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기본조사-서해 남부 해역"
2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기본조사-남해 동부 해역"
3 승영호, "한반도 주변의 수괴와 해수순환" 27 : 324-331, 1992
4 이재성, "한국남부 연안의 영양상태 평가와 저층 경계면의 중요성" 한국해양학회 9 (9): 179-195, 2004
5 임동일, "한국 연안역 수질성분들(COD, DIN, DIP, Chlorophyll-a)의 해역별 농도 특성과 등급화: 통계적 접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3 (33): 13-20, 2011
6 임동일, "한국 서해 경기만 연안역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과 조절 요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9 (29): 135-153, 2007
7 김철호, "한국 동해안에 출현하는 냉수괴의 특성과 기원" 18 : 73-83, 1983
8 최용규, "한국 남해의 갈수기와 풍수기에 따른 해양 환경 특성" 한국환경과학회 16 (16): 459-466, 2007
9 김동수, "한국 남해 중부 연안 어장에서의 수괴의 계절변화" 36 : 105-116, 2000
10 강영실, "한국 남해 연안전선의 생물-화학적 특성 및 영양학 구조" 32 : 22-29, 1999
1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기본조사-서해 남부 해역"
2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기본조사-남해 동부 해역"
3 승영호, "한반도 주변의 수괴와 해수순환" 27 : 324-331, 1992
4 이재성, "한국남부 연안의 영양상태 평가와 저층 경계면의 중요성" 한국해양학회 9 (9): 179-195, 2004
5 임동일, "한국 연안역 수질성분들(COD, DIN, DIP, Chlorophyll-a)의 해역별 농도 특성과 등급화: 통계적 접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3 (33): 13-20, 2011
6 임동일, "한국 서해 경기만 연안역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과 조절 요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9 (29): 135-153, 2007
7 김철호, "한국 동해안에 출현하는 냉수괴의 특성과 기원" 18 : 73-83, 1983
8 최용규, "한국 남해의 갈수기와 풍수기에 따른 해양 환경 특성" 한국환경과학회 16 (16): 459-466, 2007
9 김동수, "한국 남해 중부 연안 어장에서의 수괴의 계절변화" 36 : 105-116, 2000
10 강영실, "한국 남해 연안전선의 생물-화학적 특성 및 영양학 구조" 32 : 22-29, 1999
11 임동일, "한국 남해 연안역에서 여름 홍수기에 형성된 연안 염하구 환경의 물리-화학적 특성" 한국해양학회 8 (8): 9-163, 2003
12 임동일, "한국 남해 마산만에서 수질환경의 계절적 변동과 기초생산 제한인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9 (29): 349-366, 2007
13 최현용,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 하계 해황 및 적조 소멸과의 관계" 6 : 49-62, 2001
14 서영상, "하계 동해 연안역에서 발생하는 냉수역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 34 : 435-444, 2001
15 이진환, "통영 바다목장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군집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7 (27): 15-24, 2005
16 장승민, "제주도 기온과 주변해역 해수면 온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9 (9): 55-62, 2006
17 양재삼,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물리-화학적인 특성" 5 : 16-26, 2000
18 정해진,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2: 1997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5 : 27-36, 2000
19 이동섭, "여름과 겨울철 남해의 영양염 분포 특성" 4 : 371-382, 1999
20 권기영,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따른 영양염의 거동" 34 : 199-206, 2001
21 강미란, "서해 함평만에서 조위변화에 따른 영양염 변동"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2 (12): 202-208, 2009
22 이찬원, "남해연안 패류양식장의 부영양화 특성" 3 : 24-33, 2000
23 한국해양연구원, "남해 특별관리해역 생태계 건강지수개발" 한국해양연구원 395-, 2012
24 윤양호, "남해 중부해역 표층퇴적물 유기물의 시공간 분포특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9 (9): 203-215, 2006
25 김영택, "남해 연안수의 수온상승과 수온전선후퇴와의 상관성" 120-122, 2010
26 조은섭, "남서해역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환경과학회 14 (14): 177-184, 2005
27 "기상청"
28 김정배, "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특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9 (9): 216-224, 2006
29 Kim BK., "The study of the oceanographic conditions and fishing grounds of purse-seine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30 : 7-29, 1982
30 Brzezinski M. A., "The Si:C:N ratio of marine diatoms: interspecific variability and the effect of some environmental variables" 21 : 347-357, 1985
31 Cho KD, "Structure of shelf front and distribution of planktons in the eastern part of the Yellow Sea" 16 : 316-329, 1983
32 Yin K, "Shift from P to N limitation of phytoplankton growth across the Pearl River estuarine plume during summer" 221 : 17-28, 2001
33 양한섭, "Ra 동위체로 본 하계동해 남부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10℃ 이하 냉수괴의 기원" 27 : 404-412, 1994
34 Kiorboe T, "Plankton dynamics and larval herring growth, drift and survival in a frontal area" 44 : 205-219, 1988
35 Pearsall WH., "Phytoplankton in English lakes. I. The proportions in the waters of some dissolved substances" 20 : 241-262, 1930
36 Tilman D, "Phytoplankton community ecology: the role of limiting nutrients" 13 : 349-372, 1982
37 Harrison PJ, "Phosphate limitation in estuarine and coastal waters of China" 140 : 79-87, 1990
38 Twomey L,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seasonally open bar-built estuary: Wilson Inlet, Western Australia" 37 : 16-29, 2001
39 Hecky RE,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freshwater and marine environments: a review of recent evidence on the effect of enrichment" 33 : 796-822, 1998
40 Fisher TR,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Chesapeake Bay" 82 : 51-63, 1992
41 Howarth RW, "Nitrogen fixation in freshwater, estuarine, and marine ecosystem. 2. Biogeochemical controls" 33 : 688-701, 1988
42 U. S. EPA, "National Estuary Program Coastal Condition Report"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445-, 2006
43 Floodgate GD, "Microbiological and zooplankton activity at a front in Liverpool Bay" 290 : 133-136, 1981
44 Kim WH, "Microbiogenic sediments in the Nagdong Estuary, Korea" 15 : 34-48, 1980
45 Diaz RJ, "Marine benthic hypoxia: A review of its ecological effects and gehavioral responseds of benthic macrofauna" 33 : 245-303, 1995
46 Lee YS, "Limiting nutrient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Hiroshima Bay Japan" 30 : 1490-1494, 1996
47 Wong GTF, "Excess nitrate in the East China Sea" 46 : 411-418, 1998
48 Park SC, "Evolution of late Quaternary deposits on the inner shelf of the South Sea of Korea" 10 : 145-149, 1996
49 Hashimoto T, "Effect of nutrient limitation on abundance and growth of phytoplankton in a Japanese Pearl farm" 258 : 43-50, 2003
50 Humborg C, "Effect of Danube River dan on Black Sea biogeochemistry and ecosystem structure" 386 : 385-388, 1997
51 Nakata K, "Differences in food availability for Japanese sardine larvae between the frontal region and waters on the offshore side of Kuroshio" 4 (4): 68-79, 1995
52 이영식,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기작과 대책 1.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소멸의 환경특성." 6 : 259-264, 2001
53 Yang HS,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variation of the water quality in the lower Keum River" 23 : 225-237, 1990
54 Gong Y., "A study on the south Korea coastal front" 6 : 25-36, 1971
55 승영호, "8월의 한국 동안에서의 수온분포에 관한 역학적 고찰" 9 : 52-58, 1974
56 임월애, "2008년 남해동부해역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 특성" 한국해양학회 14 (14): 155-162, 20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