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후보

      중학생의 자기주도 프로젝트 수행 경험 분석 = Analysis of Middle School Students’ Self-directed Project Implementation Experience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867830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자기주도 프로젝트가 학생들의 자기주도성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를 수행하는 학생들의 경험을 생생하게 밝힌 선행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에 이 연구는 자기...

      자기주도 프로젝트가 학생들의 자기주도성을 높이는 데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이를 수행하는 학생들의 경험을 생생하게 밝힌 선행연구는 아직 부족하다. 이에 이 연구는 자기주도 프로젝트를 수행한 중학생들을 대상으로 혼합연구 방법으로 자기주도 학습력의 변화와 함께, 학생들의 프로젝트 수행 경험 및 인식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자유학기제와 동아리 활동을 통해 자기주도 프로젝트를 수행한 B중학교 1~3학년 112명으로부터 두 번에 걸쳐 수집한 자료를 대응표본 t 검증방법으로 분석하였고, 이들 중 8명을 선발하여 초점집단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이전에 자기주도 프로젝트를 수행해 본 경험이 있는 2학년만이 자기주도 학습력에서 초인지, 인지 사고, 자기효능감에서 긍정적인 변화를 보고하였다. 또한, 학생들은 처음 이 프로젝트를 접하였을 때는 막막함과 내・외적 갈등을 경험하였으나 프로젝트 수행과정에서 부딪히는 여러 문제에 대해 스스로 해결해가는 방법을 모색하고 필요할 때 최소한의 수준에서 교사의 지원을 요청하는 등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학습자의 모습을 나타내었다. 이 연구 결과는 시행착오를 겪더라도 학생들이 나름의 방법을 찾을 수 있는 자기주도 학습 기회가 학교에서 충분히 주어진다면 이들의 자기주도성을 높이는 데 도움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lthough self-directed projects are known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ere is still a lack of previous studies that vividly reveal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ho perform them.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

      Although self-directed projects are known to be effective in increasing students’ self-directed learning, there is still a lack of previous studies that vividly reveal the experiences of students who perform them. The study aimed to investigate the changes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rough self-directed projects in middle school students and examine the experience of implementing these projects. To investigate the change in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the data was collected twice from 112 students in grades 1 to 3 of B middle school and analyzed using the paired-samples t -test. The students carried out self-directed projects through the free semester system and club activities. Eight of them were then selected, and focus group
      interviews were conducted to gain an in-depth understanding of their experiences with self-directed project implementation. As a result, only second-graders who had previously carried out self-directed projects reported positive changes in meta-cognition, cognitive thinking, and self-efficacy in self-directed learning. The students reported experiencing a sense of confusion first and internal and external conflicts during the project’s execution. However, they learned how to solve problems on their own and, when necessary, sought minimal support from teachers, demonstrating their active and proactive approach to learning. Based on these results, we suggest that self-directed learning ability can change when students are given enough time to explore their own approaches through trial and error in school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 Ⅱ. 연구 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