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한국 남해 동부 연안 해역에서 홍수기와 갈수기 동안 수질환경 특성과 변동 = Variations and Characters of Water Quality during Flood and Dry Seasons in the Eastern Coast of South Sea,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9972581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남해 동부해역에서 해수는 계절에 따라 서로 다른 수질환경 특성의 수괴들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홍수기인 여름철 표층수는 북한한류 기원의 동해 냉수괴 특성의 수괴-A (East Sea...

      남해 동부해역에서 해수는 계절에 따라 서로 다른 수질환경 특성의 수괴들에 의해 조절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홍수기인 여름철 표층수는 북한한류 기원의 동해 냉수괴 특성의 수괴-A (East Sea Cold Water), 담수의 영향이 강한 연안성 수괴-B (river-dominated coastal water), 연안 염하구성 수괴-C (coastal pseudo-estuarine water)로 구분된다. 특징적으로 높은 영양염과 엽록소 농도를 갖는 저염의 염하구성 수괴-B는 홍수기인 여름철에 해안선에서 수 십 km 떨어진 해역까지 짧은 기간 일시적으로 형성되며, 집중호우 등 몬순(monsoon)기후 특성을 갖는 우리나라 연안역에서 육지-해양간 물질 순환에 상당한 역할을 할 것으로 사료된다. 여름철 저층수는 저온-고염의 냉수인 저층 냉수괴-D(bottom cold water)가 지배적이며, 표층수의 수괴들과 비교하여 전체적으로 수온, pH, 용존 산소량은 낮은 반면, 높은 영양염 농도 특성을 갖는다. 여름철 저층 냉수괴의 높은 영양염 농도는 강한 성층과 낮은 수온으로 인하여 식물플랑크톤 번식이 제한되어 보존-축적된 결과로, 갈수기인 겨울철 영양염의 주요 공급원으로 작용한다. 갈수기인 겨울철 연구해역의 해수환경은 여름철과 다르게 대마난류수 (수괴-E)가 광범위하게 분포하며, 해안선을 따라 연안역의 좁은 범위에 대마난류수가 약간 변질된 연안성 수괴-F가 분포한다. 특히 광양만, 마산만 등의 반폐쇄성 지형의 여러 만(bay)들에 위치하는 연안성 수괴-F에서는 갈수기인 겨울철에도 낮은 수심과 느린 유속 등에 의해 기초생산력이 높으며, 이로 인한 겨울철 영양염 고갈(depletion) 현상이 뚜렷하게 나타난다. 또한 남해 연안성 수괴와 대마난류 수괴사이에 연안전선이 발달하며, 이러한 전선은 직간접적으로 남해의 기초생산력을 조절하는 중요 환경요소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결론적으로 연구해역은 계절적으로 다른특성의 수괴의 수괴가 복합적으로 분포하며, 여름철의 수질환경과 일차 생태계는 크게 연안 염하구성 수괴와 저층의 냉수괴 발달 정도에 따라 변화할 것으로 예상되며, 겨울철에는 외양에서 유입되는 대마난류 수괴의 특성에 따라 지배될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용존무기인이 잠재적 제한영양염으로 작용하는 서해 연안역과 달리 남해 연안역은 대부분 용존무기질소가 잠재적 제한영양염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러한 제한영양염의 차이는 서해와 남해 연안역이 서로 다른 환경과 다른 생태계 구조를 갖고 있음을 지시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Physiochemical characters of sea waters during summer flood- and winter dry-seasons and their spatial variations were investigated along the coastal area off the eastern South Sea, Korea. Using the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in this study, we pre...

      Physiochemical characters of sea waters during summer flood- and winter dry-seasons and their spatial variations were investigated along the coastal area off the eastern South Sea, Korea. Using the hierarchical clustering method, in this study, we present comprehensive analyses of coastal waters masses and their seasonal variations. The results revealed that the coastal water of the study area was classified into six water masses (A to F). During summer season, the surface water was mainly occupied by the coastal pseudo-estuarine water (water mass B) with low salinity and high nutrients and the river-dominated coastal water (water mass C) with low nutrients, respectively. The bottom water was dominated by cold water (water mass D) with very low temperature, high salinity and high nutrients, compared to masses of surface water. Notably, the water mass B, with high concentrations of nutrients (silicate and nitrogen) and low salinity, which is strongly controlled by the water quality of river freshwater, seems to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rolling the water quality and further regulating physical processes on ecosystem in the eastern coastal area of South Sea. The water mass D (bottom cold water) coupled with a strong thermocline, which exists in near-bottom layer along the western margin of Korea Strait, has a low temperature, pH and DO, but abundant nutrients. This water mass disappears in winter owing to strong vertical mixing, and subsequently may act as a pool for nutrients during winter dry-season. On the other hand, vertically well-mixed water column during the winter season was typically occupied by the Tsushima (water mass E) and the coastal water (water mass F) with a development of coastal front formed in a transition zone between them. These winter water masses were characterized by low nutrient concentration and balance in N/P ratio, compared with summer season with high nutrient concentrations and strong N-limitation. Accordingly, the analysis of water masses will help one to better chemical and biological processes in coastal area. In most of the study area, characteristically, the growth of phytoplankton community is limited by nitrogen, which is clearly different with coastal environment of West Sea of Korea, with a relative lack of phosphorus. It showed the western and the southern coasts in Korea are substantially different from each other in environmental and ecological characteristics.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기본조사-서해 남부 해역"

