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조애중<SUP>曺愛重</SUP>의 『병자일기<SUP>丙子日記</SUP>』배접지에 기록된 제문과 간찰 = Funeral Address and Letters Recorded on Backing Documents of the『Byung-Ja-Il-Gi』

      한글로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병자일기丙子日記』는 조애중曺愛重이 쓴 한글 일기이다. 작자와 창작연대가 확실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실기문학實記文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병자호란에 관한 민간의 체험을 소상...

      『병자일기丙子日記』는 조애중曺愛重이 쓴 한글 일기이다. 작자와 창작연대가 확실한 우리나라 최초의 여성 실기문학實記文學이라고 할 수 있으며, 병자호란에 관한 민간의 체험을 소상하게 표현해내었다는 점에서 문학사적 의의가 크다.
      『병자일기』는 저자 사후 370여 년의 세월이 경과되면서 책의 훼손 상태가 매우 심하였다. 책 표지의 부분적 찢어짐과 뒤틀림, 각 장의 물에 의한 얼룩과 변색, 각 페이지 모서리 끝부분의 임시 배접 등의 문제가 있었다. 이에 행복청은 『병자일기』를 보존처리 하였는데, 책의 해체와 보수과정에서 책표지의 배접지로 사용된 다섯 건의 문헌자료가 새롭게 발굴되었다. 다섯 건의 문헌은 조애중의 6대손 남필복南必復 저술의 제문祭文 1편, 남필복의 지인 조사은趙思殷 발신의 한문간찰 1편, 남필복의 사위 이인운李寅運 발신의 한문간찰 1편, 비婢 뉴월의 고목 1편, 발신자 미상의 한문간찰 1편이다.
      이 논문은 새롭게 발견된 다섯 건의 문헌을 통해 다음과 같은 사실을 새롭게 알아내게 되었다. 현전 『병자일기』는 저자 조애중의 6대손 남필복이 조애중 사후 140여 년 뒤에, 6대 조비의 한글 일기 중 병자호란 중심으로 기록된 일기를 발췌하여 장책粧冊했다는 사실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Byung-Ja-Il-Gi(Byung-Ja Diary) is a Korean journal written by Cho Ae-jung, considered to be the first Korean female author of her kind. The Journal, along with its clear date of cre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people during the Manchu War in 1636...

      Byung-Ja-Il-Gi(Byung-Ja Diary) is a Korean journal written by Cho Ae-jung, considered to be the first Korean female author of her kind. The Journal, along with its clear date of creation and detailed description of people during the Manchu War in 1636 has strong values and meaning in literature history.
      After 370 years since the death of the author, the journal’s exterior was in extremely poor conditions. There were issues with partial tears, distortion, water damage and partial grafting on the edge of the pages’ corners. The National Agency for Administrative City Construction carried out preservation processes on the journal, during which 5 bibliographical documents were newly discovered used for the backing papers. The documents included one funeral address written by Nam Pil-bok, the 6th son of Cho Ae-jung, a Chinese letter written by Cho Sa-eun, a friend of Nam PIl-bok, a Chinese letter by Lee In-un, the son-in-law of Nam Pil-bok, a letter in Korean by Queen Nyu-Wol, and a Chinese letter by an unknown author.
      This study deducted the following facts through the 5 newly discovered documents. Byung-Ja-Il-Gi was bound by Nam Pil-bok, the 6th generation son of Cho Ae-jung, by collecting excerpts focused around the Manchu War in 1636 from a Korean journal of his 6th generation grandmother 140 years after her death.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요약
      • 1. 머리말
      • 2. 남이웅 · 조애중의 6대손 남필복의 공주 이거
      • 3. 새로 발견된『병자일기』배접지의 다섯 건의 문헌
      • 4.『병자일기』배접지에 사용된 문헌의 의미
      • 요약
      • 1. 머리말
      • 2. 남이웅 · 조애중의 6대손 남필복의 공주 이거
      • 3. 새로 발견된『병자일기』배접지의 다섯 건의 문헌
      • 4.『병자일기』배접지에 사용된 문헌의 의미
      • 5. 맺음말
      • 참고문헌
      •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