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위화도의 위치 재고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636810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위화도는 중국 단동시 압록강에 있는 하중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여러 사서에서 보이는 “압록강을 넘어 위화도에 진을 쳤다(渡鴨綠江屯威化島)”는 기록은 현재의 위화도에 많은 의문...

      위화도는 중국 단동시 압록강에 있는 하중도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여러 사서에서 보이는 “압록강을 넘어 위화도에 진을 쳤다(渡鴨綠江屯威化島)”는 기록은 현재의 위화도에 많은 의문을 갖게 만든다. 필자는 이를 풀기 위하기 위화도와 관련 사료들을 수집·분석하였다. 위화도의 위치를 비정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압록강의 지류와 섬(島)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선행되어야 한다. 이를 통해 현재의 위화도는 사서에 기록된 위화도와 많은 차이가 있음을 논증하고, 사서의 기록을 토대로 위화도 추정지역을 새롭게 비정하였다. 아울러 현장답사를 통하여 새롭게 비정한 ‘중국 단동시 관전만족자치현 서점자’ 지역이 이성계가 회군한 위화도임을 다각도로 확인하였다.
      현재 우리가 알고 있는 압록강 위화도는 조선 후기에 제작된 지도들을 바탕으로 일제 강점기 조선총독부에서 편찬한 『조선사』에서 확정한 위화도이다. 일본학자들이 비정한 위화도는 이후 과학적인 검증 없이 1938년부터 오늘날 까지 그대로 인정되어 왔다. 하지만 압록강 가운데 있는 위화도는 사서에 기록된 내용과 일치하는 것이 없다. 위화도의 위치를 올바르게 비정하는 것은 역사지리의 제자리를 찾는 것임은 물론 우리의 얽히고설킨 역사의 실마리를 푸는 매우 중요한 출발점이 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Wihwado has been known to be an island on the middle of Yalu River, Dandong city, China. However, many history books show the record, “Troops passed over Yalu River and encamped in Wihwado (渡鴨綠江屯威化島)” which leads to a lot of doubts...

      Wihwado has been known to be an island on the middle of Yalu River, Dandong city, China. However, many history books show the record, “Troops passed over Yalu River and encamped in Wihwado (渡鴨綠江屯威化島)” which leads to a lot of doubts on the current location of Wihwado. To solve these questions, the author has collected and studied related literature. Before determining the location of Wihwado, the new understanding of Yalu River’s branches and islands is pre-required. From this information, this paper shows that the current Wihwado’s location is different from the one written in the history books and determines the estimated location of Wihwado based on the history books. Furthermore, by on-site explorations, this paper verifies from various angles that the newly estimated location, Xudianzi, Kuandianzhen xian, Dandung city, is the Wihwado where Lee Sung-gye withdrew his army.
      The current location of Wihwado, Yalu River was decided in Joseonsa, published by the Japanese Government-General of Korea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based on the maps produced in the late of Joseon Dynasty. After Japanese researchers determined the Wihwado’s location, it has been a accompli since 1938 without any scientific review. However, the Wihwado located middle in the Yalu River is not matched with the records written in the history books. Determination of the right location of Wihwado is an important starting point not only in the geology of history but also to find our histor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현재의 위화도 인식과정
      • 3. 사서에 기록된 위화도
      • 4. 압록강 물줄기와 섬(島)에 대한 이해
      • 〈국문초록〉
      • 1. 머리말
      • 2. 현재의 위화도 인식과정
      • 3. 사서에 기록된 위화도
      • 4. 압록강 물줄기와 섬(島)에 대한 이해
      • 5. 위화도 위치 고찰
      • 6. 위화도 위치 비정
      • 7. 위화도 위치 현장 답사
      • 8.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당택, "李成桂의 威化島回軍과 制度改革" 호남사학회 (24) : 137-166, 2005

      2 해동고지도연구소, "해동전도"

      3 중국국가문물국, "중국문물지도집, 요녕분책(상, 하)" 서안지도출판사 2008

      4 민덕기, "조선의 對明관계와 義州 사람들 -압록강 하류의 三島 경작문제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49) : 43-81, 2014

