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EBS 강의가 고등학생의 교과별 사교육비와 영역별 수능 성적에 미치는 영향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5차년도와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EBS 강의가 고등학생의 교과별 사교육비와 영역별 수능 성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것이다. ...

      이 연구는 한국교육개발원의 한국교육종단연구 5차년도와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여 EBS 강의가 고등학생의 교과별 사교육비와 영역별 수능 성적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우선 국어 교과관련 3,310명, 수학 교과 관련 2,686명, 영어 교과 관련 2,976명을 대상으로 하여 이중차분법(Difference in Difference) 분석을 실시하였으며, 그 결과 수학 교과에서만 EBS 강의를 수강한 학생이 그렇지 않은 학생보다 월 12,956원 정도 사교육비를 적게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관련 공변인을 통제하고 이중차분법으로 분석할 경우에는 수학 교과에서는 공변인 통제 전과 동일하게 사교육비 경감 효과가 있으나(월 12,275원), 국어교과에서는 오히려 월 11,960원 만큼 더 지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언어 영역 관련 2,084명, 수리 영역관련 1,788명, 외국어 영역 관련 2,108명을 대상으로 하여 언어, 수리, 외국어 영역에서 EBS 강의를 수강할 확률인 경향점수를 도출하고 이를 활용한 결합표집 방법을 사용하여 각 영역에서 EBS 강의가 2011학년도 수능성적(표준점수)에 미친 영향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언어 영역에서만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EBS 강의를 수강한 집단이 그렇지 않은 집단보다 수능 성적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EBS 강의가 교과별 사교육비와 영역별 수능 성적에 미치는 영향이 서로 다르다는 것을 시사하고 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BS lectures focusing on the private tutoring expenses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score for high school students using 2010 and 2011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da...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effects of EBS lectures focusing on the private tutoring expenses and the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CSAT) score for high school students using 2010 and 2011 Kore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KELS) data.
      Based on the 3,310, 2,686, 2,976 students data from each Korean language, mathematics, and English, the effects of EBS lectures on private tutoring expenses were analyzed using Difference in Difference(DID) method. The results showed that the EBS lectures had a significant effect on reducing 12,956 won monthly only in mathematics. After controlling relevant covariates, the results of analysis was similar in mathematics(12,275 won per month was reduced). However, it was found that the private tutoring expenses for Korean language were increased 11,960 won when students took the EBS lectures.
      In addition, based on the 2,084, 1,788, 2,108 students data from each Korean language, mathematics and English, propensity score was calculated. A matched sampling method was used to analyze the effects of EBS lectures on CSAT score using the propensity score. The results showed that the group of student who watching EBS lectures scored significantly higher than non-watching group in the Korean language (p<.001).
      Those results indicate that the effects of EBS lectures on private tutoring expenses and CSAT score are different among subject-matters.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논문 요약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분석 결과
      • 논문 요약
      • Ⅰ.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 Ⅱ. 이론적 배경
      • Ⅲ. 연구 방법
      • Ⅳ. 분석 결과
      • Ⅴ. 요약 및 논의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석종, "해양정보관리" 교육과학기술부 2011

      2 양정호, "한국의 사교육비 격차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개발원 2006

      3 "한국교육방송공사법(2010). 법률 제 10165호"

      4 남궁지영,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10)" 한국교육개발원 2010

      5 노현경, "학부모 및 학생관련요인과 사교육비 지출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97-118, 2006

      6 박현정, "학교교육의 질과 사교육 참여의 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9 (9): 91-110, 2008

      7 민경석, "자아 존중감에 대한 경향점수를 이용한 평준화 효과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1-21, 2008

      8 성낙일, "우리나라 사교육비 결정요인 및 경감대책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10 (10): 183-212, 2008

      9 송해덕, "서울 초․중․고등학교 이러닝 및 ICT 활용교육 효과분석"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1

      10 신혜원, "사설 인터넷 강의와 EBS 특강 수강이 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 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55-73, 2011

      1 김석종, "해양정보관리" 교육과학기술부 2011

      2 양정호, "한국의 사교육비 격차에 관한 연구" 한국노동개발원 2006

      3 "한국교육방송공사법(2010). 법률 제 10165호"

      4 남궁지영, "한국교육개발원 교육여론조사(KEDI POLL 2010)" 한국교육개발원 2010

      5 노현경, "학부모 및 학생관련요인과 사교육비 지출 간의 구조적 관계 분석" 한국교육행정학회 24 (24): 97-118, 2006

      6 박현정, "학교교육의 질과 사교육 참여의 관계 분석" 교육연구소 9 (9): 91-110, 2008

      7 민경석, "자아 존중감에 대한 경향점수를 이용한 평준화 효과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1-21, 2008

      8 성낙일, "우리나라 사교육비 결정요인 및 경감대책에 대한 실증분석" 한국응용경제학회 10 (10): 183-212, 2008

      9 송해덕, "서울 초․중․고등학교 이러닝 및 ICT 활용교육 효과분석"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1

