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요부 안정화 운동 순서가 만성요통환자의 요통과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T14224022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rder on muscle activity of erector spinae and low-back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back pain.
      Thirty patients with chronic low-back pain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order of exercises performed during training session : a group that performed ADIM exercise first and progressed to Sling exercises(ADIM-Sling); while a second group performed the opposite sequence and started with Sling exercise and progressed ADIM exercise(Sling-ADIM). Two session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ere conducted per week. ADIM exercise was performed 10-sec holding of ten repetitions with 10-sec rest intervals between sets. Sling exercises were performed for ten sets of four repetitions with 10-sec rest intervals between sets. The degree low-back pain was measured by using VAS, ODI and muscle activation of erector spinae was measured by electromyography when sitting to standing on the chair of 40cm. After 4-week break, they were measured again.
      The changes in group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As a result, in both ADIM-Sling group and Sling-ADIM group, VAS, OD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5), and muscle activation of erector spina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5). But asymmetric index of erector spinae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p>.05)
      The changes between group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As a result, VAS, ODI, muscle activity and asymmetric index not significantly changed.(p>.05)
      Given the above results, even if not effective in the muscle asymmetry improvement,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for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is thought to be able to be presented as an exercise method which is effective in an increase in muscle activation of erector spinae and relief of back pain regardless of exercise order.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rder on muscle activity of erector spinae and low-back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back pain. Thirty patients with chronic low-back pain were randomly 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influence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order on muscle activity of erector spinae and low-back pain in patients with chronic low-back pain.
      Thirty patients with chronic low-back pain were randomly assigned into two groups based on the order of exercises performed during training session : a group that performed ADIM exercise first and progressed to Sling exercises(ADIM-Sling); while a second group performed the opposite sequence and started with Sling exercise and progressed ADIM exercise(Sling-ADIM). Two session of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were conducted per week. ADIM exercise was performed 10-sec holding of ten repetitions with 10-sec rest intervals between sets. Sling exercises were performed for ten sets of four repetitions with 10-sec rest intervals between sets. The degree low-back pain was measured by using VAS, ODI and muscle activation of erector spinae was measured by electromyography when sitting to standing on the chair of 40cm. After 4-week break, they were measured again.
      The changes in group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As a result, in both ADIM-Sling group and Sling-ADIM group, VAS, ODI, were significantly decreased (p<.05), and muscle activation of erector spinae were significantly increased (p<.05). But asymmetric index of erector spinae were not significantly changed (p>.05)
      The changes between groups were compared before and after exercise. As a result, VAS, ODI, muscle activity and asymmetric index not significantly changed.(p>.05)
      Given the above results, even if not effective in the muscle asymmetry improvement, lumbar stabilization exercise for patients with chronic low back pain is thought to be able to be presented as an exercise method which is effective in an increase in muscle activation of erector spinae and relief of back pain regardless of exercise order.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에서는 만성요통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요부 안정화 운동순서에 따라 요통과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 대상자들은 각각 15명씩 두 군으로 나누어 복부-드로잉운동 이후 슬링을 사용한 안정화 운동을 실시 한 군, 슬링을 사용한 안정화 운동 이후 복부-드로잉운동을 실시한 군으로 나누어 요통과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 변화를 연구하였다.
      측정은 운동 전에 시각적사상척도와 요통장애지수를 이용하여 요통의 정도를 측정하고, 40cm의 의자에 앉고 서기 시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고 운동들을 실시하였다. 각 운동들은 운동 순서만 달리하여 동일한 횟수와 세트 수로 4주간 실시하였다. 운동 실시 후 다시 운동 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요통과 척추기립근을 확인하였다. 각 자료는 각 그룹 내 운동 전과 후 시각적통증척도, 요통장애지수,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와 비대칭 분율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 t 검정(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두 그룹 간 실험 운동 전과 후 시각적통증지수, 요통장애지수 그리고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와 비대칭 분율 변화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 t 검정(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두 군 모두 운동 전후에 따른 시각적통증지수, 요통장애지수 감소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고,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는 증가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두 군 모두 운동 전후에 따른 좌우 척추기립근의 비대칭 분율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그룹 간 비교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만성요통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요부안정화운동은 근 비대칭 개선에는 효과적이지 않지만, 운동 순서와 상관없이 요통의 경감과 척추 기립근의 근활성도 증가에는 효과적인 운동 방법이라고 제시 할 수 있을 것 사료된다.
