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A Study on Crisis Management and Negotiation Strategies for the Denuclearization of the Korean Peninsula = 한반도 비핵화를 위한 위기관리 및 협상전략에 관한 연구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588091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what types of crisis management and negotiation strategie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ursue in the denuclearization proces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political and diplomatic commitments to the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for the security of his regime. Second, North Korea sanctions should remain in place until complete denuclearization. Third, the US-South Korea military cooperation must be reinforced to put pressure on North Kore. Fourth, a ‘win-win’ cooperative negotiation strategy should be used, even if North Korea abandons its nuclear program.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include that South Korea needs to boost strategic and tactical responsiveness in the debates on the dismantlement of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prepare for crisis management and negotiation strategies to ensure and maximize national interests.
      번역하기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what types of crisis management and negotiation strategie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ursue in the denuclearization proces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a...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what types of crisis management and negotiation strategies the Korean government should pursue in the denuclearization process of the Korean peninsula. The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political and diplomatic commitments to the North Korean leader Kim Jong-un for the security of his regime. Second, North Korea sanctions should remain in place until complete denuclearization. Third, the US-South Korea military cooperation must be reinforced to put pressure on North Kore. Fourth, a ‘win-win’ cooperative negotiation strategy should be used, even if North Korea abandons its nuclear program. The implications of these findings include that South Korea needs to boost strategic and tactical responsiveness in the debates on the dismantlement of North Korea’s nuclear weapons and prepare for crisis management and negotiation strategies to ensure and maximize national interests.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논문의 목적은 한반도 비핵화를 추진해 나가는 과정에서 한국정부가 어떤 위기관리 및 협상전략을 추구해 나가야 하는지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에게 체제보장에 대한 정치적 ·외교적 공약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 북한에 대한 경제측면에서 봉쇄적 제재를 비핵화가 완성될 때까지 지속하는 것이다. 셋째, 한미 간의 군사 협력과 안보협력 강화를 통한 대북 군사적 압박을 하는 것이다. 넷째, 북한이 핵을 포기하더라도 상호 윈-윈(Win-Win)할 수 있도록 협력적 협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북핵 폐기를 위한 남북 및 북미 실무회담에서 전략적, 전술적 대응력을 강화하고, 최대의 국익을 보장하기 위한 위기관리 및 협상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철저히 준비된 위기관리전략과 협상전략으로 북핵 폐기를 완성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번역하기

      본 논문의 목적은 한반도 비핵화를 추진해 나가는 과정에서 한국정부가 어떤 위기관리 및 협상전략을 추구해 나가야 하는지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김정...

      본 논문의 목적은 한반도 비핵화를 추진해 나가는 과정에서 한국정부가 어떤 위기관리 및 협상전략을 추구해 나가야 하는지를 고찰하는데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에게 체제보장에 대한 정치적 ·외교적 공약을 제시하는 것이다. 둘째, 북한에 대한 경제측면에서 봉쇄적 제재를 비핵화가 완성될 때까지 지속하는 것이다. 셋째, 한미 간의 군사 협력과 안보협력 강화를 통한 대북 군사적 압박을 하는 것이다. 넷째, 북한이 핵을 포기하더라도 상호 윈-윈(Win-Win)할 수 있도록 협력적 협상이 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런 연구결과의 시사점은 북핵 폐기를 위한 남북 및 북미 실무회담에서 전략적, 전술적 대응력을 강화하고, 최대의 국익을 보장하기 위한 위기관리 및 협상 전략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철저히 준비된 위기관리전략과 협상전략으로 북핵 폐기를 완성해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북핵 개발과 대북제재 현황 분석
      • Ⅳ. 북핵 폐기를 위한 효과적 위기관리전략 및 협상전략 방안
      • Ⅴ. 결 론
      • Ⅰ. 서 론
      • Ⅱ. 이론적 고찰
      • Ⅲ. 북핵 개발과 대북제재 현황 분석
      • Ⅳ. 북핵 폐기를 위한 효과적 위기관리전략 및 협상전략 방안
      • Ⅴ. 결 론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