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직무소진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 Dual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and Depression on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uicidal Ideation of Correctional Offic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615109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시설에서 근무 중인 교정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감정노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때 직무소진과 우울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해 보는 데 ...

      본 연구의 목적은 교정시설에서 근무 중인 교정공무원들을 대상으로 이들의 감정노동이 자살생각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알아보고 이때 직무소진과 우울의 매개효과에 대해 검증해 보는 데 있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교정공무원의 자살생각을 완화하고 보다 건강한 공무원으로서의 직업 생활을 영위할 수 있도록 돕는 방안에 대해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본 연구에서는 서울 및 경기 지역에 소재한 6개 교정기관에서 근무하고 있는 교정공무원 276명을 대상으로 감정노동 척도, 자살생각 척도, 직무소진 척도(MBI-GS), 우울 척도(BDI)를 이용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상관관계분석, 직무소진과 우울의 개별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위계적 회귀분석을 실시하였고, 다음으로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Macro Model 6으로 분석하고, 개별매개효과 및 이중매개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은 모두 Bootstrapping을 통해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 및 그에 따른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 직무소진, 그리고 우울은 모두 자살생각과 정적으로 유의한 상관이 있는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감정노동을 많이 할수록, 직무소진을 더 많이 경험할수록, 그리고 우울할수록 교정공무원들은 자살생각을 더 많이 하는 경향이 있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교정공무원의 자살생각을 감경시키기 위해서는 교정공무원의 직장 내 감정노동의 강도와 직무소진의 경험, 그리고 우울 수준을 낮추는 방안에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직무소진은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변인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직무소진은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한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는 최근 교정공무원의 자살이 증가하고 있으며, 그 원인으로 직무 스트레스나 업무 부담감 등이 매우 중요한 요인으로 언급되고 있는 가운데, 교정공무원의 정신건강을 안정적으로 유지하기 위해서는 교정공무원의 직무소진을 감경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되어야 할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우울은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유의한 매개변인임이 확인되었다. 즉 우울 역시 자살생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도 하지만,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매개 역할을 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러한 결과는 자살과 관련한 영향 요인에 대한 논의에서 가장 강력한 요인으로 언급되는 개인의 정서적 상태인 우울이 교정공무원들의 자살생각에 유의한 영향력을 가진 변인임을 확인시켜 주었으며, 이를 기반으로 감정노동의 강도가 높은 교정공무원의 업무 특성상 자살에 대한 생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우울을 개인의 문제가 아닌 교정조직 차원에서 우선적으로 경감시켜줄 필요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넷째, 직무소진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를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검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으로 확인되었다. 또 우울의 영향력은 정적으로 유의했지만 직무소진의 영향력은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는데, 이는 교정공무원의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직무소진과 우울이 공존하는 경우, 직무소진보다는 우울이 더 큰 영향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교정공무원이 감정노동으로 인해 자살생각을 하게 될 때, 직무소진과 우울을 경감시키는 것이 반드시 고려되어야 하며, 이때 상대적으로 우울을 경감시키는 개입이 우선적으로 필요하다.
      이러한 연구결과와 그에 따른 시사점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는 향후 교정공무원의 자살생각에 영향을 미치는 심리적이고 정서적인 변인 외에 자살생각을 저지할 수 있는 교정공무원 정신건강 주치의 제도, 전담 상담센터 운영, EAP(Employee Assistance Program) 등에 대한 논의를 보다 확장 시킬 필요가 있음을 제언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the suicidal ideation of correctional officers at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tests the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and depres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explored ways to mitigate...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emotional labor on the suicidal ideation of correctional officers at correctional institutions and tests the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and depression. Based on the findings, the study explored ways to mitigate their suicidal ideation and help them lead a healthier occupational life as civil servants.
      To this end, the investigator conducted a survey with 276 correctional officers at six correctional institutions in Seoul and Gyeonggi Province with emotional labor inventory, a scale of suicidal ideation, Maslach Burnout Inventory-General Survey, and Beck Depression Inventory. Collected data was put into the SPSS 26.0 program for descriptive statistics and correlation analysis. Hierarchical regression analysis followed to test the individual mediating effects of burnout and depression, whose dual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with Macro Model 6. Both individual and dual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with bootstrapping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The main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are as follows:
      First, the emotional labor, burnout, and depression of correctional officers all had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with suicidal ideation, which means that the more emotional labor and experiences with burnout, the more depression tended to result in more suicidal ideation. These findings confirm the need to take interest in plans to lower the intensity of emotional labor, experiences with burnout, and depression levels of correctional officers at the workplace to relieve their suicidal ideation.
      Secondly, burnout was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uicidal ideation. That is, burnout had direct impacts on suicidal ideation and also played mediating role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uicidal ideation. These findings show a need for plans to mitigate the burnout of correctional officers to keep their mental health at a stable level as job stress and work burdens are mentioned as critical factors in the rising number of suicide cases among them in recent years.
      Thirdly, depression was also a significant mediating variable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uicidal ideation. That is, depression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uicidal ideation while having direct effects on suicidal ideation. These findings confirm that depression, which is a personal emotional state often mentioned as the most powerful factor in discussions about the influential factors of suicide, has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suicidal ideation of correctional officers. Based on these findings,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ir depression first at the organizational level of correctional institutions rather than the personal level to prevent their suicidal ideation despite the high intensity of emotional labor in the line of their work.
      Finally, burnout and depression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dual mediating effects on relations between emotional labor and suicidal ideation. While depression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between them, burnout had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between them, which suggests that depression has greater influences than burnout when they are introduced simultaneously in relationship between the emotional labor and suicidal ideation of correctional officers. Thus, it is needed to take into account the mitigation of burnout and depression and prioritize depression over burnout when correctional officers have suicidal ideation due to emotional labor.
      Based on these findings and their implications, this study proposed to further expand discussions about a family doctor system for the mental health of correctional officers, the management of a devoted counseling center, and Employee Assistance Programs (EAP) to deter them from having suicidal ideation in addition to psychological and emotional variables that can have impacts on their suicidal ideation.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7
      • Ⅱ. 이론적 배경
      • Ⅰ. 서론
      •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 2. 연구문제 7
      • Ⅱ. 이론적 배경
      • 1. 교정공무원 8
      • 2. 감정노동 15
      • 3. 직무소진 20
      • 4. 우울 24
      • 5. 자살생각 29
      • 6. 선행연구 고찰 37
      • Ⅲ. 연구방법
      • 1. 연구모형 및 연구가설 44
      • 2. 연구대상 및 선정방법 45
      • 3. 측정도구 구성 48
      • 4. 자료분석방법 52
      • Ⅳ. 연구결과
      • 1. 기술통계 53
      • 2. 주요 변인 간 관계 55
      • 3.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직무소진의 매개효과 58
      • 4.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우울의 매개효과 59
      • 5. 감정노동과 자살생각의 관계에서 직무소진과 우울의 이중매개효과 60
      • Ⅴ. 논의 및 결론
      • 1. 연구의 요약 및 논의 62
      • 2. 연구의 한계점 및 제언 67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