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기초자치단체의 여성정책 변천 소고 - 부산시 사상구를 대상으로 = 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Policy on Women in Local Autonomy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76454468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국문 초록 (Abstract)

        부산시 사상구 관련 기초 자료 중 여성정책을 정리하여 기초자치단체의 여성정책을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크게 1995년을 기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이 시기는 여성...

        부산시 사상구 관련 기초 자료 중 여성정책을 정리하여 기초자치단체의 여성정책을 구현하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크게 1995년을 기준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는데, 이 시기는 여성정책의 근간이 되는 여성발전기본법이 제정되었고 지방자치단체장 선거가 새롭게 실시되어 지방자치 시대를 여는 첫 해가 되었으며, 부산광역시 북구에 통합되어 있던 사상구가 단독으로 분리(분구)된 때라는 점에서 여러 가지 의미를 갖는다.<BR>  분구 이전의 여성정책은 중앙과 지역에서 모두 요보호 여성을 중심으로 한 ‘부녀행정’으로 복지 분야의 사업이 대부분이었다. 특히 이 시기는 본격적인 지방자치가 실시되지 않았기에 광역자치단체와 기초자치단체에서 독자적으로 여성정책을 실현하기 어려웠다. 그나마 1980년대 후반부터 남녀 차별에 관한 관심이 생겨나기 시작해 중앙정부에 여성정책을 총괄하는 기구가 설치되었으며, 여성정책의 근간이 되는 법령 제정, 양성평등 연구기관 설립 등이 이루어졌다. 이와 함께 차츰 요보호 중심의 여성정책에서 벗어나 모든 여성을 정책의 대상으로 하는 보편주의적 인식이 확산되었다.<BR>  ‘여성정책’으로 정책 변화가 생긴 분구 이후에도 요보호 여성에 대한 지원 사업은 꾸준히 유지되었지만 중앙정부가 주도하는 양성평등의 기조 위에 사상구에서도 몇 가지 여성정책과 사업을 실시하였다. 양성평등문화 정착 사업, 여성의 사회참여 확대와 기반 조성 사업, 폭력 방지 사업, 구청산하 각종 위원회에 여성위원 참여 확대 등 양성평등을 위한 사업이 실시되고 있다. 그러나 성별분리통계를 이용해 사상구의 여성권한 척도를 살펴본 결과 여성공무원이 낮은 직급에 편중되거나, 구의회의 여성의원이 비율이 매우 낮아 전체적으로 사상구의 여성권한 척도가 낮음을 알 수 있었다.<BR>  분구를 기준으로 ‘부녀행정’에서 ‘여성정책’으로 용어가 변화하기는 했으나 전체적인 틀에서의 변화를 추동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향후 부산시 사상구의 여성정책이 여성의 지위와 권익을 향상시켜 남녀가 평등한 사회를 이룩하는 데 기여하려면 제도적 측면, 예산의 측면, 인력의 측면에서 변화가 선행되어야 할 것이다.

      더보기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is study is to become helpful in implementing the policy on women in local autonomy of basic units by organizing the policy on women in Sasang-Gu, Busan. This had been examined mainly based on the year 1995 while the Basic Law for Prospe...

        This study is to become helpful in implementing the policy on women in local autonomy of basic units by organizing the policy on women in Sasang-Gu, Busan. This had been examined mainly based on the year 1995 while the Basic Law for Prosperity of Women which becomes the root of policy women has been established these times, became the first year of opening up the local autonomy era as the election of local autonomy leader has newly become enforced and has many types of significance in that it was the time when Sasang-Gu which had been combined to the Buk-Gu of Busan became separated as an independent autonomy (separation of district).<BR>  The policy on women before separation of district was mostly the projects in the field of welfare by Women Administration all centered on at risk women at the center and regions. Especially, because the official local autonomy hadn"t started during these times, it was difficult to implement the policy on women independently at the local autonomy of basic units. Nevertheless, the interest toward sexual discrimination start to appear from the latter part of 1980"s so that an organization to sum up the policy on women had been installed at the central government and enactment of laws or establishment of research institutes for gender equality, etc becoming the root of policy on women was accomplished. Along with this, a universal perception setting all women as subjects of policy had expanded by gradually escaping from the policy on women which is centered on at risk women.<BR>  While the supporting projects on at risk women was maintained constantly even after the separation of district when the change of policy as the policy of women had emerged, several policy and projects on women were in operation on the top of the basic theme called equality of both genders led by the central government. Projects for equality of both genders such as gender equality settlement project, the project for extension of social participation by women and formation of basis, violence prevention project and extended participation of female committee members at various subordinate committees the district office, etc are being executed. But as a result of looking into the scale of women"s authority in Sasang-Gu using gender separation statistics, the fact that overall scale of women"s authority was low because there were many female civil officers with low level positions or the ratio of female committee members in the district assembly was very low.<BR>  Although the term has changed from women administration to policy on women during the separation of district, it could be considered as not being able to promote the change in the overall framework. Therefore, for the policy on women in Sasang-Gu, Busan to contribute in accomplishing the society in which men and women are equal by improving the status and interests of women in the future, changes in systematic aspect and budget aspect as well as in the aspect of human resources must precede.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언
        Ⅱ. 기초자치단체 여성정책 의의
        Ⅲ. 사상구 연혁과 인구 자료
        Ⅳ. 분구 이전 여성정책
        Ⅴ. 분구 이후의 여성정책
        Ⅵ.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 Ⅰ. 서언
        Ⅱ. 기초자치단체 여성정책 의의
        Ⅲ. 사상구 연혁과 인구 자료
        Ⅳ. 분구 이전 여성정책
        Ⅴ. 분구 이후의 여성정책
        Ⅵ. 요약 및 제언
        참고문헌
        〈국문초록〉
        〈Abstract〉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