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참고하는 자료에 수록된 음악활동(노래 부르기, 감상하기, 악기 연주하기)의 음악적 개념과 음악활동계획안의 구성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T14481293
아산 : 호서대학교, 2017
학위논문(박사) -- 호서대학교 대학원 , 인재개발학과 유아교육전공 , 2017
2017
한국어
375.1 판사항(6)
372.21 판사항(23)
충청남도
184 p. ; 26 cm
지도교수: 이문정
권말부록: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노래 부르기 활동 수정·보안한 활동계획안 1 ;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노래 부르기 활동 수정·보안한 활동계획 2 ;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악기 연주하기 활동의 수정·보안한 활동계획
참고문헌: p. 120-131
0
상세조회0
다운로드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참고하는 자료에 수록된 음악활동(노래 부르기, 감상하기, 악기 연주하기)의 음악적 개념과 음악활동계획안의 구성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
본 연구에서는 유아교육기관에서 참고하는 자료에 수록된 음악활동(노래 부르기, 감상하기, 악기 연주하기)의 음악적 개념과 음악활동계획안의 구성은 어떠한지를 분석하였다.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활동을 제안하였다. 이는 유아교육기관에서 노래 부르기, 감상하기, 악기 연주하기 활동을 할 때 유아들이 음악적 개념을 보다 정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음악적 개념을 강화한 교수활동방법과 자료를 제시하여 현장 적용 가능성이 높은 유아음악교육을 실현하는데 도움을 줄 뿐 아니라 유아음악 활동계획안을 개발할 때 기초자료를 제시함에 의의가 있다.
이를 위해 설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유아교육기관에서 참고하는 자료에 수록된 음악활동의 음악적 개념은 어떠한가?
1-1. 유아교육기관에서 참고하는 자료에 수록된 노래 부르기 활동의 음악적 개념은 어떠한가?
1-2. 유아교육기관에서 참고하는 자료에 수록된 감상하기 활동의 음악적 개념은 어떠한가?
1-3. 유아교육기관에서 참고하는 자료에 수록된 악기 연주하기 활동의 음악적 개념은 어떠한가?
2. 유아교육기관에서 참고하는 자료에 수록된 음악활동계획안의 구성은 어떠한가?
2-1. 유아교육기관에서 참고하는 자료에 수록된 노래 부르기 활동계획안의 구성은 어떠한가?
2-2. 유아교육기관에서 참고하는 자료에 수록된 감상하기 활동계획안의 구성은 어떠한가?
2-3. 유아교육기관에서 참고하는 자료에 수록된 악기 연주하기 활동계획안의 구성은 어떠한가?
3.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활동은 어떠한가?
3-1.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노래 부르기 활동은 어떠한가?
3-2.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감상하기 활동은 어떠한가?
3-3.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악기 연주하기 활동은 어떠한가?
3-4.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음악활동 적용에 따른 대한 유아교사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본 연구는 연구문제에 따른 연구 1과 2인 ‘유아교육기관에서 참고하는 자료에 수록된 음악활동의 음악적 개념은 어떠하며 활동계획안의 구성은 어떠한지’ 와 연구 3인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음악활동은 어떠한지’로 분류하였다.
연구1, 2를 위해서 유아교육기관에서 참고하는 자료로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와 유아교육 웹 사이트 키드키즈에 수록된 음악활동계획안을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교육과학기술부가 2013년에 발행한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 11권 11개 생활주제에 수록된 음악활동으로 노래 부르기 47곡, 감상하기 17곡, 악기 연주하기 11곡 총 75곡의 음악활동이며, 키드키즈는 2015년 5세 음악활동계획안으로 12개의 생활주제에 수록된 노래 부르기 64곡, 감상하기 21곡, 악기 연주하기 27곡 총 112곡의 음악활동이다. 연구 3은 연구1, 2에서 살펴 본 유아교육기관에서 참고하는 자료에 수록된 음악적 개념과 음악활동계획안의 구성을 분석한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적 개념을 기초한 음악활동을 제시 후 교사를 대상으로 시범적용을 실시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노래 부르기 활동을 비롯하여 감상하기와 악기 연주하기 활동에서 음악적 개념(셈여림, 빠르기, 리듬, 음색)을 포함하면서 활동하는 빈도가 너무 적었음을 알 수 있었다.
