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Communicative Gestures in Prelinguistic Periods as Predictors of Later Language Development in Korean Toddle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24664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배경 및 목적: 언어이전 시기의 의사소통적 몸짓 사용은 이후 언어발달과 관련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다. 본 연구는 언어이전 시기의 몸짓 사용이 이후 언어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참가자는 K-CSBS DP 표준화 연구에 참여한 12-18개월의 영유아 중에서 24개월의 언어발달 추적연구 참가에 동의한 42명이었다. 언어이전기의 의사소통 몸짓은 12-18개월 사이에 수집된 CSBS DP 행동표본 중 4가지 의사소통 유도 절차와 5분의 소꿉놀이 및 책 보기 활동을 통해 얻어진 표본에서 전체 의사소통적 몸짓 빈도, 몸짓 유형 수, 몸짓 범주별 사용 빈도, 개별 몸짓별 빈도를 측정하였다. 24개월의 언어능력은 SELSI와 K M-B CDI로 언어발달연령(수용언어연령, 표현언어연령)과 표현어휘 수로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몸짓 빈도, 몸짓 범주 중에서는 지시적 범주의 몸짓 빈도가, 개별 몸짓 중에서는 손가락으로 가리키기 몸짓 빈도가 각각 수용언어연령, 표현언어연령, 표현어휘 수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습적 몸짓 빈도도 수용언어연령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이전기의 의사소통 몸짓 사용, 특히 몸짓 사용 빈도는 물론 지시적 범주의 몸짓과 가리키기 몸짓을 통하여 이후 24개월의 발달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이전 시기의 몸짓을 다각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이후의 언어발달을 확인 절차로 활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번역하기

      배경 및 목적: 언어이전 시기의 의사소통적 몸짓 사용은 이후 언어발달과 관련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다. 본 연구는 언어이전 시기의 몸짓 사용이 이후 언어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

      배경 및 목적: 언어이전 시기의 의사소통적 몸짓 사용은 이후 언어발달과 관련을 갖는 것으로 보고된다. 본 연구는 언어이전 시기의 몸짓 사용이 이후 언어발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방법: 연구 참가자는 K-CSBS DP 표준화 연구에 참여한 12-18개월의 영유아 중에서 24개월의 언어발달 추적연구 참가에 동의한 42명이었다. 언어이전기의 의사소통 몸짓은 12-18개월 사이에 수집된 CSBS DP 행동표본 중 4가지 의사소통 유도 절차와 5분의 소꿉놀이 및 책 보기 활동을 통해 얻어진 표본에서 전체 의사소통적 몸짓 빈도, 몸짓 유형 수, 몸짓 범주별 사용 빈도, 개별 몸짓별 빈도를 측정하였다. 24개월의 언어능력은 SELSI와 K M-B CDI로 언어발달연령(수용언어연령, 표현언어연령)과 표현어휘 수로 측정하였다.
      결과: 전체 몸짓 빈도, 몸짓 범주 중에서는 지시적 범주의 몸짓 빈도가, 개별 몸짓 중에서는 손가락으로 가리키기 몸짓 빈도가 각각 수용언어연령, 표현언어연령, 표현어휘 수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관습적 몸짓 빈도도 수용언어연령을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논의 및 결론: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이전기의 의사소통 몸짓 사용, 특히 몸짓 사용 빈도는 물론 지시적 범주의 몸짓과 가리키기 몸짓을 통하여 이후 24개월의 발달을 예측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언어이전 시기의 몸짓을 다각면적으로 살펴보는 것이 이후의 언어발달을 확인 절차로 활용될 수 있다는 시사점을 갖는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s: The use of communicative gestures in the prelinguistic period is closely related to later 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communicative gestures used in the prelinguistic period predict later language development at 24 months of age in Korean toddl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2 toddlers age 12-18 month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edition of the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s Developmental Profile (CSBS DP) standardization study and also participated in a follow-up study for tracking language development at 24 months of age. The behavior samples for measuring communicative gestures during the prelinguistic periods were the behavior samples that were collected through the CSBS DP. The total frequency of gestures, the number of gesture types, the frequency of gestures by category, and the frequency of each gesture type were measured. Language ability at 24 months was measured according to receptive language age and expressive language age using SELSI and number of expressive vocabulary words using K M-B CDI.
      Results: The total frequency of gestures, the frequency of deictic gestures among three gesture categories, and the frequency of pointing gestures among the gesture types in the prelinguistic period predicted the receptive language age, the expressive language age, and the number of expressive vocabulary words at 24 months of age. The frequency of conventional gestures predicted receptive language age as well.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municative gestures, especially the total frequency of communicative gestures, frequency of deictic category gestures, and pointing gestures predicted later language development. We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early identification of toddler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번역하기

