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도서관은 대학의 교육과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서비스 기관으로서 주제나 학과 중심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학도서관이 주제별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국문 초록 (Abstract)
대학도서관은 대학의 교육과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서비스 기관으로서 주제나 학과 중심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학도서관이 주제별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
대학도서관은 대학의 교육과 연구 활동을 지원하는 서비스 기관으로서 주제나 학과 중심의 서비스를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학도서관이 주제별 정보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이용자 그룹의 정보이용특성에 대한 이해가 전제되어야 한다.
본 연구의 목적은 특히 공학 분야에 주목하여 공학계열 대학생들의 정보이용행태의 특성을 파악함으로써 주제별 대학도서관 정보서비스를 모색하기 위한 근거자료를 마련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제기한 문제는 세 가지이다. (1) 공학계열 대학생의 정보이용행태는 어떠한 양상을 보이는가? (2) 공학계열 대학생과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정보이용행태 간에는 차이가 있는가? (3) 공학계열 대학생의 도서관 이용행태와 문제점은 무엇인가?
이 연구문제에 따라 본 연구는 크게 두 가지 국면으로 구성된다. 우선 기존의 연구문헌과 연세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학계열 대학생들과의 면담을 토대로 대학생의 정보이용행태에 대한 가설과 변수를 설정하였으며, 공학계열 대학생과 이에 대한 비교집단으로 인문·사회계열 대학생 각 187명을 표본집단으로 선정하여 폐쇄항목과 개방항목을 포함한 설문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자료분석 결과, 공학계열과 인문·사회계열의 대학생들은 학술정보의 이용목적과 정보탐색시간, 탐색과 입수방법에서 개인적·조직적·학문적 특성에 따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를 통해 공학계열과 인문·사회계열 대학생의 정보이용행태에 차이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연구의 두 번째 국면에서는 10명의 공학계열 대학생들과의 면담과 그들이 작성한 일지를 통해 그들의 도서관 이용특성을 구체적으로 알아보고, 공학계열 대학생의 정보이용특성을 고려한 대학도서관의 정보서비스를 다음과 같이 제안하였다.
첫째, 학부생의 정보요구를 반영한 양질의 자료가 확충되어야 한다.
둘째, 지정도서제도가 적극 활용되어야 한다.
셋째, 종합적인 정보이용교육 프로그램이 개발되어야 한다.
넷째, 학생 조교 제도가 도입되어야 한다.
다섯째, 온라인 정보서비스가 강화되어야 한다.
여섯째, 학사행정과 도서관 정보서비스의 연계기능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As a service center supporting university education and research activities, university libraries are supposed to execute subject or major oriented services. In order for them to provide subject information services,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u...
As a service center supporting university education and research activities, university libraries are supposed to execute subject or major oriented services. In order for them to provide subject information services, understanding of the information use patterns, of various user groups, should be premised.
The focus of this study, on the engineering area in particular to understand the information use patterns of engineering students and to provide basic data for subject information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Three questions were presented. (1) What kind of tendencies does the information use of engineering students show? (2) Are there any differences between the students majoring in engineering and those studying humanities or social science? (3) What are their patterns of library use and the problems of the engineering students?
According to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nsists of two phases. Firstly, the hypotheses and variables on the students' information use patterns of based on previous studies and interviews with the engineering students in Yonsei University were planned. Then, data was collected by selecting sample groups from each 187 engineering students and humanities or social science students as the group of comparison, and by using questionnaires including closed and open questions. As the result of the data analysis, statistically meaningful differences were found between these two groups of students with the purpose of using scientific information, information searching time, method of information gathering according to personal, organizational and scientific characteristics. This fact showed the difference of the patterns of information use between engineering students and humanities or social science students. In the second phase of this study, the 10 engineering students' patterns of library use were analyzed concretely through diaries and interviews with them. Taking the patterns of information use of engineering students into consideration, the following proposals were made for better services in university libraries.
First, qualitative data reflecting the students' demand on information must be expanded.
Secondly, the reserved book system must be actively utilized.
Thirdly, a comprehensive education program on information use must be developed.
Fourthly, student assistant system must be introduced.
Fifthly, on-line information services must be consolidated.
and finally, liaisons between the school affairs administration and the library information services must be activated.
목차 (Table of Contents)
2025년 대학도서관 통계 연수회
한국교육학술정보원 한국교육학술정보원이공계 학생을 위한 핵심반도체 개론[Introduction to Core Semiconductors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이선우, 엄우용이공계 학생을 위한 핵심반도체 개론[Introduction to Core Semiconductors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이선우, 엄우용이공계 학생을 위한 핵심반도체 개론[Introduction to Core Semiconductors for Science and Engineering Students]
K-MOOC 인하공업전문대학 이선우, 엄우용효과적인 대학도서관 내 메이커스페이스 운영을 위한 방법 및 요소
한국교육학술정보원 이병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