둘째, 음악활동계획안의 구성을 살펴보았을 때 음악활동의 목표는 음악적 표현에 치중되어 있으며 음악적 개념을 이해하고 변별할 수 있는 목표가 부족하였다. 관련교과영역을 살펴보았을 때 노래 부르기 활동은 의사소통영역이 많았으며 감상하기 활동은 사회관계영역, 악기 연주하기 활동은 자연탐구영역이 많은 빈도를 나타냈다. 유아음악은 유아들의 신체, 인지, 사회성, 정서, 언어 등 모든 영역의 발달을 돕기 위하여 모든 영역의 균형 있는 구성이 필요하다. 예술경험영역은 주로 음악으로 표현하기가 절대적으로 많았으며 음악적 요소 탐색하기와 통합적으로 표현하기는 그에 비해 절대적으로 부족하였다. 활동방법에서의 도입활동은 본 활동을 위해 흥미 유발과 동기부여를 위한 사전경험을 포함한 이야기 나누기가 가장 많았다. 전개활동은 음악활동에 따라 노래 부르기는 노래 부르기, 감상하기는 음악 감상, 악기 연주하기는 악기연주활동을 가장 많이 하였고 신체표현을 그 다음으로 많은 활동을 하였으며, 느낌 등 이야기 나누기로 마무리 활동을 하였다. 활동 효과를 주기 위한 교수활동자료는 음원이 가장 많이 사용되었고, 활동에 따라 노랫말판, 동영상, 다양한 리듬악기, 그림 도구 순으로 많았다.
셋째, 연구 1, 2의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음악적 개념에 대한 문제점을 도출한 후 누리과정과 키드키즈에서의 음악활동이 서로 중복된 활동명을 포함하여 노래 부르기, 감상하기, 악기 연주하기 활동 각각 생활주제별 11씩 총 33개로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음악활동을 제시하였다. 시범 적용 대상은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음악활동 적용집단 120명이었다. 본 시범 적용 대상은 I광역시에 위치한 S유치원의 만 5세 2반(40명), P시 A유치원 2반(40명)과 H유치원 2반(40명)을 선정하였다.
연구자는 음악적 인지능력의 반응의 차이를 살펴보기 위해 유아교육현장에서 유아들의 수업 활동을 관찰한 후 교사와의 면담을 진행하였다. 면담 결과 교사들은 음악 및 음악교육에 대한 음악적 개념이 부족하였음으로 교사가 음악개념을 자연스럽게 활동내용에 접목시킬 수 있도록 다양한 지원이 필요하다는 반응을 나타내었다.
이에 본 연구에서 구성한 음악적 개념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활동계획안이 유아교육현장에서 음악개념에 내재된 교육적 가치를 기초로 한 유아음악교육 활동계획안으로 적용 가능함을 시사한다.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유아교육론, 이경화, 서울: 양서원, , 2013
2. 유아음악교육, 하정희, 공동체, 서울: 공동체, , 2010
3. 유아음악교육, 신원애, 안미숙, 동문사, 서울: 창지사, , 2016
4. 유아음악교육, 이진우, 창지사, 한국방송통신대하교 출판부, , 2003
5. 유아음악교육, 안재신,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 2004
6. 유아음악교육론, 김영연, 서울: 학지사, , 2007
7. 유아음악교육론, 김영연, 학지사, 서울: 학지사, , 2002
8. 초등기악교육론, 조효임, 장기범, 화인, 서울: 도서출판 화인, , 2004
9. 영유아 음악교육, 최예린, Buen Camino, 서울: 양서원, , 2016
10. 유아음악교육2000, 김혜경, 창지사, 서울: 창지사, , 2001
1. 유아교육론, 이경화, 서울: 양서원, , 2013
2. 유아음악교육, 하정희, 공동체, 서울: 공동체, , 2010
3. 유아음악교육, 신원애, 안미숙, 동문사, 서울: 창지사, , 2016
4. 유아음악교육, 이진우, 창지사, 한국방송통신대하교 출판부, , 2003
5. 유아음악교육, 안재신, 교육과학사, 서울: 교육과학사, , 2004
6. 유아음악교육론, 김영연, 서울: 학지사, , 2007
7. 유아음악교육론, 김영연, 학지사, 서울: 학지사, , 2002
8. 초등기악교육론, 조효임, 장기범, 화인, 서울: 도서출판 화인, , 2004
9. 영유아 음악교육, 최예린, Buen Camino, 서울: 양서원, , 2016
10. 유아음악교육2000, 김혜경, 창지사, 서울: 창지사, , 2001
11. 음악통론과 그 실습, 이성천, 서울: 음악예술사, , 1971
12. 교육방법 및 교육공학, 김영수, 한정선, 강명희, 이정민, 주영주, 조일현, 서현사, 파 주: 교육과학사, , 2011
13.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교육부, 서울: 교육부, , 1998
14. 유아의 동요분석에 관한 연구, 주영은,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구, 19, 205-221, , 2000
15. 유치원 동요 분석에 관한 연구, 김미란,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87
16. 유아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김진영, 양서원, 서울: 양서원, , 2007
17. 동요를 활용한 유아음악교육활동, 박은진, 이순형, 서영민, 송지나, 조윤희, 정민사, 서울: 정민사, , 2015
18. 리듬악기를 활용한 유아 음악활동, 임혜정, 서울: 파란마음, , 2009
19. 유아동요의 발달적 적합성 분석연구, 황성숙, 한국아동교육학회, 아동교육, 10(2), 173-184, , 2001
20. 유아를 위한 음악교육의 이론과 실제, 김명순, 조경자, 서울: 다음세대, , 1998
21. 유아의 음악 듣기교육 프로그램 연구, 박명숙, 단국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0
22. 유아교사를 위한 인터넷 웹 사이트 분석, 이진우,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2001
23. 유아음악교육의 효율적인 지도방안 연구, 민대기,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5