      번역하기

      본 연구에서는 만성요통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요부 안정화 운동순서에 따라 요통과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 대상자들은 각각 15명씩 두 ...

      본 연구에서는 만성요통을 가진 환자를 대상으로 요부 안정화 운동순서에 따라 요통과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해 실시되었다. 실험 대상자들은 각각 15명씩 두 군으로 나누어 복부-드로잉운동 이후 슬링을 사용한 안정화 운동을 실시 한 군, 슬링을 사용한 안정화 운동 이후 복부-드로잉운동을 실시한 군으로 나누어 요통과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 변화를 연구하였다.
      측정은 운동 전에 시각적사상척도와 요통장애지수를 이용하여 요통의 정도를 측정하고, 40cm의 의자에 앉고 서기 시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를 측정하고 운동들을 실시하였다. 각 운동들은 운동 순서만 달리하여 동일한 횟수와 세트 수로 4주간 실시하였다. 운동 실시 후 다시 운동 전과 동일한 방법으로 요통과 척추기립근을 확인하였다. 각 자료는 각 그룹 내 운동 전과 후 시각적통증척도, 요통장애지수,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와 비대칭 분율의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대응 t 검정(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비교하였고, 두 그룹 간 실험 운동 전과 후 시각적통증지수, 요통장애지수 그리고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와 비대칭 분율 변화 차이를 보기 위해 독립 t 검정(independent t-test)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두 군 모두 운동 전후에 따른 시각적통증지수, 요통장애지수 감소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고, 척추기립근의 근활성도는 증가의 유의한 변화가 있었다. 하지만 두 군 모두 운동 전후에 따른 좌우 척추기립근의 비대칭 분율의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 그룹 간 비교에서는 모든 항목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이상과 같은 결과로 볼 때, 만성요통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요부안정화운동은 근 비대칭 개선에는 효과적이지 않지만, 운동 순서와 상관없이 요통의 경감과 척추 기립근의 근활성도 증가에는 효과적인 운동 방법이라고 제시 할 수 있을 것 사료된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6
      • 3. 연구의 가설 7
      • Ⅱ. 연구방법 8
      • Ⅰ. 서 론 1
      • 1. 연구의 필요성 1
      • 2. 연구의 목적 6
      • 3. 연구의 가설 7
      • Ⅱ. 연구방법 8
      • 1. 연구 대상 및 기간 8
      • 2. 실험 방법 9
      • 1) ADIM - Sling 그룹 9
      • 2) Sling - ADIM 그룹 12
      • 3. 측정 방법 13
      • 4. 측정 및 실험 도구 15
      • 1) 시각적 통증척도 15
      • 2) 요통장애지수 16
      • 3) 근활성도 측정 장비 17
      • 4) 압력 생체 되먹임 기구 18
      • 5) 슬링 기구 19
      • 5. 자료 분석 20
      • Ⅲ. 연구 결과 21
      • 1. 연구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21
      • 2. 각 그룹 내 중재 전-후 변화 22
      • 1) ADIM-Sling 그룹 내 중재 전-후 시각적통증척도 변화 22
      • 2) ADIM-Sling 그룹 내 중재 전-후 요통장애지수 변화 23
      • 3) ADIM-Sling 그룹 내 중재 전-후 척추 기립근의 근 활성도 변화 24
      • 4) Sling-ADIM 그룹 내 중재 전-후 시각통증척도 변화 25
      • 5) Sling-ADIM그룹 내 중재 전-후 요통장애지수(ODI) 변화 26
      • 6) Sling-ADIM그룹 내 중재 전-후 좌우 척추기립근 근 활성도 변화 27
      • 3. 두 그룹 간 중재 전-후 차이 비교 28
      • 1) 두 그룹 간 시각적통증척도(VAS) 차이 비교 28
      • 2) 두 그룹 간 요통장애지수 차이 비교 29
      • 3) 두 그룹 간 좌우 척추 기립근의 근 활성도(RMS) 차이 비교 30
      • 4. 그룹 내 좌우 척추 기립근 중재 전-후 비대칭 분율(AI) 비교 31
      • 1) ADIM-Sling 그룹의 중재 전-후 좌우 척추 기립근의 비대칭 변화 31
      • 2) Sling-ADIM 그룹의 좌우 척추기립근의 비대칭 분율 변화 32
      • 5. 그룹 간 좌우 척추 기립근의 비대칭 분율 차이 비교 33
      • Ⅳ. 고찰 34
      • Ⅴ. 결 론 39
      • 참고문헌 40
      • 영문초록 47
      • 부 록 49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