      2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기본조사-남해 동부 해역"

      3 승영호, "한반도 주변의 수괴와 해수순환" 27 : 324-331, 1992

      4 이재성, "한국남부 연안의 영양상태 평가와 저층 경계면의 중요성" 한국해양학회 9 (9): 179-195, 2004

      5 임동일, "한국 연안역 수질성분들(COD, DIN, DIP, Chlorophyll-a)의 해역별 농도 특성과 등급화: 통계적 접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3 (33): 13-20, 2011

      6 임동일, "한국 서해 경기만 연안역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과 조절 요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9 (29): 135-153, 2007

      7 김철호, "한국 동해안에 출현하는 냉수괴의 특성과 기원" 18 : 73-83, 1983

      8 최용규, "한국 남해의 갈수기와 풍수기에 따른 해양 환경 특성" 한국환경과학회 16 (16): 459-466, 2007

      9 김동수, "한국 남해 중부 연안 어장에서의 수괴의 계절변화" 36 : 105-116, 2000

      10 강영실, "한국 남해 연안전선의 생물-화학적 특성 및 영양학 구조" 32 : 22-29, 1999

      1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기본조사-서해 남부 해역"

      2 국토해양부, "해양생태계기본조사-남해 동부 해역"

      3 승영호, "한반도 주변의 수괴와 해수순환" 27 : 324-331, 1992

      4 이재성, "한국남부 연안의 영양상태 평가와 저층 경계면의 중요성" 한국해양학회 9 (9): 179-195, 2004

      5 임동일, "한국 연안역 수질성분들(COD, DIN, DIP, Chlorophyll-a)의 해역별 농도 특성과 등급화: 통계적 접근" 한국해양과학기술원 33 (33): 13-20, 2011

      6 임동일, "한국 서해 경기만 연안역에서 수질환경의 시.공간적 변화 특성과 조절 요인"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9 (29): 135-153, 2007

      7 김철호, "한국 동해안에 출현하는 냉수괴의 특성과 기원" 18 : 73-83, 1983

      8 최용규, "한국 남해의 갈수기와 풍수기에 따른 해양 환경 특성" 한국환경과학회 16 (16): 459-466, 2007

      9 김동수, "한국 남해 중부 연안 어장에서의 수괴의 계절변화" 36 : 105-116, 2000

      10 강영실, "한국 남해 연안전선의 생물-화학적 특성 및 영양학 구조" 32 : 22-29, 1999

      11 임동일, "한국 남해 연안역에서 여름 홍수기에 형성된 연안 염하구 환경의 물리-화학적 특성" 한국해양학회 8 (8): 9-163, 2003

      12 임동일, "한국 남해 마산만에서 수질환경의 계절적 변동과 기초생산 제한인자"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9 (29): 349-366, 2007

      13 최현용, "한국 남해 나로도와 소리도 사이 해역의 1998년 하계 해황 및 적조 소멸과의 관계" 6 : 49-62, 2001

      14 서영상, "하계 동해 연안역에서 발생하는 냉수역의 시공간적 변동 특성" 34 : 435-444, 2001

      15 이진환, "통영 바다목장 해역에서 식물플랑크톤군집에 미치는 환경요인의 영향" 한국해양과학기술원 27 (27): 15-24, 2005

      16 장승민, "제주도 기온과 주변해역 해수면 온도와의 상관관계에 관한 연구"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9 (9): 55-62, 2006

      17 양재삼,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물리-화학적인 특성" 5 : 16-26, 2000

      18 정해진, "전남 고흥 해역의 유해성 적조의 발생연구 2: 1997년도 식물플랑크톤의 시공간적 변화" 5 : 27-36, 2000

      19 이동섭, "여름과 겨울철 남해의 영양염 분포 특성" 4 : 371-382, 1999

      20 권기영, "섬진강 하구역에서 염분경사에따른 영양염의 거동" 34 : 199-206, 2001

      21 강미란, "서해 함평만에서 조위변화에 따른 영양염 변동"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12 (12): 202-208, 2009

