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연구논문 : 사회과 태도변화 연구결과에 대한 의문 -스테레오타입에서 오는 편견의 사례를 중심으로- = A Question on the Research Findings of Attitude Change in Social Studies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사회과에서 태도변화를 양적으로 접근한 연구들에서 연구자들이 의도한 태도변화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의문을 갖고 출발하였다. 태도변화가 일어나기 어렵다는 인지심...

      이 연구는 사회과에서 태도변화를 양적으로 접근한 연구들에서 연구자들이 의도한 태도변화가 많이 일어나고 있는 현상에 의문을 갖고 출발하였다. 태도변화가 일어나기 어렵다는 인지심리분야에서의 입장과 상반되기 때문이다. 이에 본 연구는 두 분야가 서로 상치되는 결론을 내린 이유를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 연구는 먼저 사회과 태도영역에서 주요한 위치를 차지하는 `스테레오타입에 기반한 편견`을 예로 하여, 태도의 변화가능성을 살펴보았다. 인지심리분야에서는 인간의 인지구조와 사회적 맥락을 들어, 스테레오타입이나 편견이 변화하기 어렵다는 결론을 내리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사회과 연구에서 태도변화가설이 채택되는 사례가 많은 까닭을 태도에 대한 개념적 차원과 이를 재려는 조사도구에서 찾았다. 사회과에서는 태도변화조사를 위해 외현적 태도를 측정하고 있다. 변화하기 어려운 내재적 태도영역은 조사의 범주를 넘어서고 있는 것이다. 결국 사회과에서는 자동적 태도는 다루지 않고 있다. 사회과의 태도개념은 `통제적 태도`에 한정되어 있는 것이다. 이 연구는 이것의 의미가 무엇인지 검토하고, 사회과에서의 태도변화연구가 나아갈 방향을 생각해 보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most hypotheses about attitude change tend to be accepted in the research area of social studies. These findings are inconsistent to theories of attitude change in the cognitive psychology. Cognitive psychologists a...

      This study focuses on the fact that most hypotheses about attitude change tend to be accepted in the research area of social studies. These findings are inconsistent to theories of attitude change in the cognitive psychology. Cognitive psychologists argue that attitude change is not easy because of human cognitive structure and social context which reinforces the existing attitude. This study thinks main reason why attitude change is easy in the researches of social studies is the measurements. The social studies researchers tend to use self-report questionnaires for attitude change. These are for measuring not implicit but explicit attitudes. Explicit test measures only what people verbally state. It cannot measure what people willingly hide nor what people have beyond their conscious level. This study argues many students tend to answer what the educational program of social studies teaches in the explicit tests. This is because students begin to learn what is socially desirable through the program. Therefore the number of students who show desirable attitude change tend to be overrepresented. Besides, explicate attitude is not automatic but controlled attitude. This study discusses what these mean in the research of social studies.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