      5 조선사편수회, "조선사 3(7)"

      6 김경록, "조선과 중국(명・청)의 사행외교" 한일관계사학회 (55) : 227-269, 2016

      7 김영수, "위화도회군의 정치" 33 : 29-47, 1999

      8 복기대, "원나라 동녕부 위치에 대한 고찰" 한국몽골학회 (57) : 97-124, 2019

      9 민중서림출판국, "엣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2003

      10 윤한택, "압록과 고려의 북계" 주류성출판사 13-82, 2017

      1 김당택, "李成桂의 威化島回軍과 制度改革" 호남사학회 (24) : 137-166, 2005

      2 해동고지도연구소, "해동전도"

      3 중국국가문물국, "중국문물지도집, 요녕분책(상, 하)" 서안지도출판사 2008

      4 민덕기, "조선의 對明관계와 義州 사람들 -압록강 하류의 三島 경작문제를 중심으로-" 한일관계사학회 (49) : 43-81, 2014

      5 조선사편수회, "조선사 3(7)"

      6 김경록, "조선과 중국(명・청)의 사행외교" 한일관계사학회 (55) : 227-269, 2016

      7 김영수, "위화도회군의 정치" 33 : 29-47, 1999

      8 복기대, "원나라 동녕부 위치에 대한 고찰" 한국몽골학회 (57) : 97-124, 2019

      9 민중서림출판국, "엣센스 국어사전" 민중서림 2003

      10 윤한택, "압록과 고려의 북계" 주류성출판사 13-82, 2017

      11 서인범, "압록강하구 沿岸島嶼를 둘러싼 朝明 영토분쟁" 명청사학회 (26) : 31-68, 2006

      12 고광진, "시론 ‘長白山’과 ‘鴨綠水’의 위치 검토-고려이전을 중심으로-" 국학연구원 13 : 421-450, 2012

      13 이명미, "고려 말 정치·권력구조의 한 측면" 동국역사문화연구소 (58) : 81-116, 2015

      14 윤훈표, "고려 말 이성계의 군사 활동과 조선 건국 주도 세력의 결집 양상" 한국사학사학회 (33) : 101-149, 2016

      15 윤한택, "고려 국경에서 평화시대를 묻는다" 더플랜 2018

      16 복기대, "고구려의 평양과 그 여운" 주류성 63-82, 2017

      17 남의현, "고구려의 평양과 그 여운" 83-119, 2017

      18 "高麗史節要"

      19 "高麗史"

      20 "遼東志"

      21 "說文解字"

      22 "籌海圖編"

      23 "燕行錄全集"

      24 "淸史稿"

      25 "朝鮮王朝實錄"

      26 津田左右吉, "朝鮮歷史地理 2" 남만주철도주식회사 1913

      27 "明史"

      28 "新增東國輿地勝覽"

      29 "承政院日記"

      30 "左海輿圖"

      31 강지언, "威化島 回軍과 그 推進 勢力에 대한 검토" 20 (20): 53-78, 1993

      32 "全遼志"

      33 "元史"

      34 "備邊司謄錄"

      35 王 俊, "五龙山从古至今有很多名字"

      36 Gi-Dae Bok, "Reinterpretation of Sindangseo Gatam[賈耽] Dorigi(道理記)"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umanities Institute 57 : 77-105, 2018

      37 Gi-Dae Bok, "Reconsideration of Cheollyeongwi’s Location" Kukhak Institute 9 : 297-326, 2010

      38 Tae-Sang Chung, "Ming Dynasty’s Cheollyeongwi and the border at the end of the Koryo Dynast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umanities Institute 58 : 189-216, 2018

      39 Eui-Hyeon Nam, "A Study on the Border between Korea and China in Late Yuan Dynasty and Early Ming Dynasty" Kangwon National University Humanities Institute 61 : 177-217, 2019

      40 주경식, "(중학교)사회과부도" 교학사 2007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2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1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8-12-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 (계속평가) KCI등재후보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8-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9 0.39 0.48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6 0.6 0.803 0.2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