      22 이찬원, "남해연안 패류양식장의 부영양화 특성" 3 : 24-33, 2000

      23 한국해양연구원, "남해 특별관리해역 생태계 건강지수개발" 한국해양연구원 395-, 2012

      24 윤양호, "남해 중부해역 표층퇴적물 유기물의 시공간 분포특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9 (9): 203-215, 2006

      25 김영택, "남해 연안수의 수온상승과 수온전선후퇴와의 상관성" 120-122, 2010

      26 조은섭, "남서해역의 유해성 적조생물 Cochlodinium polykrikoides Margalef 모니터링을 위한 환경특성과 식물플랑크톤 군집 동태" 한국환경과학회 14 (14): 177-184, 2005

      27 "기상청"

      28 김정배, "가막만 빈산소 수괴의 특성" 한국해양환경·에너지학회 9 (9): 216-224, 2006

      29 Kim BK., "The study of the oceanographic conditions and fishing grounds of purse-seine in the southern sea of Korea" 30 : 7-29, 1982

      30 Brzezinski M. A., "The Si:C:N ratio of marine diatoms: interspecific variability and the effect of some environmental variables" 21 : 347-357, 1985

      31 Cho KD, "Structure of shelf front and distribution of planktons in the eastern part of the Yellow Sea" 16 : 316-329, 1983

      32 Yin K, "Shift from P to N limitation of phytoplankton growth across the Pearl River estuarine plume during summer" 221 : 17-28, 2001

      33 양한섭, "Ra 동위체로 본 하계동해 남부 연안해역에 출현하는 10℃ 이하 냉수괴의 기원" 27 : 404-412, 1994

      34 Kiorboe T, "Plankton dynamics and larval herring growth, drift and survival in a frontal area" 44 : 205-219, 1988

      35 Pearsall WH., "Phytoplankton in English lakes. I. The proportions in the waters of some dissolved substances" 20 : 241-262, 1930

      36 Tilman D, "Phytoplankton community ecology: the role of limiting nutrients" 13 : 349-372, 1982

      37 Harrison PJ, "Phosphate limitation in estuarine and coastal waters of China" 140 : 79-87, 1990

      38 Twomey L,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seasonally open bar-built estuary: Wilson Inlet, Western Australia" 37 : 16-29, 2001

      39 Hecky RE,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freshwater and marine environments: a review of recent evidence on the effect of enrichment" 33 : 796-822, 1998

      40 Fisher TR, "Nutrient limitation of phytoplankton in Chesapeake Bay" 82 : 51-63, 1992

      41 Howarth RW, "Nitrogen fixation in freshwater, estuarine, and marine ecosystem. 2. Biogeochemical controls" 33 : 688-701, 1988

      42 U. S. EPA, "National Estuary Program Coastal Condition Report" Environmental Protection Agency 445-, 2006

      43 Floodgate GD, "Microbiological and zooplankton activity at a front in Liverpool Bay" 290 : 133-136, 1981

      44 Kim WH, "Microbiogenic sediments in the Nagdong Estuary, Korea" 15 : 34-48, 1980

      45 Diaz RJ, "Marine benthic hypoxia: A review of its ecological effects and gehavioral responseds of benthic macrofauna" 33 : 245-303, 1995

      46 Lee YS, "Limiting nutrients of phytoplankton community in Hiroshima Bay Japan" 30 : 1490-1494, 1996

      47 Wong GTF, "Excess nitrate in the East China Sea" 46 : 411-418, 1998

      48 Park SC, "Evolution of late Quaternary deposits on the inner shelf of the South Sea of Korea" 10 : 145-149, 1996

      49 Hashimoto T, "Effect of nutrient limitation on abundance and growth of phytoplankton in a Japanese Pearl farm" 258 : 43-50, 2003

      50 Humborg C, "Effect of Danube River dan on Black Sea biogeochemistry and ecosystem structure" 386 : 385-388, 1997

      51 Nakata K, "Differences in food availability for Japanese sardine larvae between the frontal region and waters on the offshore side of Kuroshio" 4 (4): 68-79, 1995

      52 이영식,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 발생기작과 대책 1.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과 소멸의 환경특성." 6 : 259-264, 2001

      53 Yang HS, "Characteristics of spatio-temporal variation of the water quality in the lower Keum River" 23 : 225-237, 1990

      54 Gong Y., "A study on the south Korea coastal front" 6 : 25-36, 1971

      55 승영호, "8월의 한국 동안에서의 수온분포에 관한 역학적 고찰" 9 : 52-58, 1974

      56 임월애, "2008년 남해동부해역의 Cochlodinium polykrikoides 적조발생 특성" 한국해양학회 14 (14): 155-162, 2009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5 0.603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