24. 유치원의 교육활동에 사용되는 동요분석, 송세은, 한국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 문, , 2008
25. 음악교육을 위한 인터넷의 활용방안 연구, 이상철, 한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1998
26. 놀이중심의 기악활동을 통한 리듬감 신장 방안, 김분심, 한국유초등음악교육학회, 광주교육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2007
27. 음악교육에 있어서 인터넷의 활용에 대한 연구, 장견실, 성신여자대학교 석사 학위논문, , 2000
28. 피아노를 통한 유아의 음악개념 지도방법 연구, 인지연, 이화여자대학교 교육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0
29. ‘99조사연구 유치원 컴퓨터교육의 현황과 전망, 이경우, 이영주, 서울: 한국 어린이육영회, , 2000
31. 5세 누리과정 유치원 지도서에 수록된 동요 분석, 김상림, 이희경,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열린유아 교육연구, 18(1), 475-498, , 2013
32. 유아교사양성대학의 음악교과 교육과정 모형 개발, 김선희, 서울여자대학교 대학원,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8
34. 놀이를 통한 유아음악 지도 방안 -5, 6세를 중심으로, 이성신,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 2008
35. 음악교육에서의 웹사이트 구성과 활용에 관한 연구, 김유희, 한국교원대학교, 한국 교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0
36. 현직교사를 위한 유아음악교육 프로그램 모형 개발, 장은주,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7
37. 초등학교 가창교육을 위한 인터넷 자료의 활용 연구, 김정옥,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1
38. 유아 음악성 계발을 위한 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효과, 방은영, 중앙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8
39. 유악교육과 음악교육의 통합에 기초한 유아음악교육, 장은주, 서울: 양서원, , 2009
40. 어린이의 리듬과 즉흥연주를 위한 상상놀이 음악활동, 하정희, 공동체, 서울: 공동 체, , 2009
41. 창작국악곡 수업지도방안 연구 : 기악활동을 중심으로, 남보람, 전남대학교 교 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09
42. 교육부 유치원 교육 활동 지도 자료집에 수록된 노래 분석, 박근배, 서원대학 교 석사학위논문, , 2001
43. 표현활동중심의 유아음악교육프로그램 구성 및 적용 효과, 정현영, 동국대학 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12
44. 유치원 교사의 음악적 개념에 대한 인식 및 활동 수행 정도, 엄정애, 송정, 이화여자대학교 교과교육연구소, 교 과교육학연구, 12(2), 471-491, , 2008
46. 통합적 음악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개념에 미치는 영향, 곽영숙,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 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0
47. 예술적 경험을 통한 유아 과학 활동이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 김정미, 한국교원대학교 유아교육연구소, 한국교 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6
48. 음악적 개념 형성을 위한 감상과 창작의 연계지도 방안 탐색, 최유리, 인천교 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2
49. 유아의 음악능력증진을 위한 통합적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김법순, 조선대 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9
50. 유아음악교육 지도서 비교 분석 연구 - 노래 부르기 영역 중심 -, 이지용, 단국대학교, 단 국대학교 음악교육전공 석사학위논문, , 2006
51. 3-5세용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수록된 음악과 음률활동 분석, 김영연, 엄승애, 한국음악교육공학회, 음악교육공학, 24, 1-15, , 2015
52. 누리과정과 유아음악 포털 사이트에서 제시되는 음악 활동 분석, 심성희, 이혜상, 이문정, 한국산학기술학회, 16(1), 793-795, , 2015
53. 유아교육기관에서 선호하는 동요에 관한 조사 및 악곡분석 연구, 임혜정, 덕성여자대학교, 덕 성여자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4
54. 유아교육기관에서의 유아예술교육에 대한 어머니의 요구도 분석, 심성희, 김중기, 국제논총, 7, 33-51, , 2015
55. 음악 개념 중심의 통합적 유아 음악 감상과 표현활동의 적용효과, 강신영, 원 광대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 2008
56. 인터넷 정보 검색 조사 연구-음악교육을 위한 음악자료 중심으로, 박지영, 상명대학교 교육대학원, 상 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0
57. 타악기를 활용한 유아음악교육의 인식과 실태 및 요구에 관한 연구, 박미자, 김현, 서현, 한국영유아보육학회, 한국영유아보육학, 73, 233-266, , 2012
58. 리듬악기를 이용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송연아, 원광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1
