.76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81 0.81 0.943 0.08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