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 평가 = The Evaluation of on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Hyperspectral Imager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247572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토지와 물이 포함된 지역에서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CASI-1500 항공 초분광 영상을 통해 취득한 초분광 영상에 대해 전처리 작업으...

      본 연구의 목적은 토지와 물이 포함된 지역에서 초분광 영상을 이용한 토지피복 분류 가능성을 제시하는데 있다. CASI-1500 항공 초분광 영상을 통해 취득한 초분광 영상에 대해 전처리 작업으로서 대기보정을 수행한 후, 대기보정 전 후에서 몇 개의 토지피복 클래스에 대해 대기보정 효과가 비교 분석되었다. 항공사진과 수치지형도와 같은 참조자료로 활용하여 초분광 영상에 의한 토지피복 분류결과를 분석한 결과, 최대우도법에서는 약 67.0%의 전체정확도를 나타내었으며, 최소거리법은 52.4%의 전체정확도를 보였다. 또한 도로, 밭, 비닐하우스에서는 토지피복 분류의 생산자 정확도가 높게 나타났으나, 하천, 산지, 초지지역에서는 매우 복잡한 객체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토지피복 분류의 생산자 정확도가 낮게 나타났다. 따라서 향후에는 특정객체 분류를 위한 최적의 밴드선별과 객체 고유의 분광특성을 고려한 분광 라이브러리를 구축하는 연구가 필요하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n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hyperspectal imagery on area which includes lands and waters. After atmospheric correction as a preprocessing work was conducted on hyperspectral imagery acqu...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the possibility on land cover classification using hyperspectal imagery on area which includes lands and waters. After atmospheric correction as a preprocessing work was conducted on hyperspectral imagery acquired by airborne hyperspectral sensor CASI-1500, the effect of atmospheric correction to a few land cover class in before and after atmospheric correction was compared and analyzed. As the result of accuracy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by highspectral imagery using reference data as airphoto and digital topographic map, maximum likelihood method represented overall accuracy as 67.0% and minimum distance method showed overall accuracy as 52.4%. Also product accuracy of land cover classification on road, dry field and green house, but that on river, forest, grassland showed low because the area of those was composed of complex object. Therefore, the study needs to select optimal band to classify specific object and to construct spectral library considering spectral characteristics of specific obje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전정배, "토지피복도와 임상도를 이용한 제천시의 이산화탄소 분포 추정" 한국농촌계획학회 19 (19): 121-128, 2013

      2 이재운, "토지피복 특성에 따른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평가" 한국환경과학회 21 (21): 977-988, 2012

      3 박종철, "토지피복 변화탐지에서 국가 토지피복도의 활용과 한계 -충청남도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4 (24): 19-34, 2014

      4 김선화, "초분광영상을 이용한 남극 제2기지 후보지에 대한 기반암 분류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 18 (18): 55-61, 2010

      5 신정일, "초분광영상에 대한 표적탐지 알고리즘의 적용성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28 (28): 369-392, 2012

      6 김광은, "초분광 영상자료의 Endmember 추출 속도 향상에 관한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28 (28): 347-355, 2012

      7 안치국, "초분광 반사광 영상을 이용한 배추 종자(Brassica campestris L) 비파괴 품질 측정기술 개발"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6 (16): 257-262, 2012

      8 안치국, "초분광 반사광 영상을 이용한 무(Raphanus sativus L) 종자의 발아와 불발아 비파괴 판별" 한국농업기계학회 37 (37): 411-419, 2012

      9 이진덕, "원격탐사입문" 구미서관 2001

      10 강동현, "영남지역의 토지피복에 따른 열쾌적성평가도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 17 (17): 136-155, 2014

