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아산 명암리 밖지므레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화학적 특성 = Chemical Characteristic of Glass Beads Excavated from Bakjimeure Site in Asan, Kore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60240004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아산 밖지므레 유적 마한 분묘에서 출토된 유리 65점은 포타쉬유리군이 13점, 소다유리군이 52점으로 소다유리 군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색상별로 세분하면, 감청색 유리는 포타쉬유리군과 ...

      아산 밖지므레 유적 마한 분묘에서 출토된 유리 65점은 포타쉬유리군이 13점, 소다유리군이 52점으로 소다유리 군이 우세하게 나타났다. 색상별로 세분하면, 감청색 유리는 포타쉬유리군과 소다유리군이 공반되는 반면 자색 유리 는 포타쉬유리군이고 적색, 벽색, 녹색, 금박유리는 소다유리군으로 나타났다. 감청색 유리는 안정제의 함량이 낮은 LCA계이고 이중에 소다유리는 MgO와 K2O 함량이 낮은 LMK형으로 천연탄산소다가 원료로 사용된 것으로 판단된 다. 적색 유리는 균질한 유리가 LCA-B계/HMK형이고 불균질한 유리가 HCLA계/LMK형으로 각각 해양 식물 재와 천연탄산소다가 사용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벽색과 녹색 유리는 환옥이 LCA-A계/LMHK형이고 연주옥이 LCA-B계 /HMK형으로 형태에 따라 차이를 보인다. 금박구슬은 19.9~22.6K의 순도를 갖는 금박과 HCLA계/LMK형의 소다유 리로 제작되었다. 즉, 아산 밖지므레 유적 유리구슬 대부분은 백제시대 타 유적에서 확인되는 유리 조성과 유사성이 높은 편이나 벽색 및 녹색 연주옥과 일부 적색 환옥은 다른 화학 조성을 보이므로 원료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특성은 고대유리의 교역 체계 이해를 위한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으로 기대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대상
      • 2.1. 유적 개요
      • 초록
      • ABSTRACT
      • 1. 서론
      • 2. 연구 대상
      • 2.1. 유적 개요
      • 2.2. 구슬류의 출토 현황 및 선정 시료
      • 3. 연구 방법
      • 3.1. 조성 분석
      • 3.2. 미세구조
      • 4. 연구 결과
      • 4.1. 감청색 및 자색 유리구슬
      • 4.2. 적색 유리구슬
      • 4.3. 벽색과 녹색 유리구슬
      • 4.4. 금박구슬
      • 5. 결론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이인숙, "한국의 고대유리" 창문 1993

      2 김규호,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3 권영필, "한국고대미술의 중앙아시아와의 접촉, In 실크로드와 한국문화 연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1991

      4 송유나, "충청지역 출토 백제시대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분석 고찰"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6

      5 李仁淑, "지역사회 가정간호의 실행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노인간호 요구에 대한 보건진료원 활용적정성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0

      6 송유나, "전북 완주 갈동 유적 출토유리환의 고고화학 고찰" 22 : 307-312, 2005

      7 김병호, "유리공학" 청문각 10-21, 1997

      8 Rune Persson, "유리공업" 청문각 2000

      9 김규호, "연천 학곡리 적석총 출토 구슬의 과학적 연구 보고서" 연천 학곡리 적석총, 경기문화재단 기전문화재연구원 148-164, 2002

      10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문화재조사팀, "아산 탕정 밖지므레유적Ⅴ" 충남역사문화원 2011

      1 이인숙, "한국의 고대유리" 창문 1993

      2 김규호, "한국에서 출토된 고대유리의 고고화학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01

      3 권영필, "한국고대미술의 중앙아시아와의 접촉, In 실크로드와 한국문화 연구" 유네스코한국위원회 1991

      4 송유나, "충청지역 출토 백제시대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분석 고찰"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6

      5 李仁淑, "지역사회 가정간호의 실행모형 개발을 위한 연구 : 노인간호 요구에 대한 보건진료원 활용적정성을 중심으로" 서울大學校 大學院 1990

      6 송유나, "전북 완주 갈동 유적 출토유리환의 고고화학 고찰" 22 : 307-312, 2005

      7 김병호, "유리공학" 청문각 10-21, 1997

      8 Rune Persson, "유리공업" 청문각 2000

      9 김규호, "연천 학곡리 적석총 출토 구슬의 과학적 연구 보고서" 연천 학곡리 적석총, 경기문화재단 기전문화재연구원 148-164, 2002

      10 충청남도역사문화연구원 문화재조사팀, "아산 탕정 밖지므레유적Ⅴ" 충남역사문화원 2011

      11 김규호, "수청동 출토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분석 고찰, In 오산 수청동유적" 기전문화재연구원 113-128, 2006

      12 권윤미, "서천 늑도와 경상도 출토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분석 및 특성 비교" 공주대학교 대학원 2006

      13 박슬기, "삼국시대 구슬장식에 관한 연구 : 남한출토 유리구슬을 중심으로" 성균관대학교 대학원 2007

      14 김차규, "로마(비잔티움) 유리용기의 신라유입 과정에 대한 해석: 5~6세기 초 비잔티움의 동방 교역정책과 관련하여" 한국서양중세사학회 (24) : 1-28, 2009

      15 김규호, "고창 남산리 유적 출토 유리구슬의 고고화학적 분석, In 고창 남산리유적" 전북문화재연구원 2007

      16 김동윤, "경주 덕천리 분묘군 원삼국시대 유리구슬의 특성 변화" 한국상고사학회 74 (74): 115-131, 2011

      17 이한상, "新羅墳墓 속 西域系文物의 現況과 解析" 한국고대사학회 (45) : 133-159, 2007

      18 Lambert J.B, "Traces of the past" Perseus Publishing 104-127, 1998

      19 Turner, W.E.S, "The composition, weathering characteristics and historical significance of some Assyrian glasses of the eighth of sixth centuries BC from Nimrud" 445-456, 1954

      20 Prero Mirti, "Sasanian glass form Veh Aradasir: new evidences by ICP-MS analysis" 36 : 1061-1069, 2009

      21 Shortland A.J, "Raw materials of glass from Amarna and implications for the origins of Egyptian glass" 42 (42): 141-151, 2000

      22 Karl Hans Wedepohl, "Data on 61 Chemical Elements for the Characterization of Three Major Glass Compositions in Late Antiquity and the Middle Late ages" 53 : 81-102, 2011

      23 Roy Newton, "Conservation of Glass" Butterworths 135-158, 198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52 0.52 0.4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5 0.47 0.455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