      Objectives: The use of communicative gestures in the prelinguistic period is closely related to later 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communicative gestures used in the prelinguistic period predict later language development ...

      Objectives: The use of communicative gestures in the prelinguistic period is closely related to later language development. This study aimed to examine whether communicative gestures used in the prelinguistic period predict later language development at 24 months of age in Korean toddlers.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42 toddlers age 12-18 months who participated in the Korean edition of the Communication and Symbolic Behavior Scales Developmental Profile (CSBS DP) standardization study and also participated in a follow-up study for tracking language development at 24 months of age. The behavior samples for measuring communicative gestures during the prelinguistic periods were the behavior samples that were collected through the CSBS DP. The total frequency of gestures, the number of gesture types, the frequency of gestures by category, and the frequency of each gesture type were measured. Language ability at 24 months was measured according to receptive language age and expressive language age using SELSI and number of expressive vocabulary words using K M-B CDI.
      Results: The total frequency of gestures, the frequency of deictic gestures among three gesture categories, and the frequency of pointing gestures among the gesture types in the prelinguistic period predicted the receptive language age, the expressive language age, and the number of expressive vocabulary words at 24 months of age. The frequency of conventional gestures predicted receptive language age as well.
      Conclusion: The results showed that the communicative gestures, especially the total frequency of communicative gestures, frequency of deictic category gestures, and pointing gestures predicted later language development. We discuss the implications for early identification of toddlers with developmental language delay.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Abstract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논의 및 결론
      • REFERENCES
      • Abstract
      • 연구방법
      • 연구결과
      • 논의 및 결론
      • REFERENCES
      • 국문초록
      • 참고문헌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장유경, "한국 영아의 초기 의사소통: 몸짓의 발달" 한국아동학회 26 (26): 155-167, 2005

      2 전진아, "자폐범주성장애 의심 영유아와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비교"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8 (18): 349-359, 2013

      3 이윤경, "자폐범주성장애 위험 영아와 언어발달지체 영아의 의사소통적 제스처 사용 비교" 한국자폐학회 14 (14): 17-33, 2014

      4 이윤경, "언어발달지체 영아의 의사소통적 제스처 특성과 언어발달과의 관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 (20): 255-265, 2015

      5 이효주,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 행동 특성"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105-120, 2014

      6 이윤경, "미숙아 출생 영아의 기질 특성과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과의 관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2 (22): 458-470, 2017

      7 Goldin‐Meadow, S, "Young children use their hands to tell their mothers what to say" 10 : 778-785, 2007

      8 Özçalıskan, S, "X IS LIKE Y: the emergence of similarity mappings in children’s early speech and gesture" 1 : 229-262, 2006

      9 Namy, L. L, "Verbal labels and gestural routines in parental communication with young children" 24 : 63-79, 2000

      10 Crais, E, "The intersection of the development of gestures and intentionality" 47 : 678-694, 2004

      1 장유경, "한국 영아의 초기 의사소통: 몸짓의 발달" 한국아동학회 26 (26): 155-167, 2005

      2 전진아, "자폐범주성장애 의심 영유아와 언어발달지체 영유아의 언어 및 사회적 의사소통 능력 비교"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18 (18): 349-359, 2013

