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염상섭의 모델소설 「해바라기」의 나혜석 이해하기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3224279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은 1920년대 최고의 문제적 소설가인 염상섭이 신여성 나혜석의 결혼을 모델로 하여 쓴 동아일대 신문연재 소설 「해바라기」를 다룬다. 나혜석과 일본 유학 시절 매우 가까운 친구관계를 유지했던 염상섭은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나혜석과 나혜석을 둘러싼 남성들의 이야기를 소설화하여 심리적 내면을 묘사하는 새로운 소설 양식을 창조해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건이 나혜석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당시의 남성 지식인들은 자신들이 알고 있는 나혜석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살펴보면서 남성지식인 사회에서 인기인이었던 나혜석의 위치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모델소설을 통해 염상섭이 성취한 것은 무엇이었고, 신여성을 소재화하면서 여성에 대해 고정된 그리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는 염상섭의 여성경멸과 여성혐오의 기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번역하기

      본 논문은 1920년대 최고의 문제적 소설가인 염상섭이 신여성 나혜석의 결혼을 모델로 하여 쓴 동아일대 신문연재 소설 「해바라기」를 다룬다. 나혜석과 일본 유학 시절 매우 가까운 친구관...

      본 논문은 1920년대 최고의 문제적 소설가인 염상섭이 신여성 나혜석의 결혼을 모델로 하여 쓴 동아일대 신문연재 소설 「해바라기」를 다룬다. 나혜석과 일본 유학 시절 매우 가까운 친구관계를 유지했던 염상섭은 개인적으로 알고 있는 나혜석과 나혜석을 둘러싼 남성들의 이야기를 소설화하여 심리적 내면을 묘사하는 새로운 소설 양식을 창조해냈다. 본 논문은 이러한 사건이 나혜석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그리고 당시의 남성 지식인들은 자신들이 알고 있는 나혜석을 어떻게 평가하는지를 살펴보면서 남성지식인 사회에서 인기인이었던 나혜석의 위치성을 드러내고자 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모델소설을 통해 염상섭이 성취한 것은 무엇이었고, 신여성을 소재화하면서 여성에 대해 고정된 그리고 부정적인 이미지를 만들어내고 있는 염상섭의 여성경멸과 여성혐오의 기원이 무엇인지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article deals with the novel Sunflower written as a serial story for the Dong-A Ilbo(Dong-A Daily News) by the most problematic Korean novelist of the 1920s, Yeom Sang-Seop. Sunflower was modeled after the modern woman Na Hye-Seok and her marriage. Yeom Sang-Seop, who formed a close friendship with Rha Hyeseok during their days in Japan as overseas students, created a new mode of novel writing by focusing on the actual relationship between Rha Hyeseok and the men around her and describing the psychological inner emotion and changes among them.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effects this novel had on Rha Hyeseok and how the male intellectuals of the time viewed her, thereby illuminating her situationality as a woman of great popularity within an intellectual circle dominated by men. I also look into the achievements that Yeom Sang-Seop was able to claim through this modeling novel as well as the misogynistic origins behind the fixed and negative images of women in his treatment of the modern women as a writer.
      번역하기

      This article deals with the novel Sunflower written as a serial story for the Dong-A Ilbo(Dong-A Daily News) by the most problematic Korean novelist of the 1920s, Yeom Sang-Seop. Sunflower was modeled after the modern woman Na Hye-Seok and her marriag...

      This article deals with the novel Sunflower written as a serial story for the Dong-A Ilbo(Dong-A Daily News) by the most problematic Korean novelist of the 1920s, Yeom Sang-Seop. Sunflower was modeled after the modern woman Na Hye-Seok and her marriage. Yeom Sang-Seop, who formed a close friendship with Rha Hyeseok during their days in Japan as overseas students, created a new mode of novel writing by focusing on the actual relationship between Rha Hyeseok and the men around her and describing the psychological inner emotion and changes among them. In this article, I examine the effects this novel had on Rha Hyeseok and how the male intellectuals of the time viewed her, thereby illuminating her situationality as a woman of great popularity within an intellectual circle dominated by men. I also look into the achievements that Yeom Sang-Seop was able to claim through this modeling novel as well as the misogynistic origins behind the fixed and negative images of women in his treatment of the modern women as a writer.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글
      • 2. 1920년대 식민지 조선 남성지식인들의 담론인 신여성
      • 3. 「해바라기」의 실제 주인공 나혜석과 작가 염상섭
      • 4. 모델소설 「해바라기」와 주인공인 된 신여성 나혜석
      • 국문초록
      • 1. 들어가는 글
      • 2. 1920년대 식민지 조선 남성지식인들의 담론인 신여성
      • 3. 「해바라기」의 실제 주인공 나혜석과 작가 염상섭
      • 4. 모델소설 「해바라기」와 주인공인 된 신여성 나혜석
      • 5. 나가며 : 염상섭의 「해바라기」가 신여성 나혜석 담론에 끼치는 영향
      • 참고문헌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