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클레(Paul Klee)의 회화에 적용된 모차르트의 다성음악적 원리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7981803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이 연구는 20세기 전반의 화가인 클레의 작품을 다성음악적 원리와의 관계에서 논의하기 위해 모차르트의 작품을 분석하고 적용하고자 시도한다. 클레는 20세기 전반의 추상화 경향 안에서 ...

      이 연구는 20세기 전반의 화가인 클레의 작품을 다성음악적 원리와의 관계에서 논의하기 위해 모차르트의 작품을 분석하고 적용하고자 시도한다. 클레는 20세기 전반의 추상화 경향 안에서 다양한 조형 원리를 흡수하면서도 이들의 단순 모방이나 추종에 그치지 않고, 자신의 음악적 소양과 가치관을 바탕으로 18세기 고전음악이 최고의 상태로 이룩한 다성음악의 형식을 시각화하여 회화에 도입했다. 그는 특히 평생에 걸쳐 깊은 애정을 지녔던 모차르트의 다성음악적 원리를 통해 마치 작곡가와 같은 방식으로 회화를 구성했다.
      클레의 다성음악적 속성은 그가 회화의 구성에서 중시했던 선, 명암, 색의 조형요소들을 기본 원리로 하여 먼저 푸가의 대위법적 동시성을 평면에 펼쳐 내는 데에서 출발하였다. 원, 네모, 세모와 같은 기하학적 형태들과 단순한 곡선들을 기본 모티브로 삼아 비구상적 형태나 구체적 사물들의 형상성을 드러낸 작품들은 모차르트의 〈교향곡 41번〉 “주피터” 4악장의 비모방적 복합주제 구성원리와 대응하였다. 또한 〈교향곡 38번〉 “프라하”는 클레가 다양한 작품에서 동일한 모티브로 형상성을 구현한 방식을 설명하기 위해 제시하였다. 클레는 음악적 시간성을 회화라는 평면 공간 안에서 형태화하며 리듬감을 발휘하면서, 그가 지녔던 세상과 사물에 대한 애정을 회화예술의 조형성에 대한 진지한 탐구와 모색 안에서 전개했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specific methods of adopting the polyphonic principles of Mozart’s music in making two-dimensional paintings in the works of Paul Klee, a painter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Klee absorbed diverse art princi...

      This paper attempts to investigate specific methods of adopting the polyphonic principles of Mozart’s music in making two-dimensional paintings in the works of Paul Klee, a painter during the early twentieth century. Klee absorbed diverse art principles in the flow of abstraction but did not merely imitate or follow them. Instead, he adopted and visualized the highest level of polyphonic structure of music of the eighteenth century to his paintings. Particularly, Klee composed paintings in the manner of musical composers through the polyphonic principles of Mozart, for whom he had a profound affection through his life.
      Klee’s polyphonic property set forth in deploying the simultaneity of the counterpoint in the fugue form on the flat surface of canvas based on line, color, and tone, which he regarded significant in the composition of painting. Taking inspiration from Mozart’s method of composing multi-thematic music with un-imitative plural themes, like his 41st Symphony “Jupiter” (K.551), Klee composed non-figurative forms or embodied the figures of specific objects with fundamental geometric forms such as circles, squares and triangles as well as simple curving lines. I refer to Mozart’s “Prague” Symphony to explain how Klee acquired various forms with the same motive used in diverse pieces by appropriating and transforming a single motive. Consequently, I argue that Klee achieved a sense of rhythm by forming and visualizing the temporality of music on the two-dimensional space of painting. Klee realized a model of convergent art through seeking and exploring painting with his affection for the world and objects in it.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들어가며
      • Ⅱ. 현대회화를 찾아서
      • Ⅲ. 모차르트의 다성음악 구성원리에 따른 회화
      • Ⅴ. 나가는 글
      • 참고문헌
      • Ⅰ. 들어가며
      • Ⅱ. 현대회화를 찾아서
      • Ⅲ. 모차르트의 다성음악 구성원리에 따른 회화
      • Ⅴ. 나가는 글
      • 참고문헌
      • 국문초록
      • Abstract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허버트 리드, "현대회화의 역사" 까치 1990

      2 파울 클레, "현대미술을 찾아서" 열화당 1979

      3 크리스티안 겔하르, "파울 클레의 삶과 예술" 책세상 1995

      4 수잔나 파르치, "파울 클레 1879-1940" 마로니에북스 2006

      5 모리스 메를로-퐁티, "눈과 마음" 마음산책 2008

      6 게오르크 슈미트, "근대회화의 혁명 : 도미에에서 샤갈까지" 창비 2012

      7 요한 페터 에커만, "괴테와의 대화 1/2" 민음사 2008

      8 Marx, Roberto Burle, "Zwischenreiche bei Paul Klee" Königshausen & Neumann 2007

      9 Grohmann, "Will. Paul Klee" Ars Mundi 1985

      10 Haftmann, Werner, "The Mind and Work of Paul Klee" Frederick A. Praeger Publishers 1983

      1 허버트 리드, "현대회화의 역사" 까치 1990

      2 파울 클레, "현대미술을 찾아서" 열화당 1979

      3 크리스티안 겔하르, "파울 클레의 삶과 예술" 책세상 1995

      4 수잔나 파르치, "파울 클레 1879-1940" 마로니에북스 2006

      5 모리스 메를로-퐁티, "눈과 마음" 마음산책 2008

      6 게오르크 슈미트, "근대회화의 혁명 : 도미에에서 샤갈까지" 창비 2012

      7 요한 페터 에커만, "괴테와의 대화 1/2" 민음사 2008

      8 Marx, Roberto Burle, "Zwischenreiche bei Paul Klee" Königshausen & Neumann 2007

      9 Grohmann, "Will. Paul Klee" Ars Mundi 1985

      10 Haftmann, Werner, "The Mind and Work of Paul Klee" Frederick A. Praeger Publishers 1983

      11 Klee, Paul, "The Diaries of Paul Klee 1898-1918" University of California Press 1964

      12 Geelhaar, Christian, "Paul Klee und das Bauhaus" DuMont Schauberg 1972

      13 Franciscono, Marcel, "Paul Klee : His Work and Thought" University of Chicago Press 1991

      14 Klee, Felix, "Paul Klee : His Life and Work in Documents" G. Braziller 1962

      15 Kagan, Andrew, "Paul Klee / Art & Music" Cornell University Press 1983

      16 Kagan, Andrew, "Paul Kle. “Paul Klee’s ‘Polyphonic Architecture’" 54 (54): 154-157, 1980

      17 Verdi, Richard, "Musical Influences on the Art of Paul Klee" 3 : 81-107, 1968

      18 Einstein, Alfred, "Mozart, His Character, His Work" Oxford University Press 1962

      19 Heartz, Daniel, "Mozart, Haydn, Early Beethoven, 1781-1802" W. W. Norton &Company 2008

      20 Braunbehrens, Volkmar, "Mozart in Vienna, 1781-1791" Harper Collins 1996

      21 Klee, Paul, "La pensée créatrice" Dessain et Tolra 1980

      22 Roskill, Mark, "Klee, Kandinsky, and the Thought of Their Time"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1992

      23 Franciscono, Marcel, "Klee et la musique" Centre Georges Pompidou, M.N.A.M 1985

      24 Fleming, William, "Arts & Ideas" Thomson/Wadsworth 1995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6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계속평가) KCI등재
      2013-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0-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6-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5-06-08 학술지등록 한글명 : 현대미술사연구
      외국어명 : Journal of History of Modern Art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0.33 0.33 0.32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0.31 0.32 0.877 0.1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