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내 주거경관의 주요소인 아파트의 외벽색채는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도시경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는 도시이미지 개선을 위한 색채디자인 전략을 ...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868886
2015
-
KCI등재
학술저널
25-34(10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도시 내 주거경관의 주요소인 아파트의 외벽색채는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도시경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는 도시이미지 개선을 위한 색채디자인 전략을 ...
도시 내 주거경관의 주요소인 아파트의 외벽색채는 시대 흐름에 따라 변화하였으며, 도시경관에 대한 관심이 증가함에 따라 각 지방자치단체는 도시이미지 개선을 위한 색채디자인 전략을 수립하고 있다. 본 연구는 신도시 조성 전 별도의 색채가이드라인을 수립한 후 만들어진 광교신도시를 대상으로, 현재 아파트 외벽 색채가 가이드라인에 부합하는지에 대하여 색채분석을 실시한 것이다.
연구의 기대효과는 아파트 색채디자인의 공공성 증진 및 조화로운 도시경관 형성을 장려하는데 있으며, 연구방법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헌조사를 통하여 기존의 선행연구를 고찰한다. 둘째, 광교신도시 택지개발 사업의 개요 및 광교와 관련한 색채지침 및 제도를 조사한다. 셋째, 현장조사를 통하여 아파트 외벽색채를 측색하고, 형용사 이미지 스케일에 따른 색채 이미지 분석을 실시한다.
분석결과, 광교신도시는 색채가이드라인을 통해 아파트 외벽색채에 지역별 이미지를 부여하고자 하였으나, 색채현황은 기존의 가이드라인과 달리 전반적인 색채 이미지가 정적이고 딱딱한 이미지의 범주에 동일하게 속하여 각 지역별 이미지를 나타내지 못하는 문제점을 가지고 있다. 광교신도시 가이드라인과 현황색채에 대한 비교분석에서는 색과 이미지가 서로 일치하지 않아, 가이드라인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대로 적용되지 못하는 시행상의 문제가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Reference)
1 윤규현, "한강변 아파트의 환경색채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 이촌1동을 대상으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9) : 343-351, 2014
2 권영걸, "이제는 색이다" 국제 2002
3 이성룡, "이슈&진단(국토 및 도시경관 무엇이 문제인가)" 경기개발연구원 2013
4 최은영, "아파트 색채가이드라인의 효용성 제고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5 이지연, "신도시 아파트 색채 가이드라인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2 (2): 2006
6 정성윤, "수도권 신도시 아파트 외관 색채 사용 현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3
7 국토해양부, "광교지구 택지개발사업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
8 경기도시공사, "광교신도시 색채가이드라인"
9 한숙희, "경기지역의 아파트 외관색채에 관한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10 "http://www.iricolor.com"
1 윤규현, "한강변 아파트의 환경색채 개선방안 연구 -서울시 이촌1동을 대상으로-" 한국디자인지식학회 (29) : 343-351, 2014
2 권영걸, "이제는 색이다" 국제 2002
3 이성룡, "이슈&진단(국토 및 도시경관 무엇이 문제인가)" 경기개발연구원 2013
4 최은영, "아파트 색채가이드라인의 효용성 제고에 관한 연구" 홍익대학교 대학원 2009
5 이지연, "신도시 아파트 색채 가이드라인의 효용성에 관한 연구" 2 (2): 2006
6 정성윤, "수도권 신도시 아파트 외관 색채 사용 현황에 관한 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13
7 국토해양부, "광교지구 택지개발사업 지구단위계획 시행지침"
8 경기도시공사, "광교신도시 색채가이드라인"
9 한숙희, "경기지역의 아파트 외관색채에 관한 분석"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7
10 "http://www.iricolor.com"
11 "http://www.gwanggyonewtown.or.kr"
12 경기도시공사, "Smart Guide 광교신도시 입주가이드"
어린이 놀이 공간 디자인의 감성적 특성 연구아파트 - 단지 내 어린이 놀이공간을 중심으로-
시각장애인의 정보접근성 측면에서 본 가전제품의 실태조사 연구
디지털 프로젝션 매핑을 활용한 융합형 현대 공간 디자인의 원리에 관한 연구
서비스 청사진을 통한 대학로 소극장 서비스 프로세스 및소비자 만족도 개선 방안 연구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17 | 평가예정 | 신규평가 신청대상 (신규평가) | |
2016-12-01 | 평가 | 등재후보 탈락 (계속평가) | |
2015-12-01 | 평가 | 등재후보로 하락 (기타) | ![]() |
2012-08-30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저널 [디자인지식저널] -> 디자인지식저널외국어명 : Korea Design Knowledge Journal -> Journal of Korea Design Knowledge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10-11-0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 -> 한국디자인지식학회영문명 : Korea Design Knowledge & Industrial Forum -> Korea Design Knowledge Society | ![]() |
2010-11-08 | 학술지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학술지 [디자인지식논총] -> 한국디자인지식저널 [디자인지식저널] | ![]() |
2010-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9-09-09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한국디자인지식포럼 -> 한국디자인지식산업포럼영문명 : Korea Design Knowledge Forum -> Korea Design Knowledge & Industrial Forum | ![]() |
2009-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 | ![]() |
2008-04-18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아시아퍼시픽디자인학회 -> 한국디자인지식포럼영문명 : Asia Pacific Society of Design -> Korea Design Knowledge Forum | ![]() |
2007-01-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