      1 전정배, "토지피복도와 임상도를 이용한 제천시의 이산화탄소 분포 추정" 한국농촌계획학회 19 (19): 121-128, 2013

      2 이재운, "토지피복 특성에 따른 비점오염원 유출특성 평가" 한국환경과학회 21 (21): 977-988, 2012

      3 박종철, "토지피복 변화탐지에서 국가 토지피복도의 활용과 한계 -충청남도를 사례로-" 한국사진지리학회 24 (24): 19-34, 2014

      4 김선화, "초분광영상을 이용한 남극 제2기지 후보지에 대한 기반암 분류 연구" 한국공간정보학회 18 (18): 55-61, 2010

      5 신정일, "초분광영상에 대한 표적탐지 알고리즘의 적용성 분석" 대한원격탐사학회 28 (28): 369-392, 2012

      6 김광은, "초분광 영상자료의 Endmember 추출 속도 향상에 관한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28 (28): 347-355, 2012

      7 안치국, "초분광 반사광 영상을 이용한 배추 종자(Brassica campestris L) 비파괴 품질 측정기술 개발" 한국산업식품공학회 16 (16): 257-262, 2012

      8 안치국, "초분광 반사광 영상을 이용한 무(Raphanus sativus L) 종자의 발아와 불발아 비파괴 판별" 한국농업기계학회 37 (37): 411-419, 2012

      9 이진덕, "원격탐사입문" 구미서관 2001

      10 강동현, "영남지역의 토지피복에 따른 열쾌적성평가도 구축" 한국지리정보학회 17 (17): 136-155, 2014

      11 김대성, "누적 유사도 측정을 이용한 자동 임계값 결정 기법 - 다중분광 및 초분광영상의 무감독 변화탐지를 목적으로" 대한원격탐사학회 24 (24): 341-349, 2008

      12 김영진, "고해상도 수치항공정사영상기반하천토지피복지도 제작을 위한 분류기법 연구" 대한원격탐사학회 30 (30): 207-218, 2014

      13 Geist, H., "What Drives Tropical Deforestation" LUCC International Project Office, University of Louvain 2001

      14 Turner, M. G., "Spatial Simulation of Lands cape Changes in Georgia : A Comparison of 3 Transition Models" 1 : 29-36, 1987

      15 최병구, "Landsat TM 위성영상을 활용한 토지피복변화탐지 및 파편화 분석 - 강원도 고성군의 DMZ지역 일원을 대상으로 -" 한국사진지리학회 23 (23): 75-85, 2013

      16 김상일, "KOMPSAT-2 위성 영상을 이용한 남극 세종기지 주변바톤반도의 토지피복분류" 대한원격탐사학회 29 (29): 537-577, 2013

      17 윤혜원, "InSAR Signature 시계열 분석을 통한 토지피복분류" 한국공간정보학회 22 (22): 27-33, 2014

      18 Ambinakudige, S., "Global Coffee Market Influence on Land-use and Land-cover Change in the Western Ghats of India" 20 : 327-335, 2009

      19 박진혁, "GIS 기반 CA-Markov 기법을 이용한 토지피복 변화에 따른 미래 유출량 전망 분석" 한국지리정보학회 16 (16): 25-39, 2013

      20 Baofeng Su., "Discrimination of Land Use Patterns in Remote Sensing Image Data using Minimum Distance Algorithm and Watershed Algorithm, Engineering in Agriculture" 6 : 48-53, 2013

      21 Sylvain Jay., "A novel maximum likelihood based method for mapping depth and water quality from hyperspectral remote-sensing data" 147 (147): 121-132, 2014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5-07-27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정보공사 -> 한국국토정보공사
      영문명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KCI등재
      2015-06-29 학회명변경 한글명 : 대한국토정보공사 -> 한국국토정보공사
      영문명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 Korea Land and Geospatial InformatiX Corporation
      KCI등재
      2015-06-23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KCI등재
      2015-04-30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地籍(지적) -> 지적과 국토정보
      외국어명 : Journal of Cadastre -> Journal of Cadastre & Land Informatix
      KCI등재
      201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12-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기타) KCI등재후보
      2011-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10-06-28 학회명변경 영문명 : 미등록 -> Korea Cadastral Survey Corporation KCI등재후보
      2010-06-17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미등록 -> Journal of Cadastre KCI등재후보
      2010-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9-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7-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16 0.16 0.1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12 0.1 0.253 0.0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