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저서동물에 의한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파악 = The Summer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s Assessed by the Functional Groups of Macrobenthic Fauna in Gwangyang Bay, Southern Coast of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4013308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2001년 6월 광양만의 38개 조사정점에서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54종이었고 다모류가 출현종수와 ...

      여름철 광양만의 저서환경 상태를 파악하기 위해서 2001년 6월 광양만의 38개 조사정점에서 대형저서동물의 분포를 조사하였다. 출현한 대형저서동물은 총 154종이었고 다모류가 출현종수와 개체수에서 가장 우점한 동물분류군이었다. 다모류의 Tharyx sp. (44.8%), Lumbrineris longifolia(14.0%), 이매패류의 Mytilus edulis (6.5%), 단각류의 Corophium sineses(4.5%), 다모류의 Heteromastus filiformis(3.6%), Sigambra tentaculata(1.7%) 등이 주요 우점종이었다. 광양만의 묘도 서쪽에 위치한 정점들에서 종수와 개체수가 적었고, 광양만의 주수로역에서 풍부한 생물상을 보였다. 저서오염지수(BPI)와 생물계수(BC)에 의한 저서군집의 건강도지수에서는 주수로역의 일부 정점을 제외한 전 정점이 현재 정상상태 또는 약간 오염된 상태에 있었고, 광양만 입구지역에서는 유기오염물에 잘 적응한 다모류의 대량 출현이 있어서 유기물 오염의 징후로 보여 향후 지속적인 감시가 필요한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spatial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benthic fauna was investigated to assess the snmmer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s in Gwangyang Bay, the south-cm coast of Korea. The macrobenthic faunal community from 38 sites in Gwangyang Bay comprised...

      The spatial distributional pattern of macrobenthic fauna was investigated to assess the snmmer benthic environmental conditions in Gwangyang Bay, the south-cm coast of Korea. The macrobenthic faunal community from 38 sites in Gwangyang Bay comprised 154 species and showed an overall mean density of 1.286 individuals m^(-2). Polychactes were the most important component of the macrofaunal community in species richness, abundance and biomass. The dominant species in abundance were polychaetes like Tharyx sp. (44.8%), Lumbrineris longifolia (14.0%), Heteromastus fili-formis (3.6%), a mussel Mytilus edulis, and an amphipod crustacean Corophium sinense. The abundance and biomass in the western part of the bay were lower than those in the channel regions and mouth of the bay. The community indices showed the same trend in the spatial distribution with the abundance and species richness. All mac-robentbic faunas were assigned into a specific functional group according to their ecological responses to the environmental stress. The benthic community health based on the Benthic Pollution Index (BPI) or Biotic Coefficient (BC) seemed to be in the normal to unbalanced or transitional condition, indicated by the dominance of small polychaete worms like Thuryx sp. in the mouth part of the bay.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5-12-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1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FAIL (기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탈락 (기타)
      2008-07-01 평가 등재후보로 하락(현장점검) (기타)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4 0.4 0.4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41 0.35 0.603 0.04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