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국내 2조 겉보리 품종의 보리그물무늬병(Net blotch) 저항성과 종자 감염양상 = Resistance to Net blotch (Pyrenophora teres) in Field and Seed Infection of Korean Two-rowed Covered Barley Cultivar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022033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보리 재배지에서의 보리그물무늬병 발생 현황과 종자감염, 국내 육성 겉보리 품종의 저항성 정도를 확인하고 기초 방제기술 개발을 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보리 재배지에서 잎 ...

      본 연구는 보리 재배지에서의 보리그물무늬병 발생 현황과 종자감염, 국내 육성 겉보리 품종의 저항성 정도를 확인하고 기초 방제기술 개발을 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보리 재배지에서 잎 중간 부위에서 흑갈색의 작은 반점, 이들 반점들이 모여 녹이 슨 것처럼 보이는 증상과 흑색의 반점 안쪽이 하얗게 고사되는 증상 등이 확인되었다. 이들 증상에서 분리된 곰팡이는 배지 생육과 포자 형태 등 균의 특성 관찰 결과 보리그물무늬병(Net blotch)의 원인균인 Pynerophora teres으로 확인되었다. 곰팡이의 DNA를 이용한 PCR 검정과 병원성 검정 결과에서 P. teres로 동정되었다. 국내 육성 2조 겉보리 품종에 대해 포장에서 잎의 병징발생 정도를 조사하여 품종별 저항성 정도를 시험하였다. 병의 발생 정도는 등숙 초기에서 수확기로 진전될수록 증가하는 경향이었다. 2013년도 수확기 조사에서 사천 6호, 백호보리, 맥향보리는 7~9의 발병정도를 보여 감수성이었다. 반면, 두산 8호, 진광보리, 다호보리, 광맥보리는 수확기에도 발병정도 1의 저항성을 보였다. 백호보리와 맥향보리에서 등숙 초기에는 1 정도의 저항성 반응을 보였으나 수확기에는 7~9로 높아져 병의 진전이 빠른 특징을 보였다. P. teres 의 감염에 대한 저항성과 종자 감염률과의 관계를 조사하였다. 시험 품종 전체의 평균 종자감염률은 1.8%로 조사되었다. 이 중 저항성 품종들의 평균 종자 감염률은 0.6%, 감수성 종자에서는 5.3%로 조사되어 포장에서 잎의 감염 정도가 병원균의 종자 감염에도 영향을 주는 것으로 나타났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net blotch occurrence and seed infection in the barley field and the resistance of the domestic unhulled barley, and to develop pest control technology. In barley field, the 2 following symptoms were identif...

      The purpose of the study is to identify the net blotch occurrence and seed infection in the barley field and the resistance of the domestic unhulled barley, and to develop pest control technology. In barley field, the 2 following symptoms were identified in barley varieties: a rusty-looking symptom with dark brown small spots gathered in the middle region of leaf, and a symptom where the inner part of black spots withers away, turning white. A finding on viral characteristics on medium growth and spore morphology from these symptoms was identified as Pynerophora teres, causative organism of net blotch. For a variety of Korean 2-rowed barley, a resistance degree was tested by investigating the severity and symptoms of infected leaves in field. For the incidence of infection, the more advanced the barley was during the period from early ripening to harvest time, the higher the incidence of infection was. According to a finding obtained from investigation conducted during the harvest time in 2013, ``Sacheon 6``, ‘Baeghobori’, and ``Maeghyangbori`` showed 7-9 degrees in the severity of disease, identified as susceptible varieties; whereas ‘Doosanbori 8’, ‘Jinkwangbori’, Dahobori, and ‘Gwangmaegbori’ showed 1 degree in it even in the harvest time. Although ‘Baeghobori’ and ``Maeghyangbori`` showed about -degree resistance in the early ripening period, they showed high 7-9 degrees in the harvest time, which showed rapid progress of the disease for their characteristics. Also investigated was relationship between resistance on infection of P. teres and the rate of infected seeds.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verage seed infection rate of all tested varieties was 1.8%. Out of them, the average rate of infected seeds of resistance varieties was 0.6%, and the susceptibility of them was 5.3%, indicating the severity of infected leaves in field affected seed infection caused by pathogenic bacterium.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