59. 방과 후 학교 기악활동이 초등학생의 학업적 자기효능감에 미 치는 영향, 홍문영,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5
60. 음악 교육내용 영역에 따른 유아교사의 교수방법 실제에 대한 분 석 연구, 김소향, 안경숙,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구, 36, 29-58, , 2009
61. 유아교사 양성과정의 유아음악교육에 대한 현직교사의 인식 및 개선 방안, 남소현,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6
62. 타악기를 활용한 음률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창의성과 리듬감에 미 치는 영향, 정희영,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국민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1
64. ‘학습주기’를 고려한 노래부르기 활동이 유아의 음 악적 능력에 미치는 영향, 류진순, 이옥주, 한국유아교육연구, 4(1), 85-103, , 2007
65. 악기를 활용한 표현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능력과 신체표현능력에 미 치는 영향, 박은영, 한국음악교육학회, 음악교육연구, 36, 59-83, , 2009
66. 포괄적 음아교육에 기초한 유아의 음악적 능력 증진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 검증, 김광자, 서울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04
67. 누리과정 보육프로그램을 적용한 유아음악수업 지도방안 연구, 만 3-5를 중심으로, 조슬기,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4
68. 통합적 접근을 통한 음악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과 정서지능 발달에 미치는 영향, 송수현,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중앙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4
69.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에 따른 교사용 <유치원지도서>의 유아 음악 활동 분석, 최지원,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9
70. 악기를 활용한 음악 감상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성과 음악적 표현력이 미치는 영향, 김희복, 박형신, 음악교육연구, 43(2), 1-23, , 2014
72. 음악적 요소 중심의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능력 및 신체표현 능력에 미치는 효과, 배희진,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계명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8
73. 음악적 요소에 기초한 통합적 감상활동이 유아의 음악개념 및 태도에 미치는 영향, 최선미, 삼육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9
74. 유아음악개념교육의 실태에 관한 연구: 경북지역의 유치원과 어린이 집을 중심으로, 김지언, 대구카톨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3
75. 유치원 교육활동 지도 자료집에 수록된 노래의 수준별 특성 및 교 수 학습방법 분석, 손미이,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7
76. 우쿨렐레를 활용한 음악교육이 만 5세 유아의 음감과 리듬감 및 태도 에 미치는 영향, 최상민, 배재대학교 대학원, 배재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5
78. 그림악보를 활용한 유아 음악활동이 유아의 리듬개념과 선율 개념형성에 미치는 영향, 이종희, 송유리, 미래유아교육학회지, 12(2), 1-31, , 2005
80. 리듬노래와 리듬패턴을 활용한 악기활동이 유아의 리듬감과 음악표현력에 미치는 영향, 윤은미, 한국영유아교원교육학회, 유아교육학논집, 16(1), 49-68, , 2012
82. 음악교육을 위한 인터넷 사이트 구성 방안 연구 – 중학교 교육과정 중 서양음악을 중심으로, 안현주,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3
83. 음악구성요소의 개념형성을 위한 놀이활동 지도방안: 초등학교 저학 년(1, 2학년)을 중심으로, 박수연, 단국대학교, 단국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07
86. 소리를 매개로 한 음악 과학 통합 활동이 유아의 음악적 개념 및 과 학적 과정 기술에 미치는 영향, 한희승, 부경대학교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 2010
87. 5세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서 수록된 동요와 유아교육기관에서 선 호하는 동요의 악곡비교분석, 김해원, 공주대학교 석사학위논문, , 2016
89. 누리과정과 연계한 리듬중심 음악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적용가능성 탐색 – 만 5세 유아를 중심으로, 유은숙, 동덕여자대학교 박사학위논문, , 2016
91. ‘영아보육프로그램’과 ‘누리과정 교사용 지도서’에 제시된 노래 포함 활동의 경향과 새 노래 부르기 활동의 특성 분석, 김진실, 이화여자대학교 석 사학위논문, , 20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