      3 이윤경, "자폐범주성장애 위험 영아와 언어발달지체 영아의 의사소통적 제스처 사용 비교" 한국자폐학회 14 (14): 17-33, 2014

      4 이윤경, "언어발달지체 영아의 의사소통적 제스처 특성과 언어발달과의 관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 (20): 255-265, 2015

      5 이효주, "미숙아 출생 영유아의 사회적 의사소통 행동 특성" 한국유아특수교육학회 14 (14): 105-120, 2014

      6 이윤경, "미숙아 출생 영아의 기질 특성과 언어 및 의사소통 발달과의 관계"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2 (22): 458-470, 2017

      7 Goldin‐Meadow, S, "Young children use their hands to tell their mothers what to say" 10 : 778-785, 2007

      8 Özçalıskan, S, "X IS LIKE Y: the emergence of similarity mappings in children’s early speech and gesture" 1 : 229-262, 2006

      9 Namy, L. L, "Verbal labels and gestural routines in parental communication with young children" 24 : 63-79, 2000

      10 Crais, E, "The intersection of the development of gestures and intentionality" 47 : 678-694, 2004

      11 Harris, M, "The emergence of referential understanding: pointing and the comprehension of object names" 15 : 19-34, 1995

      12 Fenson, L., "The MacArthur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 Singular Publishing Gruop 1996

      13 Kim, Y. T, "Sequenced Language Scale for Infants(SELSI)" Special Education Publishing 2003

      14 Brady, N. C, "Prelinguistic predictors of language growth in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47 : 663-677, 2004

      15 Calandrella, A. M, "Predicting language outcomes for young prelinguistic children with developmental delay" 43 : 1061-1071, 2000

      16 Butterworth, G, "Onset of pointing and the acquisition of language in infancy" 14 : 219-231, 1996

      17 Rowe, M. L, "Learning words by hand : gesture’s role in predicting vocabulary development" 28 : 182-199, 2008

      18 Bates, E, "Language, gesture, and the developing brain" 40 : 293-310, 2002

      19 Thal, D, "Language and gesture in late talkers: a 1-year follow-up" 34 : 604-612, 1991

      20 Pae, S, "Korean MacArthur-Bates Communicative Development Inventories(K M-B CDI)" Mindpress 2011

      21 Bates, E, "Integrating language and gesture in infancy" 25 : 1004-1019, 1989

      22 Capirci, O, "Gestures and words during the transition to two-word speech" 23 : 645-673, 1996

      23 Iverson, J. M, "Gesture paves the way for language development" 16 : 367-371, 2005

      24 Rowe, M. L, "Early gesture selectively predicts later language learning" 12 : 182-187, 2009

      25 Jang, H. S, "Developmental assessment for the early intervention program planning" Hakjisa 2011

      26 Morford, M, "Comprehension and production of gesture in combination with speech in one-word speakers" 19 : 559-580, 1992

      27 Wetherby, A, "Analysis of intentional communication of normal children from the prelinguistic to the multiword stage" 31 : 240-252, 1988

      28 Camaioni, L, "A parent report instrument for early language assessment" 11 : 345-358, 1991

      29 김의향, "7~24개월 영야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어휘 습득간의 관계" 한국아동학회 27 (27): 217-234, 2006

      30 이윤경, "12-30개월 영유아의 의도적 의사소통 행동 발달"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1 (21): 553-566, 2016

      31 신애선, "10~18개월 영아 어휘력 발달의 종단연구: 영아의 의사소통적 몸짓과 기질을 중심으로" 한국유아교육학회 36 (36): 273-295,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18 평가예정 계속평가 신청대상(등재유지)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13-03-29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CI등재
      2012-12-18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7-06-25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등재유지) KCI등재
      2006-09-13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5-10-14 학술지명변경 한글명 : 언어청각장애연구</br>외국어명 : Korean Journal of Communication Disorders KCI등재
      2004-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13 1.13 1.17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21 1.18 1.62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