      10 신혜원, "사설 인터넷 강의와 EBS 특강 수강이 수학능력시험 사회탐구 영역 성적에 미치는 영향 분석" 한국사회과교육학회 43 (43): 55-73, 2011

      11 박현정, "사교육이 중학생의 학업성취에 미치는 효과" 한국교육평가학회 21 (21): 107-127, 2008

      12 강태중, "사교육비 지출의 성별 차이 분석" 교육연구소 10 (10): 349-381, 2009

      13 전인식, "사교육비 절감을 위한 EBS 수능강의의 2주년 성과와 발전방안 연구" 한국교육방송공사 2006

      14 김일혁, "사교육 실태 및 사교육비 규모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06

      15 교육과학기술부, "사교육 경감과 공교육 내실화를 위한 교과부-EBS-한국교육과정평가원간 MOU 체결 보도자료"

      16 채재은, "방과후학교와 수능강의가 사교육비 및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효과 분석" 한국교육재정경제학회 18 (18): 41-66, 2009

      17 박현정, "방과후학교 및 EBS효과 분석" 서울특별시교육연구정보원 2012

      18 김현철, "방과후학교 및 EBS 수능방송의 정책효과 분석" 교육인적자원부 2007

      19 박소영, "방과후 학교와 EBS 수능강의의 사교육비 경감 효과"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391-411, 2008

      20 김양분, "데이터 기반 교육정책 분석 연구 공교육 내실화에 기반한 사교육비 경감 정책 효과 분석" 한국교육개발원 2011

      21 최재완, "교육방송 프로그램이 고등학생들의 학력신장에 미치는 효과" 31 : 51-60, 2007

      22 남창우, "교사와 학생의 ICT 활용과 학생의 자기주도학습이 저성취 고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교육학회 29 (29): 77-97, 2012

      23 한건우, "공교육을 위한 EBS 수능강의 개선 방안" 한국교육정보미디어학회 11 (11): 33-55, 2005

      24 김현진, "고교 평준화제도와 일반계 고등학교 2학년 학생의 사교육비 지출의 관계 실증 분석 연구" 한국교육행정학회 26 (26): 1-22, 2008

      25 김준엽, "경향점수를 활용한 인과효과의 추론" 2011

      26 상경아, "경향점수를 이용한 결합표집 방법에 의한 사교육 효과 분석" 한국교육평가학회 22 (22): 717-735, 2009

      27 Rosenbaum, P., "The central role of the propensity score in observational studies for causal effects" 70 : 41-55, 1983

      28 민인식, "STATA 패널데이터 분석" 한국 STATA 학회 2009

      29 Guo, S., "Propensity score analysis : statistical methods and applications" Sage 2009

      30 정동욱, "Outline: Difference in Difference"

      31 Woolridge, J. M., "Introductory economics: A modern approach" Thomson South-Western 2006

      32 Khandker, Shahidur, R., "Handbook of impact evaluation: Quantitative methods and practices" The World Bank 2010

      33 백순근, "EBS강의 수강 시간이 사교육비에 미치는 영향 : 국어, 수학, 영어 교과별 비교를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1 (11): 223-247, 2010

      34 "EBS 홈페이지"

      35 김희배, "EBS 인터넷 수능강의의 교육적 타당성과 효과성 분석" 47-67, 2004

      36 김병모, "EBS 수능강의정책 대상집단에 대한 문화기술적 연구" 16 (16): 7-33, 2009

      37 한상만, "EBS 수능강의의 사교육비 경감효과 인식 분석" 한국교육문제연구소 29 (29): 171-191, 2011

      38 정영식, "EBS 수능강의 활용 실태 및 사교육비 억제 효과 분석" 한국컴퓨터교육학회 12 (12): 35-45, 2009

      39 채창균, "EBS 수능강의 참여 실태와 효과 분석" 한국직업능력개발원 10 (10): 25-44, 2007

      40 송승연, "EBS 수능강의 이용 실태 및 사교육 격감에 미친 영향 : 수리영역을 중심으로" 1 (1): 95-115, 2008

      41 이희수, "EBS 수능강의 분석 및 발전방안 연구"

      42 김동규, "EBS 교육방송 활용 수업이 초등학생의 듣기 능력 및 정의적 영역에 미치는 영향" 영상영어교육학회 10 (10): 195-220, 2009

      43 Hanushek, E., "Does educational tracking affect performance and inequality? Difference in differences evidence across countries" 116 : 63-76, 2006

      44 Rosenbaum, P., "Constructing a control group using multivariate matched sampling methods that incorporate the propensity score" 39 : 33-38, 1985

      45 교육과학기술부, "2010년 사교육비조사 결과 분석" 교육과학기술부 2011

      46 통계청, "2010년 사교육비 조사보고서" 통계청 2011

      47 정영식, "2010년 EBS 수능강의 성과 분석 연구" 한국교육개발원 2010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9-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5-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2차) KCI등재후보
      2003-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1-07-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2.14 2.14 2.03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2.18 2.09 2.591 0.22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