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SCOPUS

      Medroxyprogesterone acetate(MPA)에 의한 자궁내막증식증의 치료효과 = Treatment of endometrial hyperplasia with Medroxyprogesterone acetate(MPA)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336130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목적: 자궁내막증식증의 경구 투여한Medroxyprogesterone acetate(MPA)에 대한 치료효과를 자궁내막의 조직학적 결과를 통하여 비교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방법: 1996년 3월부터 199...

      목적: 자궁내막증식증의 경구 투여한Medroxyprogesterone acetate(MPA)에 대한 치료효과를 자궁내막의 조직학적 결과를 통하여 비교평가하기 위해 본 연구를 계획하였다. 연구방법: 1996년 3월부터 1998년 5월까지 전남대학교 의과대학 산부인과학교실에서 조직학적으로 자궁내막증식증으로 진단받고 일차적으로 프로제스틴으로 치료한 79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조직학적 분류는 세계부인병리학회(ISGP)의 분류에 근거하여 단순성 증식증, 복합성 증식증 그리고 비정형 증식증으로 분류 한 후, Medroxyprogesterone acetate(MPA)로 치료를 시작하였다. 결과: 56명의 단순성 자궁내막증식증 환자의 MPA에 대한 반응은 45명(80.4%)에서 반응하였고 11명(19.6%)에서 계속 지속하였으며 진행한 경우는 한명도 없었다. 12명의 복합성 자궁내막증식증 환자에서는 10명(83.3%)에서 MPA에 반응하였고 2명(16.7%)에서 병변이 지속하였으며 한명도 진행된 병변은 없었다. 그러나 비정형 자궁내막증식증 환자는 11명중 5명(45.5%)에서만 반응하였고 4명(36.4%)은 병변이 지속 하였고 2명(18.2%)에서는 1기의 자궁내막암으로 진행하였다. 결론: 세포의 비정형이 없는 자궁내막 증식증은 MPA에 대한 반응이 좋고 재발할 가능성도 낮으며 자궁내막암의 위험도 극히 적으므로 일차적으로 MPA를 비롯한 프로제스틴이 선택되어야 하나, 비정형 자궁내막 증식증은 MPA에 반응이 좋지 않을 뿐아니라 자궁내막암으로 진행할 가능성이 항상 존재하므로 젊고 생식능력의 보존이 필요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자궁적출술이 가장 합리적인 치료라고 사료된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hyperplastic endometrium to Medroxyprogesterone acetate according to the histologic types such as simple typical, complex typical and atypical hyperplasia. Methods: A total of 79 patients with histologicall...

      Objective : To investigate the response of hyperplastic endometrium to Medroxyprogesterone acetate according to the histologic types such as simple typical, complex typical and atypical hyperplasia.
      Methods: A total of 79 patients with histologically proved endometrial hyperplasia were enrolled into this prospective study between March 1996 and May 1998. Patients without atypia were placed on a regimen of cyclic therapy with 10mg MPA orally, each day for 14days per month for 3 months. In the cases in which hyperplasia did not regress , MPA was increased to 20mg. Patients with atypical hyperplasia received continuous MPA therapy, 20mg orally each day for 3 month. All patients were followed up for a minimum of 3 months and a maximum of 1 year(mean 7 months). Results : In patients with simple typical hyperplasia, 45 patients(80.4%) had regression, 11 patients(19.6%) had persistence and none had progression. In patients with complex typical hyperplasia, 10 patients(83.3%) had regression, 2 patients(16.7%) had persistence and none had progression. But, in patients with atypical hyperplasia 5 patients(45.4%) had regression, 4 patients(36.4%) had persistence and 2(18.2%) patients had well differentiated endometrial adenocarcinoma. There was no recurrence during the follow up. Conclusion : This data suggest that most women with typical hyperplasia respond to progestin therapy, but there is high failure rate of response to progestin therapy and risk of endometrial cancer in patients with atypical hyperplasia. If the young patient desires to preserve her fertility, then progestin therapy may be considered as primary treatment in patients with atypical hyperplasia. But older patients in whom fertility is not an issue, hysterectomy should be selected as treatment of choice for atypical lesion.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